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영미-
dc.creator최영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1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1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150-
dc.description.abstractThe day hospital is an effective form of the psychological care institution for the patients at convalescent stages. Built environment where the patients are cared of might be of utmost importance for their recovery, and it seemed a good hypothesis of this dissertation. Minimum requirements of the facilities was drawn out through surveys on the existing day hospitals in Korea and on the documents introducing foreign examples. On this basis, a conceptual model of the functional relationship was laid down to delineate the spatial composition as a result. This model enables to demonstrate the hierarchy and the order of the related activity spaces. Findings are as follows: . An environment for rehabilitation should be a unified and systematic one rather than a simple provision of the facilities. . Design of the facilities should be an activity with concrete purpose focused on the meaningful care of the patients. . The problem-solving mechanism should be dynamic design procedures with appropriate feed-back rather than the sequential logics only to make the design close to perfection. . Finally, a designed space should prove itself to be organic in regard to the activities it contains. Throughout the thesis some limitations were recorded: . Since the surveyed institutions in Korea were mostly the provision of physical spaces and accommodated as a part of acute care hospitals, information on the independent day hospital as is in this model was not sufficiently obtained. . Substantial effect of the care through the purpose designed environment, as was the very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not observed due to the same reason above. . Available publication on rehabilitation facility design was limited to that of physical disability, understanding on the utilization pattern of psychological patients at a day hospital was limited at hypothetic level. Home care and the designed environment for it,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comprehensive care programmes, was not within the study contents.;정신질환을 죄악시하여 징벌적 방법으로 환자를 지역사회에서 격리된 곳으로 추방하던 원시시대를 지나, 신학에서 정신의학이 분리되면서 정신질환에 대한 인간적 대우가 시도된 것은 16세기 이후의 일이다. 환자의 쇠사슬이 풀어지고 치료와 연구의 문제가 중심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수용시설의 환경은 낙후되고 병원은 고립된 체 환자의 행동조정에만 전력이 기울어졌다. 19세기 후반에 인도적인 개혁과 더불어 역동정신의학의 발달로 정신치료의 새로운 계기가 마련되고 치료적 환경에 관심이 일기 시작했다. 현재 선진국에서는 예방, 조기진단, 치료, 지역사회로의 복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치료적 자세가 보건의료의 측면에 확대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신질환자를 수용하는 시설에는 종합병원을 비롯하여 178여개의 치료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나 그 환경의 낙후성은 전근대적인 실정이다. 또한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은 진단, 치료 후 사회로 곧바로 돌려지나 재입원하는 경우가 많고 재입원은 안하더라도 정상적인 사회적 기능이 마비된 상태로 시간을 보내고 있는 환자의 수가 대다수이다. 서구에서 는 1940년 후반부터 부분입원 제도를 수용하여 급성 정신증상이 소실되었다고 진단된 환자에 한하여 부분입원 시설인 낮병원, 밤병원, 또는 주간병원에 환자의 사정과 상황에 맞게 수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부분입원 제도를 과도기 적으로 실시하고 있는데, 현재는 실험적 단계에 있고 그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어 시설수의 증가는 물론이고 치료환경의 질적인 발전을 위하여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지향되리라 믿어지고 있다. 지금은 몇몇 병원에서 Day Hospital(낮병원)을 운영하고 있는데, 그 시설의 수준과 내용이 천차만별이고 표준안의 부재로 치료 및 사회복귀의 목적보다는 단지 수용시설의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수용이나 놀이시설의 제공 역할을 지양하고 사회적응, 직업적 적응과 일상생활 적응을 궁극적 목표로 하여 정상인으로서 현실 지각 능력을 가지고 사회생활의 성공적 수행이 가능한 정신적 재활시설을 디자인론적 접근방법으로 체계화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 을 두고 있다. 이 Day Hospital(낮병원)을 대상으로 치료에서 한 단계 발전된 재활센타로의 기능을 부가하여, 이러한 재활활동에 필요한 공간 환경 에 질서체계를 부여 하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진행상 디자인 프로세스의 기본 계획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 환자의 형태 및 NEED, 사례 분석, 제공되는 의료서비스에 관한 정보 등을 총체적으로 파악하여 디자인적 논리 체계와 종합된 지역사회의 보건시설 환경을 조성하는데 계획의 목표를 두었다. 둘째, 가상적으로 설정된 병원의 위치는 사회성 회복과 사회적응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사회 구성인과의 접촉이 꾸준히 유지되며, 환자의 내원시 교통편의를 고려하고, 다양한 재활활동이 활발히 진행 될 수 있도록 임의의 도심지역으로 정하였다. 세째, 특히 환자는 부자유스러우며 수동적인 점을 고려하여 활동 스케줄은 환자의 적극성을 배가시키도록 계획하며, 그 스케줄에 따른 행위가 적절한 크기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도록 모델을 설정하였다. 네째, 기능과 미적인 측면에서 추출된 디자인 요구사항을 문제 해결과정에 적용시켜 합리적인 디자인 결과물을 도출하는데 객관적 근거로 확보하였다. 이점이 의료 환경 디자인의 성공적 수행에 필수적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다섯째, 제반 관련분야 학문들의 총체적 집합체인 디자인이 인간을 둘러싼 환경에 기여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다학문적인 접근을 통한 '인간화'된 재활환경의 조성을 의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디자인 결과가 환경디자인의 측면에서도 환경적 요소로서 상호유기적 관계와 상호조화성을 형성하도록 하여 진일보한 디자인 문화에 일익을 담당하도록 의도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Ⅱ. DAY HOSPITAL의 이론과 실제 = 4 A. 공간환경에 대한 고찰 = 4 1. 개념 및 기능 = 4 2. 치료적 운영 = 5 3. 공간의 구성요소 = 5 4. 내부의 환경적 조건 = 8 B. 이용자에 대한 고찰 = 12 1. 이용자의 특성 = 12 2. 이용자의 일일 스케줄 및 요법의 종류 = 14 C. 사례분석 = 19 Ⅲ. 디자인론적 문제접근 = 22 A. 디자인의 완벽성 = 22 B. 환경 심리에 의한 문제 접근 = 24 1. 환경심리와 형태 = 24 2. 공간적 행태에 의한 접근 = 26 3. 환경심리와 의료환경 = 27 C. 디자인 방법론에 의한 문제 해결과정 = 29 Ⅳ. 디자인 형성과정 = 36 A. 종합단계로서의 디자인 = 37 1. 디자인 목표수립 = 37 2. 개념적 모델(Model)의 제안 = 38 3. 재활환경의 디자인 = 60 가. 디자인 기준 = 60 나. 디자인의 전제조건 = 62 다. 재활활동에 따른 공간의 위계질서 = 81 B. 평가기준 = 119 Ⅴ. 결론 = 123 참고문헌 = 125 ABSTRACT = 12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92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재활센타-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Day Hospital-
dc.title재활센타 환경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Day Hospital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OF REHABILITATION CENTRE : with main focus on the day hospital for mental rehabilitation-
dc.format.pagex, 13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2.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