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陶磁製 茶器 開發에 관한 硏究

Title
陶磁製 茶器 開發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 UTENSILS
Authors
유호수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Keywords
도자제다기 개발현대 다기백자토청자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茶는 中國을 통하여 삼국시대에 전래되었다. 1400 여년의 역사를 지닌 茶文化가 한동안 침체되어 있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茶文化의 발전과 더불어 茶器의 수요도 급증하게 되었고, 茶人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개성있는 茶器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茶器의 디자인이 다양하지 못한데 착안하여 개성있는 형태와 문양을 살린 기능적인 茶器제작을 함으로서 茶器의 활발한 보급을 시도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는 이론적배경으로, 茶의 정의, 茶의 傳來와 역사, 飮茶法과 茶器의 종류 그리고 古茶器의 변천과 시판되고 있는 茶器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디자인한 10벌의 茶器를 제작,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1. 茶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애용하는 종류가 달랐으므로 茶를 마시는 방법도 변화되어 왔고. 茶器 또한 변천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시대적으로는 가장 오래된 토기에서 현대적인 미적감각과 실용성을 발견할 수 있어서 토기의 조형성을 살린 형태와 문양, 장식기법 등을 응용하여 茶器제작을 할 수 있었다. 3. 성형기법으로는 물레성형을 이용한 결과 각기 형태를 일정하게 제작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지만 자연스러운 재질감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방법이었다. 4. 시작품의 소성으로는 유약의 특성에 따라 석유가마로는 산화소성을 하였고 가스가마로는 환원소성을 하여 모두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연료비의 절감을 위해서는 석유가마의 소성이 더 바람직스럽다고 하겠다. 5. 현재 일반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葉茶용 茶器로는, 찻잔, 찻잔받침, 주전자, 물식힘 그릇, 차항아리등으로 제한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Tea was introduced to our country by way of the Tang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It is true that the tea culture which has a long history of 1,400 years has been neglected for a while, but recently it began to attract renewed attention. With the reemergence of the tea culture, demand for tea utensils has risen rapidly and it has become necessary to pro-duce some unique utensils to satisfy the various demands of tea lov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tea culture into everyday life by trying to produce tea utensils which keep the vividness in their various forms and patterns. To gather background materials, I studied the history of tea culture, the way of drinking tea, the kind of utensils used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old tea utensils. The present condition of tea utensils on the market was also studi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my investigation after studying 10 individual tea utensil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ir design based upon the former background materials. 1. As the favorite kind of tea has differed according to the time and place, the way of drinking and the type of utensils used have changed continuously. 2. From the shapes and designs of ancient earthenware I could find the unexpected sense of beauty and practicality which compares well with that in modern utensils. 3. Using the wheel forming technique I found that it had an advantage of creating pieces conveing native feelings in their quality, though took much time to produce one by one and the forms were irregular. 4. Experimenting two kinds of draft kilns considering the quartz of glazes, I found petroleum kiln suitable for the oxidation firing and gas kiln for the reduction firing. In both instanses I got satisfactory result. 5. As the usual tea utensils for leat tea, I found, cup, sancer, pitcher, water-cooling bown, jar, etc. are enoug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