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절식(節食) 상차림을 위한 식기디자인 연구

Title
절식(節食) 상차림을 위한 식기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Korean Cuisine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Functional Wares
Authors
박영민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절식상차림식기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modern time, with a highly developed civilization and science, human beings strive for a more prosperous life style. Our pattern of living has changed considerably. We search for comfort constantly instead of simply living to survive. Every aspect of our lives have become splentiful and we strive to learn more about each other by exchanging different cultures. When we look at the Korean Culture in particular, it is easy to see that our eating culture is the last to change in the cultural developments. Eating is closely related to ceramics. With the development in our eating habits, the different wares in ceramics will also change. This is the present situation in Korea. Our eating habits are changing dramatically and more people are interested the decorative aspects of our utility wares.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traditional aspects of the Korean Cuisine and the ceramics which are most appropriate for displaying the food. It examines the ritual ceremonies and special celebrations of Korea, and the food used for these occasions. These aspects of our eating habits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show the Korean trait in addition to our food culture. Also these ceremonies and rituals enable a family to gather around in one space and involve themselves in one single occasion. It is usually a time for exchanging gaieties and a time to enjoy each other's company. When we observe our present eating habits many of the old traditions have been simplified or neglected. On the other hand, some traditional cuisines, such as the Duk-Gook(small balls or strips made out of rice powder put into a clear beef soup), Mandu-Gook(meat or kimchi dumpling soup), Bibim-Bap(rice with assorted Korean mountain vegetables mixed together with chilli paste) and Song-Peon(Korean sweet rice dumplings form of dessert), eaten usually on special holidays, have become very familiar in our daily me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different traditions and customary ceremonies before understanding the Korean cuisines. Together with this, the study researched 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eramic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our food culture. Furthermore, such a study will be crucial to the future exchange of different cultures. The 21st century will be an era of many crosses between cultures, consequently we need to understand our own culture before learning accepting others. The study looks at each Korean ritual and ceremonies in detail, for each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s. Furthermore, each occasion has a different way of laying the table, There are specific meanings and reasons. The work has been made using the potter's wheel and also by using the slip-casting method. The white stoneware body was used to make the forms. The first firing was in an electric kiln and then the work was fired In a 0.7㎥ gas kiln. The glaze firing was a reduction firing. The ancient Korean ancestors seemed to have had a very fine aesthetic appreciation in art and In their cuisine. The two relate to each other and it is not surprising that our ancestors were able to create such fine wares as the Koryo Celadon and the White Porcelain of the Chosun Period. They explain our eating habits and the appreciation for things that are simple and beautiful. The concept behind this research was to re-discover these fine aesthetic qualities to develop them further under a contemporary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retreive our tradition and customs, particularly in a nation where all our traits have been banish through the Japanese intervention. Today, the public relies heavily on imported goods. So it is easy for the Korean people to loose what they already have in their blood. It is an aspect which must be taken seriously. This study has encouraged the discovery of our tradition and customs and it will act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work in this particular field.;시대가 변천함에 따라 문명과 과학이 발달하고 생활이 풍요로와지면서 인간의 삶의 질에 대한 추구는 점점 높아진다. 지금 우리사회는 과거에 먹고살기에만 급급했던 시대와는 달리 물자가 넘치고 생활이 편리해지면서 문화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문화의 발전은 그 사회의 수준과 부의 척도를 가늠할 수 있으며 식문화의 발달은 문화발전에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써 우리는 현재 그 단계에 와있다. 도자식기는 음식문화와 가장 직결되며 음식문화의 발달은 곧 식기의 발전을 의미한다. 근래에 와서 전통문화를 되찾자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본인은 도자기와 전통음식을 결부시켜 본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소재로 삼은 세시풍속은 한국인의 참모습을 조명하고 전통에 맥을 이어나가는데 있어서 가치가 있다. 명절은 한해를 살아가는데 생활의 단조로움에 활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하며 새음식을 장만해 그날의 뜻을 새기며 가족과 친지들이 함께 나누어먹는 즐거움을 선사한다. 현대에 와서는 명절과 명절음식(節食)의 풍습이 다소 변동되고 간소화 흑은 생략되어 우리사회에서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이나 떡국이나 만두국, 비빔밥, 송편과도 같은 간편한 우리음식들이 식생활 속에 인식되지 못한체로 일상화 되고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명절과 식기의 역사를 되돌아보며 선조들에 의해 꾸준히 이어져 내려온 전통 양상을 재조명 해봄으로써 앞으로 닥쳐올 21세기의 세계와의 경쟁무대에서 우리의 새로운 전통문화와 음식문화 더 나아가 도자식기 문화를 발전시키데 의의를 두고 절기에 맞는 명절음식을 담기위한 도자식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연구의 내용은 명절과 명절음식(節食)의 고찰과 식문화와 도자식기의 변천과 정을 조사하고 명절마다 갖는 특색과 의의, 차리는 음식을 바탕으로 현대인의 정서와 선호도에 맞게 식단을 조성하고 기능성과 심미성, 조형성 등을 고려해 식기를 디자인 하였다. 여기서 식단은 과거의 한식 기본상차림 형식을 참고로 하고 현대 식습관에 맞게 변형하였으며 기본형태는 기하학형태에서 출발한 단순변형을 통해서 전통적 한국의 미, 음식과의 조화와 쓰임새에 맞게 제작했다. 성형방법은 석고틀을 제작해 손물레위에 놓고 돌리는 형식의 가압성형으로 하였고 태토는 산백토를 주로 사용하였다.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로 6시간동안 1차소성한 후 담금법으로 시유하여 0.7㎥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로 12시간동안 환원염소성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선조들의 미의식 뿐만 아니라 미에 대한 세련된 감각과 풍류를 아는 멋스러움등을 발견했으며 특히 도자분야에 있어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와도 같은 뛰어난 자기문화의 형성이 한국문화 수준을 높이는데 한층 더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 주제 선정에 있어서 공정과정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전통을 살린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과거에 행해졌던 세시풍속과 명절음식의 다양성을 발견하고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여 과거의 형식에서 벗어난 현대인의 식사구조와 취향에 맞는 전통한식기를 제작함으로써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앞으로의 도자 문화 수준을 한층 더 높이고 전통문화와 도자식기에 대한 연구와 관심을 확대시키는데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