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단청문양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Title
단청문양의 재구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RESEARCH FOR RECONSTRUCTION OF DANCHEONG PATTERNS
Authors
장기복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단청문양재구성작품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미술은 20세기로 접어들면서 조형의 순수성 확립과 다양한 표현형태로 전개되어 왔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경향은 염색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다양한 소재의 개발 및 재료와 기법의 응용으로 작가의 제작의도에 따라 개성적인 조형예술로 표현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전통적인 소재-단청-에서 작품의 이미지를 창출하여 주제로 선택하고 분할된 면 위에 문양을 재구성 함으로써 독창적인 표현에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단청의 개념과 형태, 색채의 조형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작품제작을 위한 재료, 기법등을 연구함으로써 6점의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단청을 통하여 우리 문양의 소박함과 화려한 조형성을 다시 느꼈으며, 전통문양이 만들어진 시대적·정신적인 우리의 얼은 계승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소재로 선택한 단청문양은 연구자의 조형의지에 따라 작품을 재구성 하는데 있어 적절한 소재였다. 세째, 오래된 목재의 나무결 이미지를 흘치기염으로 바탕처리 하였고, 그 위에 단청의 형태와 색채처리는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된다. 네째, 문양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시각에서 단청의 이미지를 간략하게 변형하여 염색공예로서의 표현은 적절한 연구였다. 그러나 단청의 화려한 색채를 표현하기에는 홀치기염으로 처리된 바탕색채가 너무 진하여 중간색채로 변형하였다. 한편, 제작과정에서 발견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연한 효과로 생긴 면의 분할이 강하게 표현되어 전체적으로 무거운 감이 든다. 둘째, 단청문양과 홀치기염의 연관성이 일부작품에 부족하게 나타나 아쉬운 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재료와 표현기법을 계속 연구하여서 공예염색이 산업적인 염색디자인으로 발전하도록 더한층 노력하고자 한다.;From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odern arts have been developed as the establishment of plastic purity and diverse forms of expression. This tendency of modern arts applies to dying craft also, and idiocyncratic expressions can be made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he application of scientific agent according to artist's own will, The purpose of this thesis lies in the creative expression of plastic realm extracting the image of work for the theme from 'Dancheong', which is a traditional motive, and recomposing it in space.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researcher has studied arts and expression, form and space as well as theme and construction, materials and expressive technique for the means of creating the work. Six actual works have been taken into the analysis for the study and its result is following. First, I re-reconized the simple and magnificent plastic factors of our traditional shape through 'Dancheong'. The traditional shape includes historical and mental side of Korean spirit, which must be succeded to. Second, Dancheong as a theme for the plastic activity is a very appropriate subjeet that researcher can restructure at his/her own will. Third, it is a marvelous effect that the image of grain of old wood is treated with variegation technique on the background and this background is overlapped by the shapes and color of Danchong. Fourth, the image of Dancheong is simplified by researcher's viewpoint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shape. The simplicity is a kind of proper expressions for the dying craft. But color of background treated with tie-dye was felt so thin to express magnificant color of Dancheong, it was changed to quiet color. However, in the course of creating the work, some negative points appeared as follows. First, division of the surface by accidental effects causes an excessive sense of gravity. Second, I feel some lacking of relation between Dancheong shape and tie-dye in some work. To fill up this problem and to make a continious study of mate rials and expressing method, I will try harder that craft dye develop to industrial batik desig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