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청소년 문화회간의 공간구성에 의한 이용행동 실태연구

Title
청소년 문화회간의 공간구성에 의한 이용행동 실태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UTILIZATION ACTIVITY BY THE SPACE FORMATION IN YOUTH CULTURAL CENTER
Authors
원지연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실내디자인전공
Keywords
청소년문회회관공간구성실내환경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 문화 회관은 청소년 여가시설의 중심적 場으로서 그 역할과 기능이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용자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수 있는 복합 시설의 중요성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환경적인 측면에서의 실내 디자인은 공간 내에서의 인간 행태에 맞는 환경이 종래의 직관적인 결정에서 이용자의 가치관과 행동적 요구를 적극 수용하는 개념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설의 계획은 복합적인 이점을 살려 시설 상호간의 이용이 더욱 촉진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 이용 환경에서의 행태해석을 통해 이용자를 중심으로 이용 행동 실태를 살펴보고 이용행동이 공간 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認知的 설명을 통해 파악하고 평가함으로써 보다 이용의 촉진을 기할 수 있는 공간 구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기존시설의 설문지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들의 이용행동실태를 파악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소재한 청소년 문화 회관중 주로 일반 학생들이 이용하는 각기능이 복합된 5개 시설을 선정하여 현황 및 이용실태 등을 살펴보았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 범위, 방법등을 개괄적으로 서술하였고, Ⅱ장은 청소년의 특성과 환경, 행태의 분석을 함으로써 인간의 행태 특성의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설명되고 분석되어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Ⅲ장은 청소년 문화 회관의 개념과 이용행동에 있어서 행위에 따른 청소년회관 시설에 관한 공간 분석, 시설이용의 결정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평가를 위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Ⅳ장 조사 방법과 조사 개념을 설정하여 회관에 대한 구체적인 상호 관련성과 이용행태에 관한 개인적, 사회적, 물리적 인자를 알아보았다. Ⅴ장은 이용 행동 실태조사의 결과대생지 마다 동일한 기능 공간에도 상호이용실태가 有意的인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인지 상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변화되고 있었다. 회관 이용자의 공간 사용 행태는 공간의 위치, 크기, 물리적, 사회적, 환경요인과 각 단위실의 이용 빈도등, 이용자 개인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에 대한 인지 정도가 사회심리적 인자에 대한 태도와도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각 대상시설은 동선체계 및 복도, 홀 등의 연결 공간의 구성, 기능별 그룹과 연결방법, 단위실의 친숙도등에 따라 인지 상황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끝으로 이용을 보다 촉진시킬 수 있는 청소년 문화 회관의 공간구성을 고려해 이용자의 시설물 이용이 용이하도록 평면의 단순성, 이용자 동선을 고려한 실의 배치, 공용 공간으로부터의 가시성 확보, 유사시설의 그룹핑과 연결방법 등의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일반단위 공간은 사회적 관찰을 통해 활동 기능의 인지도, 친숙도 등을 파악함으로써 이용 행동의 동기가 유발된다. 그러므로 활동 공간의 이용은 공간활동을 용이하게 해주므로 요소 공간과 각 시설간의 유기적인 공간구성이 요구된다. 위의 평가된 내용을 토대로 회관 계획에 필요한 바람직한 공간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 청소년 문화 회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의한 커뮤니티(Community)활동의 공간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므로 향후 청소년 회관 계획은 이용자의 사회적 관계와 이용행태를 충분히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한다.;The Youth Cultural Center has become further expanded its role and function as a central site of the facilities for making use of youth leisure hours, with this, it has become recognized with the importance of welfare facilities to satisfy the diversified desires of utilizers. The interior design in terms of an environmental aspect should devise the qualitative enhancement to meet the behaviors of utilizers by inducing it to the process of plan through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 within a space. Today's environment has been changed to positively accomodate the outlook on value by the utilizers and their behavioral desires in the existing intuitive determination. Therefore, the planning for such facilities should further promote the mutually-related use of facilities through making the most of composite advantage. Thus, this study is attempted to present the direction towards the space formation to be alble to promote the more utilization by both compromising and assessing the influence of utilization behaviors through a cognitive explanation with observing the actual state of utilizing behaviors on the basis of laying stress on the utilizers couped with the interpretation of the forms in the interior utilization environment. As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mong the youth cultural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the current status and the utilizing actual state by selecting 5 similar facilities with having composite functions for the use of students in general, it combined the current status with the actual state of utilization. In the 1st chapter, it described the object of the study, the scope and the method, etc., in general, and in the 2nd chapter, it observed the process of explaning and analyzing the features of human beviors through a systematic metho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their behavior and forms in this regard. In the 3rd chapter, it made an observation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accurately assess the concept of the youth cultural center and the utilizing activities by investigating the deteminative process of facilitties utilization and the analysis of a space related to the pertinent youth center facilities. In the 4th chapter, an observation has made on the concrete mutual correlation to the youth center and individu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toward the form of utilization through selecting the survey method and the survey concept. In the 5th chapter, it indicated that as the result of survey made on the actual state of utilizing behavior, there appeared, a significant variance in the actual state of mutual utilization even for the similar functional spaces in every subject site, and it was varied because it was closely linked with the cognitive situation. In addition, it was seen that the cognitive degree towards the space would possess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s for social, psychological recogni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each subject facility was varied with the cognitive situation depending on the path line of flow, the group by the formed function of connected space such as passage and hall, etc., connection method as well as the degree of intimacy of the unit room. Furthemore, Considering the space formation of the youth cultural center to further promote the utilization, it is necessary to render a prudent care for seizing the visibility, the connecting method with the grouping of similar facilities from the viewpoint of arranging rooms and the jointly used spaces which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e smiplicity of plane and the path line of flow by utilizers to enable them to use the combination of facilities. A general unit space would induce the motivation of utilizing behavior by grasping the cognitive degree and studying degree of activity function through social observation. Therefore, the utilization of activity space would enable the space utilization to be easier, it requires an important space and organic space formation among each repective facilities in this regard. Henceforth, the planning for the youth cultural center should take sufficiently into consideration for social relation and the utilizing behavior in so much as it would be the space of activity in the sphere of community by social reciprocal a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실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