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2 Download: 0

조선시대 필통 및 필구류에 관한 연구

Title
조선시대 필통 및 필구류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RITING BRUSH STAND AND WRITING MATERIALS IN THE CHOSUN PERIOD
Authors
한영옥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조선시대필통필구류필기류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문방구 중에서 필통과 필구류(筆筒·筆架·筆洗)를 조사 분석하여, 그 시대의 독특한 전통적인 美의 특성을 찾고저 전반적인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 現在 遺物과 文獻을 통한 調査로서 統計를 내었고 이것을 종합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답을 얻게 된다. 즉 조선시대의 유교로 인한 崇文賤技의 思想은 文的인 것에 비중을 두게 되어, 文房四寶를 비롯한 여러가지 문방제구가 발전하였다. 文士들의 서재는 文房四友 즉, 紙·筆·墨·硯 외에 冊床, 書架文匣, 붓의 保命具인 필통, 필가, 필세, 筆帽, 卷周紙 등을 꽂아 두는 筆筒, 먹을 얹어 놓는 墨床, 硯滴, 硯床, 글씨나 그림을 그릴 때 종이를 눌러 놓는 書鎭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필통은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기 위한 붓을 꽂아 두는 實用性을 目的으로 제작되었을 뿐 아니라 선비들의 玩賞物로도 아낌을 받았던 생활예술품이라 할 수 있다. 本 稿에서는 이와 같은 필통을 선별하여 재료별, 형태별, 문양별로 구분해 보았다. 첫째, 필통의 종류를 재료별로 세분해 보면, 木材, 竹材, 陶磁製, 螺鈿, 華角材, 石製, 금속제, 樹根製, 紙製, 布地製 등이 있다. 필통은 벼루, 연적과는 달리 붓을 세우기만 하면 되므로, 나무를 많이 이용하였다. 木材筆筒은 나무결을 최대한 이용하여 한층 自然美를 살리고 있으며, 또한 자연을 사랑하고 그 속에서 살려고 하던 조선조 문인들의 취향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竹材筆筒에는 양각 또는 음각하여 통 대를 그대로 쓴 것과 사용자가 붓의 용도에 따라 구분해서 넣을 수 있도록 셋, 또는 다섯, 일곱 등의 크기가 다른 통 대를 붙여 만든 형제 필통의 例가 많다. 또 도자필통은 모두가 백자계로써, 순백자와 청화백자로 大別되며, 그외에 靑華에 長砂나 鐵砂를 부분적으로 加한 백자 등이 약간 있다. 이것은 표면에 장식된 표현기법에 따라 순백자는 아무 문양도 없는 素紋白磁와 음각, 양각 투각백자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청화백자는 붓으로 靑華를 찍어 그리는 수법을 제외하고는 순백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이로 보아 필통은 각 재료의 특성에 따라 표현기법을 달리하며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필통의 形態에는 원통형이 가장 많고, 그의 변형태인 위가 약간 벌어진 듯한 나팔형과 대나무를 본떠서 만든 竹節形이 있으며, 그 밖에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角形 필통이 있다. 대체로 필통은 기하학적인 단순한 형태로, 사용자의 취미와 文人的 氣品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하겠다. 마지막으로 필통에 施紋된 문양에는 植物紋, 動物紋, 幾何學紋, 기타문 등이 있으며, 형태나 소재에 따라 표현 기법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도자필통일 경우 靑華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鐵彩를 겸하는 수도 있다. 그리고 백자에 투각만으로 무늬를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한층 고상하고 청초해 보인다. 문양의 내용은 四君子가 가장 많고, 그 밖에 포도와 다람쥐, 소나무와 호랑이 등의 특수한 무늬도 볼 수 있다. 木材筆筒 역시 도자필통과 크게 다를 바 없으며, 自然의 나무결을 무늬로 삼은 것과 십장생 등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竹材筆筒은 여러 개의 細竹으로 표면을 장식하여 세 죽 자체가 주름문의 효과를 나타내 주는 것과 古祥語紋이 많고, 또 十長生紋 또는 草花紋을 烙竹하거나 박지수법으로 무늬장식을 한 것도 있다. 필통의 장식 문양에는 그 시대 文人들의 생활철학이 암시된 사군자문과 전쟁이 잦고 재난이 많았던 시대적 염원으로 십장생문 등이 많은 것으로 보아 그 내용성과 장식성이 그 시대 사조에 충실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필통의 특성은 곧 조선조 특유의 전통적인 美의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 이것을 현대에 까지 연결시켜 보다 人間生活(good life)을 편리하고 아름답게 하는 수단으로서 활용, 개선되도록 효율적으로 적용시키려는 노력이 공예 교육에 경주되어야 하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eculiar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Chosun period (1392~1910) by analyzing the characterisitcs of stationary items, especially writing brush stands of the period. Favorable government policy for literary pursuits affected by Confucianism resulted in notable development in the production of such stationery items as paper, brush, ink stick, a container for ink stick water, and brush stands, etc. Among these items, brush stands can be considered as art objects in the sense that they were objects of appreciation as well as utility goods for scholars. As a method of study, therefore, 175 writing material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material, shape and design motifs. Statistics taken from the classification and literature survey were analyzed.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analysis. First, in terms of material, the brush stands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wood, bamboo, ceramics, mother of pearl, ox-horn, stone, metal and the root of wood, etc. Wood was the commonest material for its natural beauty expressed by the grain of wood. This reflects the taste of scholars of Chosun period which loves nature and admires the life in nature. Bamboo stands were made of one or several cut whole bamboo(s) with relieve or intaglio. Ceramic brush stands are all made of white ware of various kinds. They are plain white-ware, blue and white, blue and white with under-glazed copper or iron-oxide decorations. According to the way of design, ceramic stands are divided into simple white-ware without design, relief ware, intaglio ware and openwork decoration. Second, the basic shape of brush stand was cylindrical form. As a variety of the basic form, there are stands modelled after trumpet and bamboo. Besides, stands with such angular forms as square, hexagon, octagon are also found. Usually, brush stands are of simple geometric shapes, reflecting the taste and dignity of the scholars. Finally, as for designs brush stands used plants, animals and geometric figures, etc. Ceramic brush stands use the four gentlemanly plants, ten longevity symbols, grapes and a squirrel, and pine tree and tiger as decorative motifs. Wooden brush stands show the texture of wood displaying its natural beauty. Bamboo stands are usually decorated with ten longevity symbols or plants. In general, the four gentlemanly plants and ten Longevity symbols were major design sources of brush stands. It is because the former source suggests the way of life of Chosun period and the Latter reflects the wish of the people who lived in the eventful period. This implies that the spirit of Chosun period can be fully reflected through decoration and the connotation of designs. The abov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brush stands can be regarded as that of traditional beauty of Chosun period. The characteristics of brush stands can be put to practical use as a mean of decoration and a convinience for the modern life. In this sence, an effort should be made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rush stands in the education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