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1 Download: 0

중학교 교사의 연결공간에 관한 연구

Title
중학교 교사의 연결공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connecting space of middle school building : from the viewpoint of space structure and environment facilities of corridors
Authors
김정욱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중학교연결공간공간구성환경시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금세기에 걸쳐 교육인구의 증가와 활발한 무역교류등으로 인하여 사회·문화·정치·경제등 다방면에 걸쳐 많은 발전과 변화를 이룩하였다. 그러면서 대도시의 급격한 인구증가와 대도시 집중 현상으로 인해 초·중등학교에 있어서의 학교당 학급수와 학생수의과다현상, 빈약한 투자로 인한 시설의 자연감소등은 오늘날 학교가 안고 있는 가장 큰 과제이다. 학교는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구체적 교육의 장이다. 이 시기에 중학생에게 있어서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가장 큰 성숙이 있으므로 교육과정의 구성은 상당히 중요하다. 따라서 학교 校含의 효과적 교육형태를 위한 공간의 구성은 학생이나 교사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큰 요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점차 학교의 대형화. 과밀화로 인한 공간의 부족이 집단생활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의식 구조와 활동을 제한하여 학생 스스로의 사고와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교육환경이 되지 못하게 하고 있다. 학교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하루의 생활을 시작하고 끝내는 장소이므로 학습뿐만 아니라 학생의 여가에 있어서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야 한다. 현재 중학생의 활동을 보면 학습과 더불어 여가나 휴식을 교실과 통로에서 취하고 있는데 이는 학교의 설계가 다각적인 연구검토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학교생활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생활전반에 대한 인식의 부족, 청소나 관리의 경제성만을 고려하여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학생들의 행위 패턴을 분석해 보면 교실에서의 수업 타교실에로의 수업이동, 쉬는 시간에 교실밖 출입, 놀이 둥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행위들은 주로 통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므로 교실의 면적과 35%정도를 교실과 접하는 복도나 계단의 다양한 형태와 융통성있는 공간의 설계가 수반되어야 한다. 또한 복도에서의 혼잡, 학습과 휴식의 구분, 학생의 학교내에서의 질서 등을 고려해서 개선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이다. 건축계획의 합리적인 기준을 보면 다양성과 융통성을 갖는 일인데 다양성은 학생의 요구에 맞는 시설과 공간의 복합성을 나타내어 선택성을 넓히며, 융통성은 다용도 다목적의 변화있는 공간으로서 학생과 교사의 환경을 효과적으로 만들어준다. 이러한 시설은 곧 교육과정의 공간적 요소로서 그 크기, 비율등 학습장들과의 연관관계는 학교내 학습생활의 형태나 질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연결공간의 계획은 처음부터 끝까지 사용자, 즉 학생과 교사들을 위한 계획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결공간을 활용함에 있어 교사나 학생 상호간에서로 의미있는 유용한 공간으로서의 가치를 두어 보다 효율적인 연결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 Ⅱ장에서는 연결공간을 출입구, 복도, 계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엄선된 5개 학교의 면적을 비교해 본 결과 평균 옥내면적의 31.9%를 차지하고 있다. 시대가 흐름에 따라 학생들의 체력이 매우 향상되어 가는 현실을 비교하여 볼 때 바람직한 校含 의 공간구성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제Ⅲ장에서는 현황조사를 통한 실태와 그에 따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서울 시내 총 289개 중학교 校含의 형태 가운데 ㄱ자형, ㅡ자형 ㄷ자형 등을 중심으로 각각의 특성을 사진으로 찍어 제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된 문제점으로는 1. 복도가 너무 단조롭다. 2. 일반교실이나 특별교실의 불합리한 배치로 인한, 도의 혼잡 등 동선의 효율성을 높이지 못했다. 3. 학생들의 여가를 수용할 만한 휴게공간이 없다. 4. 출입구의 넓이, 위치, 방향이 비효율적으로 설계된 경우도 있다. 5. 실내환경이 좀더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제Ⅳ장에서는 실제 연결공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내어 ⅡⅢ장에서 고찰한 내용을 적용 계획함으로써 바람직한 이상안을 제시하였다. 공간구성이나 환경시설면에 대한 결과분석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반 활동면에서 "주로 친구들과 목도에서 이야기를 한다" 가평균 39.4%, 쉬는 시간에 평균 27.6%가 "화장실을 이용한다" 로써 학생들의 활동이 복도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복도에 대한 느낌을 조사한 것 가운데 "복잡하다"가 28.6%, "시끄럽다"을 21.6%로써 소음에 대해 심한 불쾌감을 갖고 있었다. 2. 수업활동시 학년별 이동은 2학년, 1학년, 3학년의 순으로 수업을 위한 이동이나 그밖의 교무실 둥의 출입을 위한 움직임이 많은데, 각 특별교실에 대한 거리감자중 "멀다'고 한 의견이 33.4%, "가까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한 의견이 34.4%로써 각 실의 적절한 거리 배치로 합리적인 동선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겠다. 3.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으로서 이를 각층 복도의 한 부분에 설치하기를 희망하는 의견이 평균 45.4%,옥상의 일부를 개방하기 원하는 의견이 평균 25.2%로써 새로운 여가활동을 위한 공간 설계의 수립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그 외에도 시설환경면에서의 적절한 게시와 실내환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여 심미적·심리적 효과 및 학습동기 유발 등에 공간의 활용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적절한 연결공간의 계획과 그 실천은 더욱 의욕적인 학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되어 학생들에게 보다 많은 지식 전달과 함께 풍부한 교양을 겸비한 인격자로서의 틀을 다져 나가게 하는 커다란 원동력이 된다. 앞으로도 이러한 교육적, 정서적 측면에서 더욱 다양하고 활발한 연구가 계속 이어지기를 바라며 이와 같은 연구 과정에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Our country, due to the increase of educating population and the brisk alternating current of trade , has developed and changed very much in sociaty, culture, politics, economy, and so on. However through the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and the phenomenon of swarming into the big city, so many dasses of every school and overcroweded students, and the natural decrease of school facilities arisen by the poor investment face serious problems. The school is a material and educational place for students Students mature most physically, spiritually and socially while they are at school, and therefore the space organization of curriculum is indeed very serious. Accordingly, the space organization for the effective forms of education could be the biggest