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백경문 .-
dc.creator백경문 .-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8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09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0979-
dc.description.abstract산업화, 정보화의 영향으로 급변하고 있는 도시환경은 기술의 진보와 국제사회로의 추세에 따라 점차 인간성의 황폐화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물질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소외 현상, 획일화 현상을 낳게 되었으며, 가치관의 혼란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신문화의 필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고, 그것은 문화환경의 조성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문화환경의 조성이 있어서 중요한 점은 주체로서의 인간가치를 수용하고, 환경심리·환경디자인 등의 이론을 새롭게 정립함으로서 인간중심의 공간을 창조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환경디자인의 접근방법을 사회가 필요로 하는 문화공간의 출현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미래의 가치 있는 방향으로 그들의 사고와 행동을 관리, 조절한다라는 목적 하에 출발하였다. 연구의 관심사는 인간중심적 측면에서 인간과 환경 간의 관계성을 토대로 환경디자인 접근방법을 정립하여, 인간에게 정신적인 여유를 부여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연구대상으로서의 디자인은 사회변화를 예측한 미래의 창조과정으로 보다 낳은 삶을 추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논문의 연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연구의 목적, 범위 및 방법과 주된 용어의 정의를 기술하였다. ● 복합문화 공간 계획을 위한 일반적인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디자인 과정의 기본요소 파악의 전제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 문화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복합문화 공간의 사회적 필요성 및 기본요소들의 기능을 살펴보고, 복합형태의 문화공간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의 필요요소를 파악하는 자료로 삼았다. ● 복합문화 공간 디자인의 계획을 위해 환경론의 일반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인간과 환경과의 맥을 갖도록 하였다. · 환경심리와 인간행태를 파악하고, 생태학적 입장에서의 접근방법을 고찰하여 본 연구의 디자인 방향에 대한 배경을 기술하였다. · Gestalt이론을 통하여 공간지각 및 형태지각에 대한 원리를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건축 공간 계획의 체계화, 질서화를 유도하였다. · 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건축공간개념과 지향성을 토대로 건축디자인 개념의 틀을 형성하였다. ● 조사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합리적인 복합문화 공간 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 환경개념을 중심으로 디자인 개념정의 및 과정을 기술하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공간개념을 파악하여, 기능에 따른 건축적 형태도출을 통해 효율적인 공간이 되도록 하였다. · Exterior와 Interior로 구분하여 Interior 공간에 Exterior공간을 재현한다라는 기본 맥락을 토대로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여 외부환경계획 및 문화공간의 실내 환경디자인을 제안하였다. · 필요공간을 파악하여 각 공간의 기능에 맞도록 디자인하고, 복합문화공간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통합의 이미지를 조성하게 하였다. ● 복합문화 공간을 인간에게 질적으로 향상된 생활환경의 제공이라는 측면과, 문화에 대해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공간이라는 측면, 또한 현대인들의 시간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사회적으로 요청되고 있는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그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인간중심적 환경을 조성하고 도심공간에 녹지공간을 부여하여,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복합문화 공간 디자인을 제시하였다.;Modern urban environment, changing rapidly under the influence of industrialization, is gradually bringing about dehumanization with the trend of technology advancement and internationalization.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and uniformity of human nature i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In this process the moral system of the modern society is also confused. In this situation the necessity of spiritual culture contributing to the elevation of the human life quality is beginning to be recognized, and it is possible by the creation of the relevant cultural space. The key point in the creation of cultural space is that we must accept the human value as the highest value, and creat the cultural space by newly applying the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design theory. This study approaches the design of a desirable cultur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inducing the thought and action of the modern man to the valuable direction of the future. Main interest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from the viewpoint of humanism and give men psychological relaxation.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he purpose and scope of the study and the definition of the main terms have been described. ● By investigating the general back ground of the design of the cultural complex,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e basic assumption of the fundamentals of design process. · By defining the concepts about the cultural space, and examining social need of the cultural Complex and the Function of basic element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the necessity of the new cultural complex. ● By investigating the general concepts of environmental studies to design the cultural Complex, this study has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environment. · In this study by investigating environmental psychology, ecology and social science about the human behavior, the background of design irection has been described. · By examining the principle of the space and form perception from the viewpoint of Gestalt theory, the foundation of the architectural space design has been induced. · The conceptual framework of architecture design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concept and orientation from the theories of architecture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past. ● A rational design method is suggested on the theoretical basis investigated. · By describing concept definition and the process of design from the viewpoint which attaches utmost concern to environment, and deriving architectural form according to the function, efficient cultural space has been designed. · To the effect to induce the reappearance of the exterior space in the interior space the exterior environment and interior space design has been suggested. · By examining necessary subspaces and designing them according to their fun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complex, this study has tried to make the unified image. ● Cultural complex is needed and recognized as an effective means to deliver more advanced living environment in quality and enable modern man to use time most efficiently. So in this study the designed of the cultural complex in which modern man living in bad environment can relax and fullfill himself is suggested as a forerunner mode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ⅰ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1.3. 연구에 따른 용어의 정의 = 3 2. 복합문화 공간의 일반적 배경 = 6 2.1. 문화공간의 개념 및 분류 = 6 2.2.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0 2.2.1.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및 기능 = 10 2.2.2. 복합문화공간의 사회적 필요성 = 13 2.2.3. 복합문화공간의 기본요소 = 15 2.2.4. 복합문화공간의 현황조사 = 26 3. 복합문화공간 실내 환경디자인을 위한 관련이론 = 29 3.1.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 29 3.2. GESTALT 이론에서의 고찰 = 38 3.3. 현대건축의 공간개념 = 42 4. 방법론을 통한 디자인 과정 및 제안 = 47 4.1.디자인의 개념정의 및 과정 = 47 4.2. 복합문화공간 환경디자인을 위한 기본방향 = 53 4.2.1. 디자인의 기본방향 = 53 4.2.2. 대상지 선정 및 환경분석 = 54 4.2.3. 외부환경계획 = 58 4.3. 건축적 형태의 도출 및 공간계획 = 61 4.3.1. 건축적 형태도출 = 61 원문누락 = 66 4.4. 실내환경디자인 계획 = 79 5. 결론 = 92 참고문헌 = 94 ABSTR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7383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복합문화공간-
dc.subject환경디자인-
dc.subject공간계획-
dc.subject실내환경디자인-
dc.title복합문화공간 환경디자인 및 그 과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ocess and methods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for cultural complex-
dc.format.pagevi, 100 p. :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1.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