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9 Download: 0

外國人을 위한 國語 漢字 敎育 硏究

Title
外國人을 위한 國語 漢字 敎育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Sino-Korean Characters Education for Foreigners
Authors
정승혜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대학원 한국학과
Keywords
국어한자교육한국어교육한자교육교육용한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논문은 韓國語를 學習하고자 하는 外國人들의 漢字學習을 위한 것이다. 韓國語를 배우는 學習者들은 韓國語 숙련도가 높아갈수록 韓國語의 많은 양의 어휘를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언어 철학자, Wittgenstein이 인간이 알 수 있는 세계는 자신이 알고 있는 어휘의 세계에 국한된다고 했듯이 話者의 표현력은 어휘의 양과 같은 상관 관계가 있다. 따라서 言語 敎育에서 어휘 敎育은 다른 교과과정 못지 않게 중요하다. 그런데 韓國語 敎育 현장에서는 별도의 어휘 敎育課程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韓國語 어휘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漢字語의 모체가 되는 漢字 어휘의 敎育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는 外國人을 위한 漢字 敎育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韓國語 敎育 내에서의 漢字 敎育課程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外國人을 위한 國語 漢字 敎育에 대한 硏究를 하였다. 주요 硏究 내용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旣存에 나와 있는 外國人을 위한 漢字 교재 4種을 비교, 분석하였고, 두 번째로 漢字 교재의 學習 내용이 되는 漢字의 선정에 관한 기준과 고려점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學習 대상을 한자권과 비한자권으로 나누어 敎育 방법과 교재 구성에 대한 제언으로 마무리하였다. 旣存 교재 연구에서는 네 가지 주요 교재의 目次, 구성, 설명법, 수록 漢字의 수, 難易度을 비교하여 長短點을 새로운 漢字 교재 개발의 기본으로 삼고자 하였다. 교재 비교 후, 도해를 이용한 字源的 지도, 意味場을 통한 學習, 각 科에서 學習 내용 제시 후 學習을 확인할 수 있는 연습 문제가 漢字 교재 구성에 꼭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外國人 漢字 敎育을 위한 漢字 선정은 外國語 어휘 敎育을 목적으로 하는 學習者들을 위한 것으로 敎育用 漢字로 어휘의 성격을 정하였다. 漢字의 사용 빈도수, 造語力, 敎育 가치성 등의 기준으로 敎育用 漢字를 '常用漢字 2000字'에서 선정하였다. 漢字를 선정할 때 學習 대상을 한자권과 비한자권으로 나누었는 데 이것은 旣存의 교재에서 시도되지 않았었다. 실제 漢字 敎授도 한자권 學習者와 비한자권 學習者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漢字를 많이 접한 문화권의 學習者들보다 비한자권의 外國 學習者들에게 漢字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부터 자세하게 가르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한자권 내에서도 日本, 中國, 臺灣의 漢字와 韓國 漢字가 유사한 점보다 다른 점이 많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실제 교수법도 필요하다. 그리고 外國人을 위한 漢字 교재와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을 위한 漢字 교재 각각의 비교 硏究와 學習 대상에 따른 敎育用 漢字 선정을 바탕으로 實資料를 통한 漢字 교재 구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특히 旣存의 교재와 달리 會話體 문장을 통해 漢字를 學習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교재를 구성하였다. 外國人을 위한 漢字 敎育은 그 중요성만큼 學習者들이 가능한 빨리 學習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이는 學習者의 부담을 줄이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漢字 교재 구성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學習할 소재를 찾거나 재미있는 그림, 게임 등을 모색하면 學習自의 學習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다. 이 硏究의 의의를 國語 漢字 學習者를 한자권과 비한자권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漢字 교재와 敎育用 漢字 선정과 敎授法의 개발을 시도한 것에 두며 學習 대상에 따른 漢字 敎育 硏究와 敎育課程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기대한다.;This study is about Sino-Korean Characters. Sino-Korean characters consist of almost 70% of Korean words. Sino-Korean characters are very different from Hangul in looks and they are semantic symbols. Therefore foreign students who want to learn Korean easily have difficulties studying Sino-Korean Characters. Although the study and research of Sino-Korean Characters are essentially required, there is not a curriculum for Sino-Korean characters education under the present situation. The content of discussion are as follows. In chapter II, this study compared four kinds of existing Sino-Korean characters books for foreign students. Each book has some good pointa and bad points. The result of comparison imply some consideration for good Sino-Korean book. Chapter III is about sorting the Sino-Korean characters for foreigners. Especially, the foreign students are divided two parts: the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circle of non-Chinese characters. The education for students from the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may not have the basic understanding of Sino-Korean characters, because they(Japanese, Chinese...) already know Chinese characters in their languages. The pool of sorting characters are 'Daily used Sino-Korean Characters 2000 letters' which complemets' Basic characters 1800 letters for Chinese literature. The Sino-Korean characters for educationis are 1000 letters. 1000 letters are enough for comfortness in daily life in Korea. Next part is more practical one in education: the difference of teaching principle or method between the students from the circl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students from the non-circle of Chinese characters. The word cards which show the differences of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ir Chinese characters in their native language are suitable for the students from the circle of Chinese charcters. In Conclusion, I think the division of students for Sino-Korean characters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learning, and using the dailogue style in Sino-Korean characters book is a good method. That method is especially good for the students from non- Chinese charcters , because they are totally beginners in Sino-Korean characters and then they might have some stress in learning Chinese characters. The existing books are composed of all written style and the learners could think Sino-Korean characters are written Korean not as spoken Korean. However the Sino-Korean Characters are oftenly used in spoken Korean. The study and research are surely needed for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and the textbook of Korean vocabulary inculding Sino-Korean charact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