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韓國産 원추리屬(hemerocallis)에 對한 形態 및 細胞學的 硏究

Title
韓國産 원추리屬(hemerocallis)에 對한 形態 및 細胞學的 硏究
Other Titles
Morphological and cytological studies on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Authors
權吉順.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한국산원추리속세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 관악 수목원에서 재배하고 있는 것과 야외에서 수집한 원추리속(Hemerocallis)의 10종류에 대하여 외부 형태와 염색체 수를 조사함과 동시에 원추리 및 왕원추리 노랑원추리 등 3종의 핵형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뿌리는 끝 부분이 굵어져서 타원형 및 난형으로 되고 황색에서 갈색으로 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노랑원추리의 뿌리끝은 굵어지지 않고 붉은색이 돈다. 2. 잎의 색깔은 대부분이 밝은 녹색이지만 원추리는 표면에 흰 빛이 도는 녹색이다. 잎 길이에 대한 화경길이(seape/leaf)의 비율은 큰원추리가 1.0이하였고 다른 종류들은 1.0이상이었다. 3. 화서의 길이는 큰원추리가 매우 짧고 섬원추리와 백운원추리가 다소 길며 기타 종류는 길게 자란다. 4. 꽃은 5월에 피는 큰원추리가 가장 빠르고 애기원추리, 골잎 원추리 순으로 8월까지 피기 시작하였다. 색깔은 원추리, 왕원추리 홍원추리가 노랑 바탕에 붉은 무늬가 있어서 붉은 계통이나 다른 종류들은 노랑색으로 특히 노랑원추리는 레몬색에 가까운 옅은 노랑 이었다. 꽃의 크기는 함양원추리가 모든 부분에 있어서 가장 작으나 꽃의 수는 13~36개로서 가장 많았다. 화분은 단장구형으로 겉은 유두상 돌기가 그물무늬를 형성하며 적도직경의 크기는 왕원추리가 가장 크고 홍도원추리가 가장 작다. 5. 열매의 끝부분은 절두형이 대부분이나 노랑원추리는 노란형으로 끝이 다소 파여졌고 백운원추리는 삼차형이다. 열매의 겉부분은 백운원추리와 골잎원추리가 옆주름살이 있고 다른종류들은 오돌토돌할 뿐이며 원추리와 왕원추리는 결실이 되지 않았다. 6. 잎 표면의 표피세포는 섬원추리가 육각형이었으나 기타 종류들은 모두 직사각형 또는 이파 비슷한 형태였다. 7. 기공은 잎 표면에는 거의 없었으나 섬원추리, 골잎원추리 및 애기원추리에는 간혹 나타나는 것이 있었다. 기공의 크기는 원추리, 왕원추리가 가장 크고 백운원추리가 가장 작았다. 8. 염색체의 수는 왕원추리와 원추리는 2n = 33이었고 노랑원추리를 비롯한 다른 종류들은 모두 2n = 22였으며 노랑원추리, 원추리, 왕원추리의 핵형식은 다음과 같으며 일본에서 규명된 사실과 다른 것은 Clone간의 차이라고 생각되고 노랑원추리는 원추리 보다 왕원추리에 더욱 유사하게 나타났다. Hemerocallis Fulva L. K(2n) = 33 = A^(sm)+B^(sm)+C^(sm)+D^(sm)+E^(st)+F^(sm)+G^(st)+H^(st)+I^(st)+J^(st)+K^t H. fulva var. kwanso Regel K(2n) = 33 = A^(sm)+B^m+C^(sm)+D^(sm)+E^(sm)+F^(sm)+G^(st)+H^(sm)+I^m+J^(st)+K^(st) H. thunbergii Baker K(2n) = 22 = A^(sm)+B^(sm)+C^(sm)+D^(sm)+E^(st)+F^m+G^(st)+H^(st)+I^(st)+J^(st)+K^(st) 9. 섬 원추리는 H. dumortieri Morren(각시원추리)로 동정 되어 재배되어 오던 중 이창복 교수님과 Hemerocallis의 권위자인 Hu박사가 다시 검토한 결과 H. dumortieri var. esculenta kitamura라고 단정하여 주셨으며 이는 우리나라에서 처음 알려진 식물이다.;It is intended to investigat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s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both at the Kwanak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Various parts of Korea as is presented in the Table 1. External characters such as length and width of the leaf, flower, pollen grain etc. were mesured throughly and chromosome number of those species studied was determined with root tips grown from the original materials collected. Among those species of Hemerocallis Karyotype analysis of H. fulva, H. fulva var. Kwanso and H. thunbergii was made from the result of chromosome study.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extracted. 1. Two types of the root are produced : The most general type is enlarged at the end of cord-like root changing white to brownish through yellowish colour, and the other one is no enlargement at each end of the root such as that of H. thunbergii with redish colour, 2. Leaves are light yellow while that of H. fulva is closer to glaucous. On the ratio of scape length to leaf length most species examinal were over 1 except H. middendorfii. 3. Length of the inflorescence of H. middendorfii is shortened and forms compact inflorescence while H. dumortieri and H. hakuunensis elongate somewhat, and that of the others is elongated largely. 4. H. middendorfii opens flower early in may than follows H. minor, H. lilioasphodelus up to the end of August. H. fulva, H. fulva var. kwanso. H. littorea have redish pigment and the others are yellowish orange while H. thunbergii turns to lemon yellow in colour. H. micrantha produces very small 'flower though it bears 13-36 flower on each scape which are largest number of blowers in the Hemerocallis in Korea. All the pollen grains examined are menocolpate, papillate surface of them forms reticulate. Equatorial diameter of pollen of H. fulva var. kwanso is the longest and that of H. littorea.is shortest. 5. Apex of the fruit is generally obtuse of truncate but that of H. thunbergii has notched tip while H. hakuunensis has a fruit with three elevated tips. Surface of the pericarp other most species is tuberculate and cross wrinkled while some of them have horizontally roughened or ridged such as H. hakuunensis. No fruit has been produced by H. fulva, and its variety. 6. Form of the epidermal cell is mostly rectangular or closer to it while H. dumortieri var. esculenta has hexagonal ones. 7. No stomata appeared on the surface of the leaf though there were very few occasional occurance on the surface of H. dumortieri var. esculenta, H. lilioasphodelus and H. minor. H. fulva and its variety have bigest stomata while H. hakuunensis has smallest ones. 8. chromosome number are mostly 2n=22 while H. fulva and its variety had 2n=33. The karyotype analysis of H. fulva, H. fulva var. kwanso and H. thunbergii were analysis as follows. Among those taxa karyotypic affinity between H. fulva var. kwanso and H. thunbergii is closer than H. fulva. Karyotype of H. fulva and its variety appeared here differently form that of former investigators which proves to be a clonal difference of those taxa reported previouly. H. fulva L. K(2n)=33=A^(sm)+B^(sm)+C^(sm)+D^(sm)+E^(st)+F^(sm)+G^(st)+H^(st)+I^(st)+J^(st)+K^t H. fulva var. kwanso Regel K(2n) 33=A^(sm)+B^m+C^(sm)+D^(sm)+E^(sm)+F^(sm)+G^(st)+H^(sm)+I^m+J^(st)+K^(st) H. thunbergii Baker K(2n) =22=A^(sm)+B^(sm)+C^(sm)+D^(sm)+E^(st)+F^m+G^(st)+H^(st)+I^(st)+J^(st)+K^(st) 9. H. dumortieri cultivated so far here were determined as H. dumortieri var. esculenta by professor T.B. Lee and Dr. Shiu yin Hu of the Arnold Arboretum during last summ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