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장현화-
dc.creator장현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69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6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69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논문은 朝鮮時代의 服飾紋樣과 現代의 조화속에서 한국전통 문양의 아름다움과 조형적 감각을 의상의 한 부분에 표현하므로써 전통의 美를 현대의상에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본 연구자는 조선시대 복식문양을 주제로 선정하여 형태의 변형 또는 표현기법의 변화를 통해 한국전통문양의 조형적 가치 추구에 작은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작품제작의 주된 표현 방법은 패치워크(patchwork)이고, 주 소재로는 30cm폭인 우리 무명과 모시를 사용했다. 제작된 작품수는 총 8점이다. 제작된 작품을 통해 느낄수 있었던 효과로는 천연 그대로의 무명과 염색된 무명, 모시, 견노방, 실크테이프를 사용해 전통문양을 옷의 한 부분에 장식하므로써 서로 다른 재료가 주는 텍스츄어 효과와 우리전통문양의 현대감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This theory was purposed that as one part of coustum, it is expressed beauty of Korea tradition patern form and modeling sense in dress pattern form of Korean period and modern harmony. This investigator selected dress pattern form of Korean period as subject and try to help modeling value pursuite of Korea tradition pattern form through change of form or change of expression skill. Mainly, expression method of work production is patchwork, and main materials was used cotton and ramie cloth of our tradition which was width of 30 centimeter. The total twelve works produced. Effect which could feel through produced work, is used by natural cotton and dyed cotton, ramie cloth, silk, silk tape, then as it is decoreted tradition pattern form, we could feel texture effect which is given by different material each other, and new modern sense of Korea tradition pattern fo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 Ⅱ. 한국전통 문양의 이론적 고찰 (조선왕조를 中心으로) = 2 A. 한국전통 문양의 의의 및 史的 고찰 = 2 B. 韓局傳統紋樣의 종류 = 4 Ⅲ. 작품의 제작 배경 = 18 A. 작품에 응용된 문양과 조형성 = 18 B. 염색기법 = 21 Ⅳ. 작품해설 = 23 A. 모티브로서의 전통문양 = 23 B. 작품분석 = 23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7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8584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한국전통문양-
dc.subject의상디자인-
dc.subject조선시대-
dc.subject복식문양-
dc.subject전통문양-
dc.title한국 전통 문양을 이용한 의상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선시대 복식 문양을 중심으로-
dc.format.page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