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수원시 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Title
수원시 공간구조 변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volu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 the Case of Suwon City
Authors
장영실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Keywords
수원시공간구조도시공간구조도시사회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수원시의 공간구조변화에 영향을 준 요인과 그들이 도시공간에 귀결되어 나타난 도시공간구조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시기능체계의 변화를 인구증가, 산업발전, 교통의 발달, 공간정책등 보편적인 요인을 통해 살펴보고 이들이 공간에 귀착된 모습을 도시공간구조를 기술하는 요소별 접근방식을 택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구조의 변화과정을 지대- 교통비 마찰비용의 최소화모형을 이용한 분석틀을 통해 개념도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의 분석과 변화과정에 대한 기술을 위해 수원시가 성곽도시로 건설되기 시작한 18세기이래 오늘날까지를 크게 3기로 나누어 성곽도시기(1789-1910), 개방도시전개기(1911-1960), 근대도시 발전기(1961-1988)로 구분하고 근대도시발전기를 다시 근대화초기(1960년대), 도시개발기(1970년대), 도시성숙기(1980년대)의 3기로 구분하였다. 첫째, 성곽도시기의 공간구조형성에 영향을 준 것은 최초 성곽도시 화성(수원성)이 축조되고 그에 따른 당시의 도시형성정책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주목할 만한 것이 없다. 둘째, 개방도시전개기에는 일제에 의한 철도의 건설등에 의한 교통의 발달이 도시인구증가, 산업활성화를 촉발하여 교통망을 따라 주요 도시기능이 성곽을 넘어 수원역까지 " L "자형으로 확대되는 등 도시공간구조가 개방·확대되는 시기였다. 셋째, 근대도시로의 발전초기인 1960년대에는 수원지역에 의류·직물공업이 활성화되고 외부지역에서 노동력 즉 인구가 집중되므로서 도시공간구조가 보다 고밀도로 개발되는 시기였다. 넷째, 도시개발기인 1970년대에는 국토개발계획, 개발제한구역의 설치등이 도시공간구조의 무질서한 외연적 확산을 방지하는 한편 초기의 경부고속도로의 개설과 도로망체계의 확충 그리고 도시산업구조의 발달은 수원시의 동부지역이 개발되므로서 도시공간구조가 확대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다섯째, 1980년대의 도시성숙기에는 도시산업의 양적 증대와 구조적 개선 등으로 인해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도시공간구조의 2핵화가 진전되면서 도시과밀화가 이루어졌고 그에따른 도시개발계획의 수립·집행등의 의도적 노력에 의해 도시공간구조의 개편이 서서히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도심지역의 혼잡과 비효율적 토지이용 그리고 생활권개념에 입각한 도시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함등의 문제가 남아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시행정구역의 확장과 내부공간구조의 다핵화 및 건전한 도시계층구조의 확립등의 제반 노력이 요구된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look into the spatial structure of Suwon city in each evolutionary stage, and to find out the some space-forming factors. For that, the formative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which included the period of citadel city, the period of open city and the period of expansion and maturation in urban spatial structure. Four space forming factors, which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re the population size, industrial growth,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system and spatial policies on Suwon. During the first formative period (1900-1910), spatial structure of Suwon city was bounded by the castle and had been grown up within the boundary. Because Suwon (Hwasung) was a planned city in the late of eighteens century, it can be said that main space forming factor was the spatial policy. After that, Suwon city had been changed as a open ended system from the enclosure system by the construction of some railway (Kyung-Bu, Su-In, Su-Yu). Though it made the spatial structure to be expanded over the castle, the basic spatial structure was not changed. Only it had been developed densely than the former period. According to that,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was the major factor of spatial reorganization during this period. The third formative period (1960-1981) was that time, which the city has been modernized in full-scall. In 1960s,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population of Suwon made the city mature spatially. In 1970s, continuous growth of population and industries made the enlargement of spatial structure, and moreover the construction of Kyung-Bu express way and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oads accelerated that. In addition, zoning of Green of Belt on the northern fringe made the city be developed more densely. It made inevitable to reorganize the spatial structure of Suwon city. For that reason Urban Master Plan (1982-2001) was made, and it appears as the main factor of space-forming in 1980s. From now on, Suwon will be assigned a significant role in the Seoul metrolitan area. By the reason of that, Suwon city has to make an effort to reorganize its urban structure for the more functional spatial system. And many studies on the spatial system of Suwon will make it possible. After all more complete research following to this study ar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