View : 621 Download: 0

읽기 후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읽기 후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Post-reading Activity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uthors
홍진화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학습자영어독해영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들어 외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필요성이 늘어남에 따라 듣기, 말하기와 같은 구두 언어가 중시되어 왔다. 그러나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나라에서는 형식적 교육 상황 또는 일상 생활에서 문자 언어로 된 글을 접할 기회가 많으므로 읽기가 다른 기능들보다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학생의 학습 속도 개인차를 존중하고 학습자 중심 학습을 중시하는 제 7차 교육 과정에은 읽기 교육에 있어서도 학습자는 문자를 단순히 해독하는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 스스로 전략과 기능들을 사용하는 적극적 태도를 가질 것을 강조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목표로 하는 전략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전략 훈련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특히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의 읽기 세 단계 중 읽기 후 단계는 학생들이 지문에 나와 있는 내용을 더 명확히 이해하고 종합하며 다른 기능과 통합시켜 줄 수 있는 단계이며 무엇보다도 읽기 중에 학습자들이 사용하게 될 전략을 훈련시키는 활동들이 제시될 수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읽기 수업에서는 읽기 후 활동이 이해 질문 활동으로 획일화되어 있어서 좀 더 다양한 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기존의 읽기 후 단계 학습에 대한 연구들은 이해 질문 활동 외에 요약하기 활동과 단어·구문 활동이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읽기 전략들을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이해 질문 활동, 단어·구문 활동, 요약하기 활동 중에서 각각의 활동들이 갖는 효과들만을 살펴보았으며 세 개의 읽기 후 활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 읽기 후 활동으로 제시되어 온 이해 질문 활동을 대체할 수 있는 활동들을 고안하여 이의 효과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현장 읽기 수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10주간 254명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세 집단에게 각각 읽기 후 활동으로 이해 질문 활동, 단어·구문 활동, 요약하기 활동을 이용한 읽기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독해 능력 평가와 사전·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읽기 후 활동이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읽기 후 활동이 각 활동과 관련된 세부 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실험집단의 읽기 후 활동에 대한 좀 더 다양한 반응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 후 심화 사후 평가와 심화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는 단어·구문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독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독해력 점수와 향상도에서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독해 후 활동의 종류가 사후 독해력의 차이를 가져다주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상위 학습자의 경우 단어·구문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만이 독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이며 하위 학습자의 경우 이해 질문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이 독해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읽기 후 활동의 영역별 사후 평가 결과는 각 집단들이 그들에게 제공되었던 읽기 후 활동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다른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은 성적을 거둘 것이라는 가정과는 다소 달랐다. 예를 들어, 이해 질문 평가에서는 단어·구문 집단과 요약하기 집단이 좋은 성적을 거두었고 단어·구문 영역 평가에서도 요약하기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하게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러나 요약하기 평가에서는 예상한대로 요약하기 집단이 가장 좋은 점수를 받아 요약에 대한 직접적 지도가 요약문 쓰기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한편 요약하기 활동의 효과는 학습자의 능력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상위 학습자의 이해 질문에 응답하는 능력과 단어·구문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위 학습자에게는 요약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문 조사 결과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간 사전, 사후 태도에는 변화가 없었으며 단지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자신들이 읽기 수업에서 해 왔던 활동과 그와 관련된 기능들에 대해서 어려워하는 정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실험집단들만을 대상으로 시행한 심화 사후 설문 결과는 실험집단들이 읽기 후 활동에 대해 필요성은 많이 느끼고 있었지만 흥미를 느끼지는 못하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들을 요약해 보면, 세 가지의 읽기 후 활동은 학습자의 독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그 중에서도 단어·구문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이 이해 질문 활동보다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상위 학습자들에게는 단어·구문 활동이, 하위 학습자들에게는 요약하기 활동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심화 사후 평가 결과 세 가지 활동 중 요약하기 활동은 이해 질문 평가, 단어·구문 평가와 요약하기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상위 학습자에게는 이해 질문 능력과 단어·구문 능력에, 하위 학습자들에게는 요약하기 능력에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요약하기 활동은 중학교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그 하위 기능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향후 읽기 활동에 관한 연구와 교육 현장에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어·구문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이 학습자의 독해 능력과 하위 기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는 이러한 활동들이 기존의 이해 질문 활동을 대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가 읽기 수업에서의 읽기 후 활동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이해 질문 활동 외에 좀 더 다양하고 효과적인 활동들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는 달리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요약하기 활동이 하위 학습자들의 독해 능력과 요약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요약하기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조정된 쉽고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제시된다면 하위 중학생 학습자들에게도 긍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읽기 수업에도 도입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읽기 수업에서 학생들의 태도 관찰 결과와 정의적 영역에 대한 설문지 결과를 분석해 보면 많은 학생들이 읽기와 읽기 후 활동이 자신들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것임을 느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흥미는 느끼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을 고려하여 흥미와 동기를 북돋아 줄 수 있는 활동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Even though it is the trend that communicative competence is considered important in ESL education, the reading skill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skills in an educational environment like that in our country.