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4 Download: 0

韓國社會의 産業化와 住宅供給의 地域的 隔差에 관한 硏究

Title
韓國社會의 産業化와 住宅供給의 地域的 隔差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gional Inequality of Housing Supply and Industrialization in South Korea
Authors
尹慶春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Keywords
한국사회주택공급산업화행정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1980년대 들어 경제개발추진의 공과에 대한 재평가작업과 함께 선성장.후분배 논리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지역감정의 문제와 함께 지역간 불균등 발전이라는 국가주도의 경제성장정책 결과를 반성하는 많은 논의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적 관점하에 산업화 과정에서 수반된 대도시로의 인구밀집현상과 이에 따라 수요가 증가되는 노동력재생산의 필수 소비재로써의 주택공급이 어떤 관련을 가지는지를 규명하고, 공업입지지역과 비공업지역과의 주택공급의 격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전국의 도시를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군집화하였다. 그 결과 대도시와 수도권 위성도시에 총량면에서는 많은 양의 주택이 공급되었지만, 인구의 크기를 고려한 주택공급면에서는 수도권 위성도시와 정체도시들중 의정부, 원주등이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또한 자본집중과 주택공급과의 상관관계 및 자본축적을 지원하는 국가의 정책이 주택공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 제조업체수, 차량수, 대기업 및 중소기업공장 종업원수 등이 자본요인이라 부를 수 있는 하나의 요인으로 묶었고, 주택세출액, 공공건설사업비, 주택금융 대출액이 정책요인으로 묶였으며, 자본요인과 주택공급과의 회귀분석결과는 R^(2), F값, t값이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가발전의 주도정책인 경제발전정책이 생활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한다면 사회적 결합의 기반이 되는 주택문제와 지역적 불균등 발전의 격차해소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gional Inequality of housing supply between industrial and non-industrial region, its correlation with housing supply as necessary consumption of labor reproduction to increas demand and the phenomena of population increase through industrialization processes. In this thesis, I attempt to suggest how the logic of capital accumulation in capitalist countries diffrentiate housing supply among regions. This study focuses on two aspects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nal logic of capital accumulation into urban spaces and the role of the state in the process of capital reproduction and housing Inequality of regions through that process. The research program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analytical framework are explained : The Inequality of housing supply among regions is explained with the logic of capital accumulation reveals into industrialization processes. In chapter 3, the whole conditions of housing supply in South Korea was described using various data. In chapter 4,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regional defferentials of housing supply with cluster analysis by 60th city in South Korea and the correlation of the capital accumulation and the housing supply with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In chapter 5, conclusion is made to sum up the discussions above, suggesting the future direction of regional development to overcome diffrentiated limi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each city is clustered into 8 groups, in which metropolitan area, metropolitan bedroom town area and industrial area show high average score, while non-industrialization area is record low average score. And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capital accumulation and housing supply is highly correlated, as was expected. After all, it means that the more capital accumulation, the more housing supp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