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미경-
dc.creator송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7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4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409-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現代陶磁의 양상은 과거 進行되어 왔던 器形에서 脫皮하여 造形成과 主觀性을 강조하는 순수미술로서의 領域을 형성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다른 藝術作品과는 달리 그 제작과정에서 과학적인 分析과 硏究를 필요로 하는 陶磁藝術은 20C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한 많은 技術的 進步로 그 면모를 달리 해가고 있다. 최근 우리 생활주변의 디자인 제품이 Matt 化됨에 따라 陶磁分野에서도 Matt에 대한 취향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Matt에 관한 資料를 蒐集 調査하여 다양한 색감의 안정된 Matt釉를 찾고자 하는 目的에서 시도하여 보았다. 유약실험을 위하여 우선 基本釉로 石灰釉(0.3 Na_(2)O·0.7 CaO·0.5 Al_(2)O_(3)·4 SiO_(2))를 선정하고 여기에 염기성 성분들은 고정시키고 Al_(2)O_(3)와 SiO_(2)의 당량을 변화시켜서 조성된 30종류의 釉를 1200℃와 1250℃에서 각각 소성하여 용융상태를 관찰하였다. 이 二成分系 실험중 磁器釉 소성온도에 가장 적합하고 表面狀態가 가장 양호한 유약인 11번釉를 선정, 당량(0.4 Al_(2)O_(3)·2 SiO_(2))을 고정시키고, 다시 여기서 염기성 성분인 Na_(2)O와 CaO 성분중 Na_(2)O는 0.3 mole로 고정시키고 CaO성분 0.7 mole을 CaO-BaO-MgO, CaO-BaO-ZnO, CaO-ZnO-MgO로 각각 변화시켰다. 이렇게 조성된 15종류의 釉를 1200℃와 1250℃에서 소성하여 Matt의 발생범위, 표면질감, 유백의 정도, 균열의 有無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三成分系 실험결과중 가장 표면질감이 좋고 균열이 없는 상태인 CaO-BaO-ZnO의 7번釉를 선정하여 여기에 발색제를 첨가해서 다양한 발색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발색제로는 CuO, CoO, Fe_(2)O_(3), TiO_(2), NiO, SnO_(2), V_(2)O_(5) 등의 금속산화물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을 단일성분, 2가지 성분, 3가지 성분으로 각각 혼합하여 발색실험을 하였다. 이 발색실험은 청자소지와 백자소지에 각각 시유하여 산화염과 환원염으로 1250℃에서 소성하였다. 이러한 유약실험 결과 SiO_(2)와 Al_(2)O_(3)의 당량이 일방적으로 클수록 Matt化 되고 未용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三成系의 15가지 조합중 2가지 成分으로 조성되었을 경우, 이들이 서로 융제 역할을 하여 광택이 많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발색실험에서는 산화염과 환원염 소성에서 색감이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실험한 유약들을 각각 백자소지와 청자소지에 적용시켜본 결과, 청자소지에 시유한 釉보다 백자소지에 시유한 釉에서 더 발색이 좋고 안정된 상태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다양하면서도 매력적인 도자예술을 추구하는 現代의 세계 도자예술계와 호흡을 같이 할 수 있고, 앞으로 조형물의 美的 특성을 강조하기 위한 도예가의 藝術的 表現에 보다 널리 응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Nowadays an aspect of modern ceramics takes a trend to make a field as a pure art. It is emphatic on mold and subjectivity free from past ceramic forms. The art of ceramics which needs the scientific analysis and research for the process of work has been altered its phase since advanced science of 20th century have had an effect on technical progres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faculty of pottery goes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variations. Lately the ceramic taste has risen to the matt, according as all the design products around us have it. Therefore this research is attempted to find the stable colored matt glaze by way of gathering and examining of materials for it. First I selected calcific glaze (0.3 Na_(2)O·0.7 CaO·0.5 Al_(2)O_(3)·4 SiO) as a foundation and fixed the basic component to it and varied the mole of Al_(2)O_(3) and SiO_(2). So I composed the 30 glazes by the above experiment and observed melting during got the plastics at 1200℃ and 1250℃. Among the experimental effects of two-components group I selected and fixed No. 