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되는 실존적 인간상에 대한 연구

Title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되는 실존적 인간상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xistential Image of Human expressed in Illustration
Authors
이봉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Keywords
일러스트레이션인간상광고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20세기에 있어서 산업사회로의 발달과 그로 인한 물질문명의 비대한 팽창은 우리를 인간성 상실이라는 위협적인 상황에 처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작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작가란 작품을 통해 물질적인 삶의 세계로부터 도덕적, 정서적 안정감을 지닌 세계를 확립하여, 사회의 잃었던 균형을 회복하게 하는데 그 책임이 있다. 그것을 위하여 먼저 작가는 현실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현실 인식의 폭을 넓혀 그를 작품으로 표현해야 할 의무가 있다. 따라서 논술자는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되는 실존적 인간상에 대한 연구"를 연구논문의 주제로 정하고, 자신을 재인식하는 기회로 시모니데스(Simonides)는 "그림은 말 없는 시요, 시는 말하는 그림이다."라고 하였다. 시가 그속에 무한한 함축적인 의미를 담고 있듯이, 그림 또한 요소 요소마다 무한한 세계를 담고 있음을 뜻한다. 그림이란 기존의 주어진 현실의 재생이 아니다. 그것은 사물과 인간생활에 대한 객관적 견해에 이르게 하는 한 방법이며 또한 무감각하게 지나치는 현실에 대한 새로운 발견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논술자는 무감각하게 지나가는 생활을 더듬어 보고, 그 속에서 자신을 찾고 대중이 함께 공감할 수 있는 작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논술자는 작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실존주의에 두고, 실존주의를 논하기 이전에 가장 근본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하여 캇시러(Ernst Cassirer)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Cassirer는 인간을 상징주의적 동물이라고 하였다. 상징적 사고와 상징적 행동은 인간생활의 가장 특색있는 면이다. 그는 인간은 쉴새없이 자기 자신을 찾는 피조물이며, 동시에 자기 운명의 결정자라고 하였다. 또한 인간은 항상 참과 거짓, 의와 불의, 선과 악이라는 선택의 갈림길에서 선택하는 힘과 자유를 가지며 그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는다. 그에 따라 오늘의 현대인들은 어떠한 모습으로 살아가는지 그리고 우리가 말하는 현대(산업)사회란 어떤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산업사회란 교육수준의 향상, 소비생활의 확대, 조직의 거대화, 역할분화 등의 많은 특징을 갖고 있는 사회로 이러한 산업사회로의 변화는 사회구조에 변화를 주며, 이 변화는 사람의 생활방식과 행동방식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산업화시대에 살아가고있는 사람의 특징을 롤로메이(Rollo May)는 공허하고, 불안하고, 대화할 자기언어를 상실한 존재로 표현한다. 자신의 존재에 대한 확신도 없이 살아가는 현대인들. 이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는 것은 인간실존에 관한 문제이다. 실존주의에서는 실존적 인간관에 대하여 첫째 권태와 우울, 불안의 정조(情操)를 통해서 체험되는 인간의 실존이며, 둘째로는 세계내존재(世界內存在)로서의 인간, 세째로 실존주의는 철두철미 숙명적으로 주어져 있는 존재론적 자유의 본질로 하는 열림꼴로 이해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존주의의 참 의미는 생활속에서 상실한 자기의 모습을 되찾고 본래의 자기에게 귀환함으로써 자기소외, 자기상실의 상태에서 회복, 자기 귀환을 피하고자함에 있다고 말한다. 실존주의를 바탕으로 한 논술자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작품에 표현되는 공간문제, 색채에 있어서 혹과 백이 갖는 상징성에 관해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인간은 행위에서나 예술에서나 자기환경에 대한 반응을 표현하며, 모든 미술작품은 공간에 대한 인간의 시각적, 심리적(정서적)인 태도를 반영한다. 그것은 논술자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나타나듯 긴장, 절망으로 가득찬 무한 공간으로 논술자가 느끼는 현대인의 삶의 공간 표현이다. 그 화면에 있어서 인간의 등장은 공간에 새로운 변화를 준다. 또한 흑과 백의 조화로서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무한한 심리공간을 강조해 주고자 하였다. 그것은 단순한 색채이기 이전에 인간의 본질적인 양면성을 상징한다. 일러스트레이션의 주제연구 및 작품해설에서는 소외의 개념, 그림자 현대인의 모습을 작품화하면서 느꼈던 논술자의 느낌을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특히 주제연구에서는 칼.융(C.G.Yung)의 심리학 이론을 도입하였다. Yung은 "나의 세계는 무의식의 자기 실현의 이야기이다", "인간존재의 유일한 목적은 존재의 암흑속에 한가닥 등불을 밝히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것은 자기인식에 의한 자기실현에의 의지를 말한다. 자기인식은 자기실현에의 길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기를 전혀 모르고 자기를 실현하려는 사람이 많다. 현대인들은 항상 즉각적인 완성을, 즉 순식간에 완전히 자기를 실현한 인간이 되는 기적을 요구한다. 아니 그런 의지도 없이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더 많을지도 모른다. 