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팽현영-
dc.creator팽현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5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521-
dc.description.abstract책은 다른 매체보다 한층 깊이 문화 발달속에 뿌리 박고 있는 수단이며 그 표현의 동기, 대상으로 인하여 하나의 역사적 성격을 지닌다. 그래픽 디자인의 한 부분인 표지 디자인은 시대의 변천에 따라 문화를 종합한 매체로써 그 시대의 리얼리티를 표현하는 문화의 표현양식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의미론적 대상으로서 그 나라 문화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표지 디자인에 대한 효과적인 연구는 절실히 필요하다. 북 디자인(Book Cover Design)이란 「출판물의 공간 처리를 미적으로 일괄하되 제작하는 디자인 작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그것은 표지 디자인, 판형의 확정, 활자의 선택, 제책의 방법에서부터 마지막 판권의 작업시까지를 포함하는 인쇄물의 전 제작과정에 있어 보다 나은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얻도록 노력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이러한 디자인은 책의 고유한 특성으로 책의 생명력을 부단히 찾아내고 돋보이게 함으로써 책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새롭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디자인과 구별된다. 우리나라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을 타국(他國)과 비교하여 볼때, 통합된 굳 디자인(Good Design)의 전집물이 부족하다 볼 수 있다. 이 점에 입각하여 소설이라는 문학의 장르 아래 동일화(同一化)하는 질서를 가진 전집물로서 책의 표지 디자인이 시각적 아이덴티티(Identity)를 부각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本) 연구는 한국대표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을 포괄적으로 연구함으로써 표지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시각표현의 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本) 논문에서는 서적의 여러 체제중에서도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이 그 나라의 퍼스낼리티(personality)를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일관성(一貫性) 있는 책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Ⅱ장에서는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의 개요(槪要)를 다룸으로써 구체적인 전집물의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고, 이를 시각적 측면과 연관시켜 그 유기적 관계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그리고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의 현황에 관해 논하고 구체적인 표지 디자인의 방향설정을 위해서 지금까지 발행된 전집물의 표현방법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표지 디자인에 있어서 책의 내용을 압축, 이미지화하는 표현방법으로서 전집물 표지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시각표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무엇'이라는 표현의 내용과 '어떻게'라는 표현의 방식에 중점을 두고 주관적인 표현방법으로서 표지 디자인의 가능성 및 전개에 대해 논하였다. 표현기법으로는 사실적인 형태를 반복된 복사(複寫)에 의해 깨트림으로써 본래의 형태는 사라지고 희미한 윤곽만 남아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기법을 취하였다. 반복된 복사에 의해 깨어진 기법의 특성은 형태의 경계가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는 암시적 이미지, 생략에 따른 형태의 단순성, 깊이 있는 질감, 깊이 숨쉬는 인간미, 은은한 분위기의 연출, 형태의 자연스러움, 친밀한 이미지등으로 독자에게 감동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Ⅳ장에서는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한 소설을 선정하고 작품을 제작 제시하였다. 작품으로는 이광수 作 「흙」, 「무정 」, 심훈 作 「상록수」, 김유정 作 「노다지 」, 황순원 작 「나무들 비탈에 서다」, 채만식 作 「탁류」, 선우 휘 作 「쓸쓸한 사람」, 이 문열 作 「익명의 섬」등 8점의 책을 디자인하였다. 여기에서 표현적 특징으로는 책의 내용에 연계된 이미지의 표현에 중점을 두었고 조형요소인 형태(form)와 색채(color), 글자체(type face), 레이 아웃(lay out)등은 통일 된 단위로서 리드미컬(rhythmical)한 시각표현을 꾀하였다. 그래서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과 그 밖의 조형 요소가 전체로서 통일감을 이루도록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의 일관성을 강조하였다. Ⅴ장에서는 문화가치로서 그 시대의 거울이라고 할 수 있는 책 표지 디자인은 우리나라의 문화적 이미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매체로서 개발이 필요하며 계속 연구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앞으로의 표지 디자인 연구는 좀더 구체적이고 밀도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바이며 또한 책의 디자인과 제작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바람직한 책문화를 가꾸어야 함과 동시에 어떻게 전체 문화에 기여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The book is a means which takes root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more deeply than the other media and it has historical characteristics due to its motivation and object of expression. The book design, a part of a graphic design, can be said that it speaks for the expressive pattern of culture expressing the reality of that times as the art synthesizing cultur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s. And therefore, effective study of book design which influences the image of the country's culture as a meaningful object is urgently necessary. The book design can be defined as 「a work of design which produces the space treatment of publications aesthetically and collectively」 That is, it is the work which makes an effort to obtain the better effect of visual communication in whole procedures of a production including the works from cover design, decision of a moulding pattern, selection of a printing type and the method of book production to having a copyright finally. This design is distinguished from other designs in the point of having the power which makes one's perception about books new by searching book's life constantly and making book looks better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When the designs of Korean literary complete collections a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the complete collections with coordinated Good Design are dificient. In the point of this, I think