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禹賢珠-
dc.creator禹賢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62-
dc.description.abstractHistory education is to educate history as a subject. And therefore, history is the important background of the history education. in addition, it has been emphasized that the historian ought to charge the work of searching the general ideal(the procedure of structure and research) in the history education since the course of education was introduced. But during the last period, the history education has too much depended on history. On the spot of public education, the purpose of teaching history is at the cultivation of the historical thought of students. And also, to 'transrate' the general historical idea into what is proper for the ability and standard of students should be abundant by the theory and the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History study and history education have the professional and independent range respectively, and they have a close relation mutu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systemize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as the curriculum pedagogy by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organic relevancy of history study and history education and by the mutual supplement and cooper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was composed as follows. In the chapter Ⅰ, introducction, the purpose, method and critical point of study were clarified. In the chapter Ⅱ, the precondition for the contents systemization of history education, the relation between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education and the relevancy of history study and history education were arranged with the preceding study in the center. In the chapter Ⅲ, the change of Korean history change and national history education, the result of history study and the change & development of study tendency offering the contents of national history education were arranged by the time directly since the release. In the chapter Ⅳ, 'the issue on the systemization of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the question to be raised in systemizing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was examined on the premise of the unification of history study and education. Here, four kinds of issues were raised centering around the critical mind of the side of present history study and the description of national history textbook. That is, it was indicated that the issue of masterr of history, the issue of structuralization of study contents, the issue of present nature of history, and the issue of overall nature of history etc. will have to be examined more positively in the history study and history textbook description. In the chapter Ⅴ, 'summary and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nd the study question to have to be made in the future for systemizing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as a field of curriculum education was suggested. In this study, limitation was made to arranging the issues to be raised in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with the Korean history study and the description of national history textbook in the center. But, 4 kinds of issues for unifying the study and education of history raised in this study are regarded as the usful issues in con titut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of world history.;역사교육은 '역사'를 주제로 교육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역사학은 역사교육의 중요한 학문배경이 된다. 또한 학문중심 교육과정 이론이 소개되면서 부터는 역사교육에서 역사의 일반적인 아이디어(구조와 탐구의 과정)를 찾는 일은 역사학자가 담당해야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역사교육은 '역사학'에 지나치게 의존해왔다. 公敎育의 현장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목적은 학생들에게 역사적인 사고력을 키워주는데 있다. 또한 역사의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학생들의 능력과 수준에 맞게 '번역'하는 것은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천에 의해서 더욱 풍부해져야 한다. 역사 연구와 역사 교육은 각각 전문적이고 독자적인 영역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는 역사 연구와 역사 교육의 유기적인 관련성에 보다 주목하였고, 두개의 영역이 상호 보완하고 협조함으로써 교과교육학으로서의 역사교육의 내용을 체계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 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 및 한계점을 밝혔다. 제 2장 '역사교육 내용체계화를 위한 전제조건'에서는 교육과정이론과 교과교육의 관계, 역사 연구와 역사 교육의 관련성에 대하여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제 3장 '한국사 연구의 추이와 국사교육'에서는 국사교육의 내용을 제공하고 있는 역사 연구의 성과와 연구경향의 변화 · 발전을 해방 직후부터 시기별로 정리하였다. 제 4장 '역사교육 내용의 체계화 문제'에서는 역사 연구와 교육의 통일을 전제로 하고, 역사교육의 내용을 체계화하는데 제기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현재 역사 연구측의 문제의식과 국사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 네가지의 문제를 중심으로 제기하였다. 즉, 역사의 주인공 문제, 학습내용의 구조화 문제, 역사의 현재성 문제, 역사의 전체성 문제 등이 역사 연구와 역사 교과서 서술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하였다. 제 5장 '요약 및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교과교육의 한 분야로서의 역사교육의 내용을 보다 체계화하기 위하여 앞으로 이루어져야할 연구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 연구와 국사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정리하는데 한정하였지만,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역사의 연구와 교육을 통일하기 위한 네가지의 문제는 세계사 교육의 내용을 조직하는데에도 유용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한계점 = 2 Ⅱ. 역사교육 내용 체계화를 위한 전제조건 = 5 A. 교육과정 이론과 교과교육 = 5 B. 역사학과 역사교육의 유기적 관련성 = 9 Ⅲ. 한국사 연구의 추이와 국사교육 = 21 A. 해방직후 한국사 연구 = 21 1. 해방직후 한국사 연구의 과제 = 21 2. 한국사의 체계화 = 23 3. 분단 사학의 전개와 국사교육의 문제 = 27 B. 1960ㆍ70년대의 한국사 연구 = 30 1. 식민사학의 극복ㆍ민족주의 사학의 재건 = 30 2. 주체적 민족사관과 국사교과서의 국정화 = 33 3. 분단시대 사학론의 대두 = 35 C. 80년대의 한국사 연구 = 36 1. 80년대 한국사 연구의 특징 = 36 가. 연구성과의 양적인 증가 = 36 나. 연구대상 및 범위의 변화-巨視的 歷史認識, 民衆史學의 등장 = 38 다. 역사연구의 대중화 = 40 2. 역사학의 보수와 진보의 문제 = 43 3. 역사학계의 국사교과서에 대한 관심 = 47 Ⅳ. 역사교육 내용의 체계화 문제 = 51 A. 역사의 주인공 문제 = 52 B. 학습내용의 구조화 문제 사실과 일반화 = 61 C. 역사의 현재성 문제 = 65 D. 역사의 다면성 문제-이웃학문의 수용 = 69 Ⅴ. 요약 및 결론 = 75 참고문헌 = 78 ABSTRACT = 8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43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역사교육-
dc.subject체계화-
dc.subject역사연구-
dc.subject국사교과서-
dc.subject한국사-
dc.title歷史敎育 內容 體系化를 위한 先行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역사연구와 역사교육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Preceding Study for Systemization of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 Centering Around the Relevancy Between the History Study and the History Education-
dc.format.pagev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