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內壁用 陶磁製 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Title
內壁用 陶磁製 타일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ILE FOR INTERIOR WALL
Authors
엄재원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내벽용도자제타일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이 생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環景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살아가느냐는 것은 과학과 산업의 발달로 인해 차츰 깊이있게 생각되어지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의 比率을 보면 建築의 외부에서보다는 내부공간에서의 시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부공간의 技能的, 美的 처리는 보다 快適한 생활환경의 조성뿐만 아니라 정서의 함양, 성격의 형성에도 많든 적든 미치는 바가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직접적인 생활영역인 주거환경이 중요시되며 건축에 대한 발달이 漸進的으로 이루어지면서 建築材料 또한 큰 발달을 가져 왔다. 本 硏究에서는 建築材料중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차원에서 내장제 타일(Tile)을 그 주제로 삼았으며 타일의 특성과 實用性, 裝飾性등을 겸비한 안락하고 快適한 실내공간을 위한 디자인 硏究에 그 目的이 있다. 硏究의 範圍는 건축에 있어서 바닥이나 벽면처리의 중요한 소재로 이용되는 타일중 실내장식적인 측면과 인간이 보다 많은 시간을 보내는 내부공간에 있어서 視覺的으로 아름다우며 기능면이나 장식적인면에서 표현 범위가 넓은 내벽에 한한다. 특히 형태상에 있어서 立體性을 가미하므로해서 벽면처리의 효과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試作品에 대한 디자인 계획은 기존 타일의 형태에 입체성을 강조하며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의 형태를 고루 이용하여 또 다른 아름다움을 찾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계획하였다. 제작방법에 있어서는 석고들에 의한 이장주입성형을 이용하였다. 이 論文의 전개로는 제 1장은 硏究의 目的, 方法, 範圍를 서술하였으며, 제2장은 타일의 歷史에 관해 서술하였다. 제3장은 타일의 現況과 타일의 구비요소에 대해 서술하였고, 제4장에서는 보다 裝飾的이며 입체적인 타일에 대한 디자인 계획과 試作品 製作과정과 作品에 대한 解析을 하였다. 제5장에서는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된 기존 타일의 형태인 시각적으로 단조로운 평면에다 입체성을 강조하는 동시에 내장제로서 실용적이고 장식적인 타일에 대해 시작품을 제작하므로서 제작과정상의 시설 미비로 인해 과학적인 제작, 생산보다는 디자인에 중점을 두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디자인에 대한 개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이다.;In human being's life management, living in what condition and which way is gradually becoming deeply thought part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ndustry. When we see the ratio of space in which person lives, time spent in interior space of the building takes more than in exterior space. It is thought that the functional and esthetic treatment of this interior space affects, more or little, to the cultivation of emotion, formation of character as well as to the preparation of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In this circumstance, housing environment is considered as important and architectural material also brought big development with the gradual development of archite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king the ceramic ware material in architectural materials as an expression material and taking the interior decorational tile as it's subject in a part of environmental ceramic ware which can improve environment, to make an easy and comfortable interior space with an all-round material combined the character of tile, utility and decorational character. The scope of this study limits to the wall space, beautiful in visual and practical in functional and decorational aspect that a very good part to be expressed as an art, and especially by adding cubic character to the form of existing tile, to increase wall treatment effect. The design scheme to the test work planned to find the unity with modern art, stressing cubic character to the form of existing tile and evenly using the form of regular square, rectangular form and triangle. As a making method, moulding by paste pouring with plaster frame was used. As a development of this study, Chapter Ⅰ described the purpose, metho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Ⅱ described about the history of tile, Chapter Ⅲ described the present condition of tile and design plan about more decorational and cubic tile based on it, chapter Ⅳ described about the test work manufacturing, centering on design, accompanied by processes. And the conclusion in chapter Ⅴ, stressed at the same time the cubic character on the visually monotonous plane which is the existing form used generally up to now, and suggested, though insufficient, the direction about practical and decorational tile as an interior decorational material . And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about this part should be continu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