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3 Download: 0

극 공간 디자인의 시각 언어에 관한 연구

Title
극 공간 디자인의 시각 언어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VISUAL LANGUAGE OF THE THEATRE SPACE DESIGN
Authors
김명임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극공간디자인시각언어극공간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극에 있어서 극이 이루어지는 극공간이란 극이 실연되는 무대와 극을 관람하는 객석의 관중이 함께 즐기고 공감함으로서, 감정의 집단 공감대를 형성하며 인간과 인간사이의 정신적, 감성적, 문화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삶의 현장이다. 조형예술, 언어예술, 리듬예술을 유기적으로 총합한 형태를 가진 시간적 공간적 예술인 극에 있어서, 극공간은, 극이 표출하고져 하는 의미전달의 시각적 충격과 배우나 극의 상황을 나타내는 시각언어 효과로서 중요한 역활을 하기때문에 극에 있어서 극공간 디자인은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고, 다양하며 복합적 문화요소인 극예술을 위한 극공간 디자인에 대하여 인간을 위한 공간디자인이라는 입장에서 파악 연구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의 주제인 극공간을 무대디자인에 국한하지 않고 인간을 중심으로 극이 이루어지는 무대와 객석의 총체적인 공간개념으로 접근한다. 극이 이루어지는 총체적인 극공간을 다양한 형식의 극표현이 가능하고 관객의 참여도도 높일 수 있는 돌출무대 (Thrust stage)를 선정했다. 돌출무대를 가진 극공간 「드라마 센타」 (Drama Center) 의 공간적 문제점을 파악 배우의 연기를 수용하는데 있어 가능한한 안락하고, 편안한 관점을 가질 수 있는 객석과 가변성을 추구할 수 있는 무대 공간으로 수정 개수 하였다. 연구의 관련 문헌과 조사자료에 의해 이제까지 실연되었던 극공간 디자인의 형태를 연극형식에 의한 분류가 아닌 극공간의 조형적 형태로 분류, 조형적, 색채심리, 미적, 행동과학 등을 통한 시각언어로서의 극공간 디자인의 입장에서 분석 파악한다. 이러한 의도에서, 만남과 헤어짐이라는 동양적 윤회사상(輪廻思想) 을 바탕으로 함축성과 상징성이 풍부하며, 꿈과 현실, 이승과 저승이라는, 시·공간(時·空間) 의 변화가 다양한 희곡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를 극공간「드라마 센타」에서 공간 디자인의 관점에서 분석 계획하였다. 그리고 극의 상황 이미지를 위한 극공간의 분활을 프로세니엄 아취(Proscenium arch)를 중심으로 그 뒷쪽을 환상의 공간, 또는 온달의 혼이 나타나는 영의 공간, 죽음의 세계로 정하였으며, 돌출무대(Thrust stage) 부분을 현실, 현세의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하여 돌출무대 부분에서 일어나는 행동이나 사건에 대하여 관객은 이웃이 되거나 군중으로서 참여자가 되도록 극중 인물의 현실적인 행동 동선을 돌출무대 앞쪽으로 이끌어 내도록 디자인했다. 또 후면의 등고선과 같은 계단식 단을 쌓아 높이므로서 서막의 절정에서 반전을 나타내는 절간의 종소리와 온달의 혼이 나타나는 감정의 고조와 좌절, 생과사의 반전을 시각언어로서 그 위치를 부각시켜 강조하고져 하였다. 계단식 단의 능선은 자연인 산의 이미지(image) 에서 유도하였고, 중앙의 마루는, 인공장소로서, 한국인의 삶터에서 내부공간인 동시에 외부인 자연과의 합일의 공간개념으로, 마루에 놓여진 구조물에 위해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양면성을 갖는 함축적인 의도에서 설치하였다. 색채에 있어서도 자연색인 땅의 색인 갈색과 그 땅에서 태어나 땅으로 돌아가는 나무(인간) 의 색채감을 바탕으로 윤회사상(輪廻思想) 의 오행설(五行說) 에 의거한 색채심리에 따라서 색채계획을 했으며, 질감 역시 이에따라 계획하여, 자연과 인위의 충격, 우연과 필연의 대비를 시각언어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극공간 디자인은 프로세니엄 무대보다 객석이 감싸고 있는 돌출무대에서 관객이 시각언어가 만들어내는 극의 분위기에 참여함으로써 상황이미지를 위한 시각언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공간이든 인간이 설정한 공간에는 시각언어 감지에 한계성과 더불어 공간의 한계성과 문제점이 생겼음을 시인한다. 특히 프로세니엄 아취와 돌출무대가 공존하는 극공간에서 객석이 돌출무대 부분에서 반원으로 설정되는 까닭에 생기는 시각의 사각지대, 그로인한 프로세니엄 아취 뒷쪽의 무대디자인의 제한성과, 극의 상황 이미지는 3면 밖에 전달할 수 없다는 것은 인간의 시각인지가 3면 일 수 밖에 없는 인간행동의 한계성과 같다 하겠다. 따라서 극공간에 있어서 시각언어로서의 극공간 디자인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타결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극공간 디자인에 대한 시도와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Theatre space reflects an actual life when performers and audiences associate tog-ather, and its respones embodies a spiritral, emotional, and social communication of human life. A dramatic art is a synthetic art of plastic, verbal, and rythemic elements and its colligation is accomplished as theatre space becomes an acting environment of time and space. The thesis aims at studying theatre space in the aspect of space design creating