element which can meet the needs of teachers and students. But the shortage of space due to the mammoth size of schools and excessive density of students Limiting sense formations and activities which will be gained through group life, interfere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cultivate the thinking and ability of students. Schools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not only study but also free time, because schools are the places where students begin and finish almost a day's life. Viewing the activities of recent middle school students. classes and corridors are the places where they study, spend free time and rest. Since schools are designed only by social ignorances of knowledge that school life affects general life of students rather than by investigations and examinations in many sides , considering the easiness of cleaning or administration. Analyzing the patterns of student activities, they are various for the class study, tronsition to theirclasses for study, coming and going out of the classroom during the break, and playing and etc. And those acts are mainly through corridors, Therefore the design of the area of classrooms and various forms of corridors or steps which occupies about 35% of school buildings and flexible spaces is a important subject that should be improved accounting the bustle at corridors, destinction of study and rest, order within schools. The rational level of construction plan shows varieties and flexibilities, and the varieties show the facilities that fill the desire of students and broaden selections, and the flexibilities make the environment effective as multi-uses, multi-uses, multi-objects, and variable spaces, These facilities, being as educational space element. and the joint relation with bulk and rate of learning place influence the shape or quality of learning life within schools. Therefore, the plan of connecting space must be for the users, students and teacher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This thesis aims that connecting spaces should have value as useful space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hen they utilize and be effective connecting spaces. The process of study for this aim is as follows. In chapter Ⅱ, connecting spaces are classified as entrances, corridors and steps, and they covers average 31.9% of indoor area when five schools which are chosen strictly are compared. As time goes on, when the actuality of elevating physical strength of students is considered, the hopeful space organization of school building contains very important meaning. In chapter Ⅲ , the actual state through investigation of presen condition and the problems concerning with them are pointed out. I presented with pictures the characteristics of shapes of 289 middle school buildings in Seoul - 'ㄱ' type, 'ㄷ' type and '-' type. As a result, the problem pointed out is as follows. 1. Corridors are too simple. 2. The disorder of corridors due to the absurd disposition of common classes ad special classes results in inefficiency for moving line. 3. The resting space for students that takes in students free time lacks. 4. The width, position and direction of entrance are planned inefficiently. 5. The environment of classrooms should be planned more intentionally. Chapter Ⅳ presents ideal plans by finding out cognition of students about practical connecting spaces and by applying and panning the contents of Ⅱ and Ⅲ.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bout space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institution is totally as follows. 1. On an average, and in activities, 39.4% of students are talking at corridors, and 27.6% use toilets during the recess. This shows that the activities of students are mostly taken place at corridors. As a result, 28.6% feels bustle at corridors, and 21.6% noisy and displeasing. 2. The brisk ordinal movement to the classes for lessons and teachers room is from the second year grade to the first and the third year grade. 33.4% of students feel far to go to special classes and 34.4% of them want classes to be neaver. Consequently, reasonable moving Line should be reflected by the disposition of adequate. 3. 45.4% of students want to have resting place at corridors for their freetime activity, and 25.2% of them want the roof open.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they want plans of space for free time activities. 4. Besides space should devote to aesthetic, mental effect and inducing the motivation of study by forming pertinent bullatins from the point of instutional environment and the image of sight in the building. The plan and the practice of pertinent connecting space will produce the figure of intentional schools, and be a motivation of forming students who have adundant culture and knowledge. Hoping more various and active stud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emotion I wish this thesis could be of some hel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