본고를 통하여 논술자는 현실은 끊임없이 변하고 현실에 대한 인간의 의식과 기대도 변하기 때문에 모두가 공감하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단순한 느낌으로서가 아니라 깊이 생각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함을 깨달았다.;In the 20th century,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material civilization has drived us into a perilous situation like loss of humanity. The role of artists is most important in this situation. Artists take the responsibility of recovery of the balance that society has lost. To do so, artists most try to broaden the righteous recognition of reality and to understand it more deeply. Having this responsibility, I intended to have a change to repercieve myself by titling my report as "A Study of Existential Image of Human expressed in Illustration." Simonides says that "Pictures silent poems, and poems are telling pictures." This means that just as poems have a implicative meaning in them, so picture have a infinite world at important points. Picture are not revival of the reality given already. They are one of the ways to objective opinion about things and human's life, and new discovery of reality overlooked indifferently. In this respect, I intended to reaffirm this life, to discover myself in it, and to create works that the public can share with. I ba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y study on existentialism and presented the theory of Cassirer about "What is human" being the most fundamental question. Cassirer says that human is a symbolic animal. Symbolic thinking and behavior are the most peculiar aspects of human life. He says that human is both a creature to continue finding its ego and a maker one's own fortune. And that human always has force and freedom to choose good or evil, justice or injustice, and true or false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n it. Then, how do the moderns live, today? With it, I looked out the problems about modern industrial society so we call. The industrial society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sed standard of education, enlargement of consumption, enormousness of organization and dividing of roles, and change into such society has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society. Also this transformation has had influence on one's way of life and action. Rollo May characterizes those who live in the industrialized period as beings empty, uneasy and losing one's own language to communicate. The moderns who are not convinced of their beings! To them,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 question about human existence. The existentialism has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existence experienced through the emotion of weariness, melancholy and anxiety, of human as a existence within the world, and of existential freedom given fatally. It is said that the genuine meaning of this existentialism is to try coming back from self-alienation, self-loss by recovering selfimage lost in the life and returning into original self. Based on this existentialism, I briefly explained about the problems in the work and the symbolism of black and white in the color in my illustration. Of the expression of space, Gidion says that the utterance of the art not reflecting human attitude toward space does not exist. Like this human represents response to one's environment in the behavior or in the art, and a work of arts reflects human's visual, psychological attitude toward space. As it is expressed in my illustration, the infinite space full of tension, desperation, is an expression of life space of modern people which I feel. The appearance of human on the canvas varies space newly. And human expressed small there may be the expression of me, cowering mentally. And emphasizing the infinite psychological space surrounding human symbolizes the natural double-faced feature of human. In the topic-study of illustration and commentary on the work, I briefed the feeling that I had in the course of expressing the concept of alienation and the image of modern people in the work. In doing so, I realized that it's difficult to expect observes's significant responses as a well-worn device losing realistic meaning. It is because the reality has continued to change, and at the same time, human consciousness and expectation about it changes. For a work of art arousing everyone's sympathy, the attitude of thinking much and studying deeply is necessary. I am pleased to have a good chance of taking another look at reality and of having a broader understanding of it to utilize in creating new work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