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의-
dc.creator김영의-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00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8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4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89-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에는 관광산업이 세계 제1의 산업으로 등장할 것이라고 세계적인 미래학자 Herman Kahn은 말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관광산업과 국가적인 행사를 접목시킴으로써 상호간에 문화적 교류를 활발히 하고 있으며, 국가 경쟁력을 상승시켜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우리 나라도 이미 아시안 게임이나, 1988년의 서울 올림픽, 대전 엑스포와 같은 국가적인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2002년에는 한·일 월드컵 공동 개최를 앞두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적인 행사는 많은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하게 되었고, 이들에게 구매력을 자극할만한 한국 고유의 관광 문화 상품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도자 분야에서의 관광 문화 상품의 현황은 주로 전통적 디자인으로 고려 청자나 조선 백자와 같이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문화유산이 대다수이다 그러나 다른 공예 분야에서는 전통적인 소재를 응용하여 현대적 디자인 감각으로 캐릭터 상품화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도자 관광 문화 상품 개발은 디자인의 다양성과 제품의 우수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자는 1988년 올림픽의 공식 마스코트로 지정되기도 한 호랑이를 민화에 표현된 것을 소재로 하여 일상생활에 있어 실용적인 성격의 문화 상품으로 도자 제품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호랑이는 선사시대 암각화에 최초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신석기, 청동기, 통일신라,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과 함께 한 영물이며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상징적 존재이다. 특히, 조선시대 민화에 등장하는 호랑이는 사실적인 형태를 그대로 재현하는데 있어서도 현대적인 디자인 감각에 무리가 없는 소재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소재로서 조선시대 민화에 표현된 호랑이의 사실적인 표현 뿐 만 아니라 단순 왜곡으로 변형시켜 작품화하였다. 연구 내용의 이론적 배경으로 민화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관광 상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호랑이의 사실적 표현과, 생략, 변형, 왜곡된 형태의 결합으로 민화의 일반적인 틀에서 벗어나 3차원의 새로운 조형미를 찾으려 노력하였으며 아울러 실용성 부여에도 디자인의 중점을 두었다. 제작 방법에 있어서 상품 개발이라는 대량 생산의 전제하에 석고 틀을 이용한 이장주입 성형을 하였고, 부분적인 표현을 위해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태토는 실용기로서 청결감을 주기 위해 백색도가 뛰어난 Super white clay를 사용하였고, 입체감을 주기 위해 색슬립을 이용하였다. 유약은 조각의 세밀한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무유 처리하였고, 실용적인 부분은 투명유와 백matt로 담금 시유 하였으며, 장식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분무 시유도 병행하였다. 소성은 0.3㎥ 전기가마에서 최고 온도를 800℃로 5시간동안 1차 소성 하였고, 2차 소성은 최고 온도 1250℃로 하여 10시간동안 같은 가마에서 산화 염소성 하였다. 양산 체제를 전제로 하는 산업 도자에 이장주입 성형은 매우 유용하였으며, 관광 상품 개발에 대표적인 소재로써 민화에 표현된 호랑이를 차용함으로써 우리 나라의 전통성에 부합되는 이미지를 강조하였다. 관광 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결과, 작품에 실용성을 부여하여 상품으로서 구매력을 유발시키는데 주력하였고, 아울러 장식적 효과를 겸비함으로써 예술적 가치 창조에도 힘썼다. 더 나아가 앞으로의 관광 상품 개발에 있어서는 새로운 소재의 선택이 모색되어져야 하고, 생산 체계와 유통 구조의 원활한 수급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aesthetician Herman Kahn) Herman Kahn (1922-1983) had once said that in the 21s1 century, tourism will be the mosts prominent business for the future. Therefore, an effective exchange of culture can be established by combining tourism with different international events. The design of souvenir goods signify the distinct characterisitcs of any one county. It describes the tradition and history of a nation. Korea has initiated several important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Asian Games, 1988 Olympics, Taegun Exposition and will be hosting the sforthcoming 2002 World Cup. However, as yet there are no souvenir goods which best describes the Korean trait nor is there a commercial object which appeals to the local and the international public. Particular in the field of ceramics, people are still reproducing ancient celadon and white porcelain wares. This is perhaps because they are what is most renowned and known to the international public. However, this leaves us to think that we are simply relying on the past without further developments because we know that these goods will always sell. The history behind these wares are so great that we do not have to attempt in developing the designs. This is one aspect of our present situation is producing souvenir goods. On a contemporary level,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produce different clay characters as motifs and symbols of Korea. As a material, many different items can be produced. Yet this aspects has not be carefully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tiger image, which best describes Korea, has been researched to develop a souvenir item appropriate for the tourism industry. The tiger image was first found on a cave wall in the prehistoric age. Then it was us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Neolithic, Bronze, Koryo and the Chosun Periods. Eventually, the tiger came to be recognized as the symbol of Korea. The folk paintings of the Chosun Period best describes this. The paintings show a realistic image of the tiger and it is true to state that those images provide the best design motifs which can be used today as contemporary designs. In this study, the tiger images found in the Chosun folk paintings, have been examined to be used as a motif for ceramic tourist souvenirs. The images have been transformed, extracted and expanded to create different effects. Also they have been altered into 3 dimensional shapes. The slip-casting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mass-produce the forms. In addition to this, the tiger forms were sculpted. The white clay body was used to make these forms and they have been coated with coloured slips. Some of the objects have glazed surfaces and some are left without glaze. Transparent and opaque glazes have been used. The first firing was done in an electric kiln and the work was fired for 5 hours to a temperature of 800℃. The second firing was for 10 hours, also in an electric kiln, and it reached a temperature of 1250℃. The work was oxidized. The slip-casting method was most appropriate for mass-producing a single item. Furthermore, this aspect of developing tourist souvenir goods is becoming a crucial area for the future. It requires imagination, function and decoration. The designs of the items have to be considered seriously. It is an area where we must all endeavour to develop for the future exchange of our cultu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2. 본론 = 3 2.1 호랑이 민화에 대한 일반적 고찰 = 3 2.1.1 민화에 표현된 호랑이의 상징성 = 3 2.2 관광 문화 상품에 대한 일반적 고찰 = 13 2.2.1 관광 문화 상품으로서의 공예 = 13 2.2.2 우리 나라 도자 관광 상품의 유형 = 14 2.2.3 호랑이를 소재로 한 조형 사례 = 15 3. 작품제작 및 해석 = 22 3.1 디자인과정 = 22 3.2 작품제작 및 해석 = 44 4. 결론 = 66 참고문헌 = 68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565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관광 상품-
dc.subject문화 상품-
dc.subject도자디자인-
dc.subject민화-
dc.title관광 문화 도자 상품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민화의 호랑이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Ceramic Souvenir Gift Design : A Reseach on the Tiger Motif in Korean Folk Paintings-
dc.format.pageix, 70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