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우리나라 관광지도의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관광지도의 디자인 방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TECTIONS OF THE KOREA TOURIST INFORMATION MAP DESIGN
Authors
洪敬仙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Keywords
한국관광지도지도디자인한국지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Highly technolized and so much materialized society of today, that is the environment of us, modern citizens, hence we are derived into the conditions under where our weary spirits become more and more shrinked from constraints, isolation and discontentment. Then, again, we ourselves who are still most of us in the vigor of Life do chiefly the work of providing for our weary spirits many relaxations from conflicts both of the mental and physical not forgetting our general hope to return to the nature. And in paralled with these our mental conditions, it is also true that we are living in a society which is richly endowed with all things and financially sufficient daily lives in the circumstances repidly internationalized. For this reason, the tourism of today has become popularized and also internationalized, and, now. modern citizens strongly feel the need tours should be employed in many respects not for mere joy and ostentation, but when there is a real use for it. Accordingly to pay a required tribute to the general demand of the times, this study has chiefly done the work of research into the function of visual communication for the sake of our tourist information map. First the ranges of the required map where the tourist map is justly belonged to will have surveyed, and which will be followed by concrete defining concepts of the tourist map. and furthur an approach to the map where the properties of our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recovered profitably will have been attempted. On the other hand, now, the tourist information map is esteemed to have to be used not merely as the information medium but still more as the map having visual meaningfulness in itself . For the sake of this order, also this study has reviewed both the psychological aspect and that of the resources of tourism in forementioned order to give right understanding and its right communication. How shall we do communicate our culture to strangers? It may be one answer if we judge the inner-nature of things in such a way as to perceive things by our direct spiritual congnition just like the manner of our Eastern world of arts which Lay its emphasis on the metacognition or mentality, then we would possibly make use of such expressional technique to describe in a plane not a part but the whole-covering, and then we could represent any images, any poetic sentiment and every individual spirits and feelings as freely as our hands. Such is the real meaning of our map by ancestors. Indeed, there are too much loss of speciality, and so much want of our unique expression, which could be found out when surveyed our current maps. Therefore, it is by manifest proof demonstrated that when the visual effects of our traditional maps by ancestors are rightly reused in our time, then the noblest foreigners are to be enlisted in the service of their Loftiest praise. In this point, I have payed the required tribute. For I conceive that such thoughts are not unsuited to the occasion, and that this kind of questions, incidentally, should be succeeded by furthur special researches.;오늘의 현대인들은 고도의 과학 문명시대에 살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에서 긴장과 억제,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 흙과 자연에 대한 향수, 욕구불만 등으로 인한 심리적, 정신적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한다. 또한 여가와 소득의 증대로 인한 여유있는 생활과 국제화되는 사회속에 살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이 현대의 관광을 대중적, 국제적으로 만들었고, 이제 현대인들은 향락적이 아닌 보건적인 생활의 한 부분으로 관광을 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관광지도의 visual communication 기능에 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먼저 관광지도가 속하는 지도의 영역에 대해 알아본 후, 관광지도의 개념을 파악해 보고, 그 속에서 우리의 文化를 찾을 수 있는 관광지도의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했다. 관광지도는 이제 단순한 전달 매체로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시각적인 의미를 지니고 사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우리의 문화를 올바로 인식하고 그것을 전달하기 위해, 관광의 심리학적인 면과 자원론적인 면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우리의 文化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동양의 미술세계는 직감이라든가 정신성을 무엇보다 중히 여겼으므로 이러한 감성으로 사물의 내부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어떤 한 부분의 묘사보다는 전체의 상황을 한폭에 다 표현하는 기법을 사용하였고, 무언가 마음에 느낀 상상의 세계, 詩情, 각자마다의 정신이나 감수성을 표현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한국의 정신적인 내면세계를, 우리의 古地圖를 통해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관광지도를 검토해 본 후, 그것들에게 전문성이 너무 결여되어 있고, 우리의 독창적인 표현이 거의 없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古地圖에 나타난 표현기법의 시각적 효과를 현재의 관광지도에 사용한다면, 이것은 관광자들에게, 특히 외국 관광객들에게 흥미를 느끼게 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전문적인 연구로 앞으로도 계속되어져야 하겠기에 그 시작으로 이 논문의 주제를 다루어 보고자 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