organic conditions in theatre for human being. Theater space which recalls circumstances of human life takes an significant role in society expecially in this dehumanizing world The meaning of Space Design is not only limited to design performing space, but rather it is to define a total space joining stage and auditorium. To speak about total space concept in theatre, thrust stage is the most ideal form for it is flexible to adopt various theatrical styles as well as permiting audience's active participation. I have renovated the thrust stage and the auditorium in Drama Center to increase its flexibility and intimacy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s. Renovation was preceeded by historical review of theatre architecture and by analytical research on plastic, aesthetic, psychological expression of designed stages. For thesis design, I have presented a stage design for "Where and In what shall We Meet" in the renovated Drama Center. The Play symbolically meditates on cycles of life and offers dualistic worlds of dream and reality, and also fo this life and after life. I have set fantastic world of after life behind procenium arch, and have realistic world taken place in the thrust stage so that surrounding audiences can be easily drawn into the action and participate as choruses in the play. Visual Language of the stage design is both symbolic and naturalistic. For the central images of the play are nature and man, the stage unites exterior and interior spaces without barriers : the Korean style floor made in wood stands in the middle symbolizing man's space and it is embraced by the small hills, trees, and flying steps of emotional climax and fall reflecting a constant cycle of life and death. The employment of color is come from the theory of five elements, Ohang. The whole stage is coverd in broken colors of yellow(earth), green(tree, man), red(fire), white(metal) and dark blue(water). The texture comments on the contrasted world of nature and man, and of possibility and probability. Thrust stage appeals audience's emotional and intellectual partnership for dramatic action, and the mystic communion arises ideally when the audience encircles the stage from three side. Theatre space is to realize a metaphonic world into an actual experience of life. In designing theatre space, its essential requirement is not only installing technical equipments, but is rather creating an human environment. For human behavior instinctively finds its freedom in a curved space, theatre space from lobby to auditorium should allow flowing movements in curved passages. Also, the theatre space becomes a complete environment of concentration when the stage and the auditorium make a circle surrounding actors and audiences. In renovated plan, wings could be revolved to make an extended cyclorama in which stage becomes a circle : the thrusted stair-ways on both sides were shortened for the perpose of making a roundstage. Thus, the thrust stage with a rigid proscenium in Drama Center becomes an circus stage, the most familiar and original space form in human life. The aesthetics of theatre space are defined by human behaviorism and its social per-po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