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유미-
dc.creator김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0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7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40-
dc.description.abstract인간은 그들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생활속에서 미를 발견하고 찬미하고 추구해 왔다. 이와 같이 주거생활에 대한 생리적 욕구의 하나로 생겨난 휄트(felt)는 인간생활과 함께 해온 인류 최초의 직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휄트는 중앙아시아, 북부유럽 같은 한냉한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독특한 재질감과 어우러진 장식적 문양은 각 지역의 문화를 대표하고 있다. 또한 그 재료가 주는 친밀감과 아울러 다양한 표현방법 때문에 휄트는 오늘날 현대섬유예술 분야에서 새로운 매체로서의 활용가능성이 재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인에게 전달되어지는 휄트의 미적 특수성은 자연의 원초적 순수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감각의 대상으로 선택되어 졌다. 본 논문은 전통휄트의 지역적 특성과 전통적 문양표현에 관한 연구라는 두 가지 측면을 통하여 분석 고찰하였으며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본인은 전통휄트의 기법을 터득하게 되었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전통휄트의 상징적인 문양으로부터 작품대상의 의미나 본질을 포착하여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표현보다는 상징적인 의미에 중점을 둔, 이른바 원시미술이나 인상파의 이론중의 하나인 "자연의 상징화"에 중점을 두었으며 특히 휄트 재료 자체에 내재한 질감효과와 원초적인 색채가 작품제작의 중심이 되었다. 즉 자연으로부터 얻어진 서사적 현상을 본인의 내적인 감정과 융화, 교합시켜 서정적이고 상징적으로 전환된 이미지를 표출하고자 하였다.;The human bing has discovered, extolled, and Searched for the beauty in life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since the dawn of history. The felt technique which came into being as one of the physiological desire of the life can be said that it is the first textile thechnique of human race. The felt has been used as pradical articles of life from ancient days such as carpets growns, boots, and wall hangings. We find many beautiful, decorative patterens from traditional felt works throughout the world. The geometric forms of the traditional pattern also gives symbolic images of the country,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history, the felt techniques and the patterns of some representitive countries theoretically. I especially like the primitive color, giometric form and Symbolic image of the traditional felt carpet. The felt material itself, made by wool fleece has the warmth and purity of the nature. In my felt work, I tried to express the image, lyrically and symbolically, from the nature of four seasons. I hope this thesis can stimulate korean felt artists and we're looking forward to the further sta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felt techniqu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범위 및 방법 = 1 Ⅱ. 휄트의 이론적 고찰 = 2 A. 휄트의 개념 = 2 B. 휄트의 발생사 = 3 C. 전통휄트 작업의 지역적 특성 = 9 D. 전통휄트의 문양분석 = 25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35 A. 작품배경 = 35 B. 제작과정 = 36 C. 분석 = 43 Ⅳ. 결론 = 53 참고문헌 = 54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6230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전통 휄트-
dc.subject조형-
dc.subject자연상징화-
dc.subjectFELT-
dc.title전통 휄트의 조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작품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PLASTIC OF TRADITIONAL FELT : CENTERED ON MANUFACTURE OF ART-
dc.format.page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