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은신-
dc.creator박은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4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5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533-
dc.description.abstractHuman being's interest to nature has been developed with the change of consciousness from the past until now, and nature has been expressed in many ways by the plastic will of human being and sense of beauty. What nature is regarded as an object means that artists see the internal nature through mental eyes to find to plastic factors and create another world of beauty to develop it to the stage of art. The creative activity that artists uniquely express nature by their own visual measure is the trend of modern art. We can see the same trend in dying design without exception. So, anyone can easily see the effort to pursue aesthetic value of plastic art by using new and unique expression technique which only dying design ha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lies in extracting the plastic factor from the profound dispensation of nature and groping for the possibility of plastic expression in dying design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creative nature. In the theoretical study for the purpose, I came to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through studying the expression of nature, through investigating the object for expression,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expression methods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work of art, through creating the work of art and analysis of it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human being's plastic will is expressed in different ways by one's own subject - not by mere depiction of nature - through research and study of nature's newness. Second, plants have various shapes in harmony with nature from a different viewpoint. Order and rhythm of nature in various shapes of plants have become the proper object of a plastic work. Third, the study of visual sense theory made it possible to recognize the change of viewpoint from which we can see the new facade of objects. In addition, the plastic re-composition extracted from that viewpoint can present shocking aesthetic impression to common field of view. The last, creation of the work made it possible to find the unique technique and possibility of expression which only dying design can have, even though I faced the difficulty in grasping characteristics of dyestaff and textile. In the course of creating the works, I felt the lack of enough research for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for broader world of emotion. And I also experienced monotonousness resulted from the combination of similar colors. But I have confidence that I can build up the better field of plastic art toward dying design through the ceaseless study in the future.;인간의 자연에 대한 관심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의식의 변천과 함께 계속 전개되어 왔으며 자연은 인간의 조형의지와 미의식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으로 표현되어 왔다. 자연을 대상으로 본다는 것은 심안(心眼)을 통해 그 내면성을 투시하여 조형적인 요소를 찾아내어 또 하나의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며 예술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창조적 활동은 자연을 보는 시각적인 척도에 따라 독특한 표현을 하는 것이 현대미술의 추세라 하겠다. 이러한 현상은 염색공예에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염색만이 지니고 있는 새롭고 독특한 표현기법으로 조형예술로서의 미적 가치추구를 위한 노력이 부단히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심오한 자연의 섭리속에서 조형적 요소를 추출하여 독창적 자연을 재조성 함으로써 염색공예에서의 조형적 표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에서 자연의 시지각, 자연의 표현에 대해 고찰을 해보고 작품제작을 위해 표현소재, 재료와 기법, 표현 양식을 연구하며 이러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작품제작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간의 조형의지는 자연에 대해 새로움을 탐구하고 연구하며 자연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 주관에 따라 각기 표현을 달리 하고 있음을 알았다. 둘째, 자연의 조화속에서 식물형태는 보는 관점에 따라 각각의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그 속에 내재된 자연의 질서와 리듬감은 조형적 작품의 적절한 소재가 되었다. 셋째, 시각적 이론의 연구를 통하여 사물을 새롭게 보는 시점의 변화를 인식하였으며, 시각적 시점에서 추출된 형태의 조형적 재구성은 일상적인 시계(視界)에 충격적인 미적 감동을 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넷째, 염료와 섬유의 특성 파악이나 기법상의 어려움이 따르지만 염색공예만이 지닐 수 있는 독특한 기법과 표현 가능성을 알 수 있다. 작품의 제작과정에서 소재에 대한 충분한 연구와 좀 더 폭넓은 감각적인 세계를 표현하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 동일색조의 배색에서 오는 단조로움을 느꼈으나 앞으로의 계속적인 실험적 연구로 보다 나은 염색공예로의 조형세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내용 = 1 C. 연구방법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자연의 시지각 = 4 B. 자연의 표현 = 7 a. 대상의 관찰 = 7 b. 대상의 표현 = 8 c. 대상의 변형 = 13 Ⅲ. 작품제작 및 분석 = 19 A. 작품제작 = 19 1. 표현소재 = 19 2. 재료와 기법 = 20 3. 표현양식 = 20 B. 작품분석 = 23 Ⅳ. 결론 = 35 참고문헌 = 36 ABSTRACT = 3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28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식물-
dc.subject염색디자인-
dc.subject조형세계-
dc.subject재구성-
dc.title식물의 구상적 재구성-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염색 작품제작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The) Concrete Re-composition of Plants-
dc.format.page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