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1 Download: 0

도시환경적 측면에서의 유아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Title
도시환경적 측면에서의 유아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lay ground design for children in an urban area
Authors
김신옥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도시환경유아놀이공간디자인실내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는 시민(Citizen), 활동(Activiy), 토지와 시설(Land, Facility)의 요소가 모여 이루어진 하나의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도시는 지리적 범역을 갖춘 공간체로서 그안에 여러가지 구성요소가 모여서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그 구성요소간의 조화를 유지해야되며, 정태적 공간체가 아닌 시, 공간적으로 움직이는 동태적 공간체이기 때문에 기능조절을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인간의 삶의 문제에 근원적인 가치를 줄 수 있는 교육과 사회의 관점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디자인을 통한 해결안을 제시해보려는 의도가 있으므로 본 논문은 교육학 및 사회학과 디자인이 접목된 다학문적인 연구형태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현 사회는 점차 산업화, 도시화 되어가면서 개인주의적인 가치관과 핵가족화 현상이 날로 심화되고 있으므로 공동체성 확립을 통한 인간성 회복의 논의가 사회적으로 서서히 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여성의 사회진출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 교육적측면에서는 유아를 위한 시설 및 환경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데 반해 현재의 유아시설물에 대한 투자는 지극히 미흡한 편이다. 더우기 발달시기의 유아에게는 놀이를 통한 교육의 효과가 무척 민감함에도 불구하고 신체의 성장을 고려한 놀이들은 거의 부족한 현실로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올바른 인격체형성과 교육목표 실현을 위한 놀이공간을 디자인함으로서 공동체적인 환경속에서 개인적성숙과 인간성회복이라는 사회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하려는데 가장 큰 목적이 있으며 그 연구과정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유아에게 있어서 놀이공간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고 놀이를 통한 신체적, 정신적 성숙에 관하여 교육학적인 측면에서의 고찰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인간행태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이를 구체화시켰을 때는 공간의 가변성과 공간분할의 융통성 및 형태의 순환성을 도입하는 것이 공동체성 확립을 위한 적합한 형태라는 것을 알았고 색채를 비롯한 모든 환경구성요소에는 심리적인 만족감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된다는 것을 분석해 내었다. 이상의 고찰을통해 얻은 내용을 토대로 유아놀이공간 즉 유치원을 계획했으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먼저 지역성을 바탕으로 대상지의 환경분석을 하였고 · 그것에 기반을 두고 순환적구조를 형성시켜 주는 기하학적구조를 평면에 도입하였다. · 돌출된 평면을 비롯한 외부 및 내부환경에 통일된 디자인 모티브를 반복전개하였다. · 색체와재료 및 놀이기구는 유아의 발달심리와 정서에 적합한것으로 선택하였다. · 모든 디자인이 지역주민 다수의 참여와 최대 만족을위해 주변의 환경과 조화가 잘 되도록 하였고 시설물을 통해 지역주민이 쉽게 참여할 수 있고 융화될 수 있도록 참관실, 상담실, 자료실, 등을 마련해 주었고, 기능은 시간이나 행사에 따라 변화가 용이하도록 가변성있는 실내디자인을 해 주었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해 환경디자인물을 창출한다는 것은 교육과 사회문화적인 가치를 동시에 지닌 통합적인 결과물의 획득이라는데 의미가 있으며, 도시환경적 측면에서의 유아놀이공간 디자인을 진행함에 있어서는 전인적인 교육활동의 회복과 지역사회인의 공동체 의식회복으로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실제적인 대안이 되도록 하는데 주력하였다.;An attractive feature of designing, one of the future oriented sciences, is that it provides an insight to the future changes in our society through various processes of planning and creation. This thesis pursued some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incorporate education and sociology as well as designing in the fundamental paradign of human life. The recent economic development has provoke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arryin individualism and nuclear family system in our society and kinship respectively. Moreover, the increasing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of women strongly requires more adequat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for children. However, the reality is theat we are extremely lacking in playing facilities cultivating physical development for the children in very impressionable age. This study aims at the provision of solution to the prototype social goals like nhancement of individual maturity and humanism in current socioeconomic environment. This thesis starts from the investigations in educational point of view on the significance of playing environment on children and its roles on their physical as well as spiritual maturity. One of our major findings, in environmental aesthetic point of view, is that we should introduce some characteristics ; vriety of space, flexibility of space division, and recurring of forms. In addition, we should contemplat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every environmental constituents including color. We planned a prototype kinder garden based on above mentioned findings. The procedures are as follows : - We explore the environment of designated locadtion on the basis of community features. - Based on that, we proposesd architectural concept of circle, which transform plane into the system of recurring circle. - We propossed an iterating mechanism of unified design motives to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 including the projected parts. - Color and material of playing instruments are designated to be adequate for the physical and emotional feeling of children. - The kinder garden is organized to be harmonious with the surroundings in urban area by the concept of community and designed to have serviceable spaces like waiting room, consulting room, data room, and playing room, which are designed to be flexible in accommodating different time and events. We found that it is very effective to organize dynamic system in a given space appraising exucational and socio cultural value. Activities during this process coulde be realistic alternatives for the solution problem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