that the book design having the order of identifying under the genre of a book named novel can make visual identity eminent. This study intended to suggest a direction of desirable visual expression which book design should pursue by studying of book design for Korean representative literary complete collection exclusively. In the proceeding of this study, novels were choosed as a subject matter among various genres. For the novel is a main genre in publishing area and it is more visual and has the property more appealing to feelings directly than any other genre. In this thesis, having an eye on the point that the cover design of literary complete collection can give life to each country's personality best among various systems of publications, concrete property and characteristics of complete collections were studied by treating an out line of book design for a literary complete collection and its organic relationship by relating it to visual side was described in chapter Ⅱ. And the situation of book design of a literary complete collection was discussed and the expressive methods of complete collections which has been published until now were investigated for establishment of a direction in a concrete book design. In Chapter Ⅲ, a desirable direction of visual expression which book design should pursue as an expressive method compressing and imaging the contents of book in book design was suggested. That is, on the focusing was suggested. That is, on the focusing of the expressive content which is "what" and the expressive method which is "how" the possi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book design as subject expressive methods were discussed. As the expressive technique, the technique which produce indistinct mood with faint outline by disappearing of original form due to breaking the real form with repeatedd copies was choose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ique breaking with repeated copies is that it can 'move a reader with suggestive image not showing the distinct outline of its shape, the simplicity due to omittion, the deep feeling of touch, the humanity breathing deeply, the production of indistinct mood, the natural property of a shape and familiar image etc. This is the expression having the foundation at our traditional formative consciousness on the basis of total regulations of Korean representative literary complete collections (a national literature, a race literature and a pure lyric literature) and also has a relation with humanitic image which is the intimacy caused by the novel or the recover of humanity. In chapter Ⅳ, novels were selected for the production of book design of literary complete collections and the productions of their works were presented. As the works, 8 books were designed such as 「the heartlessness」 by Kwangsu Lee, 「the Evergreen Tree」 by Hoon Shim, 「Nodaji」 by Yujeong Kim, 「Trees Stand at a Slop」 by Soonweon Whang, 「The Nuddy Stream」 by Whyi Sunwoo, 「An Anonymous Island」 by Moonyeol Lee etc. Here, as expressive characteristics, the expression of natural shape was emphasized and the formative factors such as Form, Color, Type face, Lay out etc. were tried for rhythmical visual expression as a united unit. And therefore, the consistency of book design of literary complete collections was emphasized in order to accomplish unity by illustrations and other formative factors. In chapter Ⅴ, it was emphasized that the development of book design which can be said that a model of culture in each times was necessary as a concrete medium which can express efficiently our cultural image and it is an important subject to study continuously. I think that the study of book design in the future should be proceeded more concretely and more densely and the recognition about production and design of book should be elevated and the desirable book culture should be cultivated and also how we can dedicate us to whole culture should be considerated deep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Ⅱ. 문학전잡 표지 디자인을 위한 기본 연구 = 4 A. 전집의 의미 = 4 B. 「문학전집」의 시대별 성격 = 5 C.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의 특성 = 7 D.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의 제작의도 및 문제점 = 11 Ⅲ. 문학전집 표지 디자인의 표현 = 18 A. 우리나라 문학전집 표지디자인이 지녀야 할 요소 = 18 B. 표현 방향 = 26 1. 상징적 표현 = 33 2. 은유적 표현 = 36 원문누락 = 45 원문누락 = 45 1. 레이아웃 (lay out) = 47 2. 일러스트레이션 (Illustration) = 48 3. 색채 (color) = 49 4. 표제 = 50 B. 작품분석 = 50 Ⅴ.결론 = 74 참고문헌 = 77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7786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문학전집-
dc.subject표지디자인-
dc.subject한국대표문학전집-
dc.subject그래픽-
dc.subject광고디자인-
dc.title문학전집 표지디자인의 표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한국대표문학전집」표지의 그래픽부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xpressive Method of Book Design for a Literary Complete Collection : Centering on Korean Representative Literature-
dc.format.pagex, 83 p. : 삽도(일부채색).-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