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경-
dc.creator김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6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5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680-
dc.description.abstractThe package design as the media of visual delivery stands out the importance more in bold relief. Especially, the folk art article is the art article having the spirit of our indigenous culture, the development thereof should be treated important as the part of business of sightseeing development. The kinds of folk art artictes are diversified, and the erroneous understanding of the folk art article and the lack of public information activities make the study on the package and the problem of folk art article tacked. The motive of writing this treatise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better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folk art article in the lack of development of package of the domestic folk art article. In addition to the 1st function of folk art article, the effect of display at the time of exhibition and function are vividly alive, and the traditional and modern senses are well harmonized, and its object is to elevate the value added of the folk art article by designing it to demonstrate well the image of Korea. As the kind of folk art article is much diversified, the mask package is treated, omitting the wide sphere of whole of the articles. In package, the necessity of package design and function thereof were treated on the basis of the whol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ommercial goods.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folk art article, kind thereof, and the problem of furtherance of folk art industry were sought and tri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betterment thereof In Chapter Ⅳ, the status of mask package on sale at present and the matters of problem are pointed out, and the writer intended to show the strong image with the change or new expression such as illustration, vessel, mask, color to promote the sale and induce the vision with function and part played which the package may have. The package presented here shows the Korean mood indirectly which harmonizes the modern sense such as type, treatment of space, composition, etc. on the basis of traditional sense such as the mask look, meaning of wall, Korean paper, paulownia tree, etc. and the writer tried to let the people feel the life culture of ours on the mask. In Chapter Ⅴ conclusion, even if the kinds of folk art article is much diversified, the traditional cultural inheritance of ours should be developed and succeeded. For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our Korean culture through the folk art article, the necessity of the package design was stressed strongly.;시각전달 매체로 포장(Package or packaging)은 오늘날, 그 重要性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특히 민예품은 우리 고유의 文化와 얼이 담긴 藝術品이기에 그 개발은 관광개발 사업의 일환으로서 중요시 되어야 한다. 민예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민예품에 대한 잘못된 認識과 홍보활동 부족으로 민예품에 대한 질적인 문제와 포장에 대한 硏究가 부족한 실정에 있다. 本 硏究를 하게된 동기는 국내 民藝品 포장(Package)의 개발이 부진한 상황에서 민예품 포장의 중요성과 그 改善方向을 모색하는데 있었다. 민예품 패키지의 1차적 기능 이외에 기능성과 진열했을때의 디스플레이(Display) 효과를 最大限으로 살리며, 전통적 감각과 현대적 감각이 잘 조화되어 우리나라 이미지를 잘 나타낼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민예품의 附加價値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민예품의 종류가 다양하므로全品目을 다루기에는 너무 광범위 하여 탈 포장으로 한정하였다. Ⅱ장에서는 상품 포장에 대한 전반적인 理論을 배경으로 포장 디자인의 필요성과 그 기능을 인식하고 특히 民藝品은 우리의 生活藝術品이기에 포장에 있어 文化적인 요소를 강조하였다. Ⅲ장에서는 민예산업이 우리나라 관광사업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예술품임을 확신하기 위해 민예품에 대한 바른 이해와 민예품의 종류, 민예산업의 育成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 방향을 찾을려고 했다. Ⅳ장에서는 탈에 나타난 조형적·해학적 상징적인 예술적 가치등 외면적인 면보다 내면적인 의미를 추구하고 있는 우리 예술문화의 우수성을 인식하였다. Ⅴ장에서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탈 포장의 현황과 문제점을 지적 하고, 포장이 가질 수 있는 기능과 역할로 시각을 유도하고 판매를 촉진하기 위해서 색채, 마아크, 용기, 일러스트등 새로운 表現이나 변화로 강한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했다. 本 연구에서 제작한 포장은 오동나무, 한지, 색의 의미, 탈의 얼굴표정등 전통적 감각의 바탕위에 형태, 공간처리, 구도등 현대적 감각이 어울려 한국적인 분위기를 간접적으로 나타내어 탈에 대한 우리의 生活文化를 느낄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Ⅵ장 결론에서는, 민예품의 종류가 다양하고 생산과 판매에서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있지만 우리의 전통문화 유산을 발전 계승시키고, 민예품을 통한 우리문화의 질적향상을 위해서 고급화된 민예품의 상품화를 위해 포장디자인의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2 Ⅱ. 효율적인 민예품 포장 디자인 = 3 A. 포장의 정의 = 3 B. 포장의 기능 = 5 C. 포장디자인과 문화 = 8 Ⅲ. 민예품에 대한 이론적 고찰 = 12 A. 민예품의 의의 = 12 B. 민에품의 종류 = 16 C. 민예산업의 문제점과 판매촉진을 위한 개선방향 = 17 Ⅳ. 탈에 대한 이론적 배경 = 21 A. 탈의 역사와 종류 = 21 B. 탈에 나타난 한국인의 인간상 = 23 Ⅴ. 작품제작 및 분석 = 30 A. 작품제작 의도 = 30 B. 제작과정 = 31 C. 작품분석 = 42 Ⅵ. 결론 및 제언 = 53 참고문헌 = 55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652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민예품-
dc.subject포장디자인-
dc.subject-
dc.subject산업미술학-
dc.title민예품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탈포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Package Design of Folk Art Article : Centered on the Mask Package-
dc.format.page5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광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