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which respects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ding speed and interest focuses that students must have a positive attitude to use the strategy and the skill actively, getting out of a passive attitude to decode the letters in a textbook. The teacher should provide various activities which aim at strategy training in order to help students acquire the necessary strategy. Especially, the post-reading stage among the three reading stages is the one that can make students understand a text clearly, synthesize it and integrate it with other skills. Above all, activities which train the strategy students would use while reading can be provided at that stage. However, the post-reading activity which is used in a real reading class is standardized as a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So it is necessary that more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he research about the post-reading stage which has been conducted shows that summarization activity and word-grammar activity, in addition to the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bring positive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ey also show that these activities help students acquire the necessary strategies for reading. Based on this research,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ost-reading activities designed to replace the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in a textbook and confirm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to a real reading class. To carry out the experiment, 254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for ten weeks. The subjects took two reading comprehension tests and filled out two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activity classes which were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to confirm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in the three groups. The post test about sub-skills related to post-reading activity and the post questionnaire were also administered after the reading activity classes for deeper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grammar activity and summarization activity improved two experimental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 extent of the increase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t is implied that the kind of reading activity didn't bring a difference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In the case of upper level students, the word-grammar activity and summariz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and summarization activity were effective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Second, different from the assumption, the result of the post test about sub-skills related to post-reading activity is that none of the groups got better grades in the test related to the activity they had. For example, the word-grammar group and the summarization group in the comprehension question test, and the summarization group in the word-grammar test got significantly better grades than other groups. In the summarization test, however, the summarization group got the best grades as what was presumed, indicating that direct instruction on summarization could give a facilitative effect on summarizat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summarization activity was effective for the upper level students' comprehension question ability and word-grammar ability, and lower level students' summarization ability. Thir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indicate that there was no change among the three groups' attitude before and after the reading activity classes,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two experimental groups felt about each activity and related skills lessened. In the post-questionnaire, two experimental groups answered positively on the necessity of post-reading but showed little interest in it. To sum up, it is found from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three post-reading activities have a facilitative effect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Particularly the word-grammar activity and the summarization activity are more effective than the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The word-grammar activity for upper level students and summarization activity for lower level students are the most influential among the three post-reading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post test about sub-skills related to post-reading activity indicate that summarization activit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rehension question ability, word-grammar ability and summarization ability, expecially, the upper level students' comprehension ability and lower level students' word-grammar ability. Consequently, summarization activity can have a facilitative effect on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sub-skills. This study has three implications in English education. Firs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that word-grammar activity and summarization activity have a facilitative effect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sub-skills implies that these kinds of activities can replace th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For this, first of all, teachers must have interest in post-reading activity in the reading class and develop more various and effective activities beside th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 activity. Second, different from other research, the result shows that the summarization activity us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lower leve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summarization ability. It means that only if summarization is taught in a form with various and easy activities adjusted to the level of students, it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ow level middle school students and can be introduced to the real reading class for students. Third, from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 on the students' attitude and the survey about the affective aspect, it is revealed that people think that reading and reading activity are necessary and important for them but they don't feel much interest in it. Therefore, considering the students' emotional aspect, teachers should develop activities that increas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