11 glaze which was most appropriate to the plastic temperature and it had a good surface condition and now again I fixed Na_(2)O to 0.3 mole between basic components Na_(2)O & CaO and changed 0.7 mole of CaO into CaO-BaO-MgO, CaO-BaO-ZnO, CaO-ZnO-MgO. In this way I compared and checked up 15 sorts of 히azes with the appearing part of the matt, quality of surface, degree of opacifier and a cracking. With the intention of observation to color development by addition a color agent I selected No. 7, CaO-BaO-ZnO had the best quality and no crack among the experimental effects of three-components group. A metalic oxide, viz. CuO, CoO, Fe_(2)O_(3), TiO_(2), NiO, SnO_(2), V_(2)O_(5) etc. was used for color agent and I made the color-experiment that mixed two or three unit components. This coloring experiment had the plastics individually to Oxidation and Reduction at fixed point 1250℃. From the result of these glaze experiment I found_that pottery has the matt and unripe as much as the mole of SiO_(2) & Al_(2)O_(3) and it has the matt and great effect of opacitier as much mole of BaO & MgO and I could see so much as the mole of ZnO a polish and crack emerged abandontly, too. In the coloring development I found that the quality of color was different remarkably from Oxidation and Reduction plastics. As the Reduction, TiO_(2) had a fine Crystal and NiO_(2) was grayish on the whole, the other side F_(2)O was a little verdant than it had been oxidation. Besides CuO turned it color from green to raddish puple and CaO is the same color both of oxidation and reduction. The case of coloring compounds two or three components made a sense of deep and stability but the plastic to reduction smacked of impoured color. As the result of amplication with above experimental glazes to celadon porcelain. clay and white porcelain clay, I found that the glaze was used on white porcelain clay is more stable state than ceradon one. With this result of experiment we can keep pace with ceramic art in the world which is developing attractive ceramics and I consider they will be put into a wide amplication to emphasize on the aesthetic quality of plastic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ⅸ Ⅰ. 序論 = 1 A. 硏究의 動機 및 目論 = 1 B. 硏究의 內容 및 範圍 = 2 C. 硏究의 方法 = 3 Ⅱ. Mat 釉藥의 定義 = 5 A. Matt 釉織의 定義 = 5 B. Matt 釉藥의 종류 = 6 Ⅲ. 實驗方法 = 9 A. 原料 = 9 B. 試片製作 = 9 C. 施釉方法 = 11 D. 燒成方法 = 12 Ⅳ. Matt 釉藥의 實驗 = 14 A. 基本織에서 Al_(2)O_(3)-SiO_(2)의 二成分 변화 실험(실험A) = 14 B. 기본유에서 CaO-BaO-MgO의 三成分 변화실험 (실험B) = 19 C. 기본유에서 CaO-BaO-ZnO의 三成分 변화실험(실험C) = 24 D. 基本釉에서 CaO-ZnO-MgO의 三成分 변화실험(실험D) = 29 Ⅴ. 發色劑 첨가실험 = 34 A. 단일 발색제 첨가실험(실험E) = 34 B. 三成分 복합 발색실험(실험F) = 38 C. 三咸分 복합 발색실험 = 39 1. CoO-MnO_(2)-Fe_(2)O_(3)의 복합 발색실험(실험G) = 39 2. NiO-SnO_(2)-Fe_(2)O_(3)의 복합 발색실험(실험H) = 42 3. Fe_(2)O_(3)-TiO_(2)-V_(2)O_(5)의 복합 발색실험(실험I) = 44 4. CoO-MnO_(2), -SnO_(2)의 복합 발색실험(실험J) = 46 Ⅵ . Matt 釉藥의 作品제작 및 응용 = 48 Ⅶ. 結論 = 55 參考文獻 = 5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3559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Matt-
dc.subject유약-
dc.subject발색제-
dc.titleMatt釉藥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MATT GRAZES-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6.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