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9 Download: 0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이 고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Training o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uthors
김명주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Keywords
도해조직자영어 독해자기 주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e 7th School Curriculum of Korea, English is considered to enhance high-order thinking skills such as analysis, synthesis, application, inference, and evaluatio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learners to be actively involved in reading process and reconstruct a message by themselves. Through a variety of reading strategy training, leaners can choose and use the appropriate reading strategies, which leads to the effective reading. When the Korean English educational circumstances are considered, however, reading instruction in high schools is still teacher-centered and translation-focused with the lack of student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value of using reading strategy is underestimated and it's very difficult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high-order thinking skills.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It investigates whether or not the use of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have an effect on th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In previous researches, the graphic organizer given by teachers have been used, but in this study, learners experimental groups use th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ninety first high school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a control group and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8 times for 8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reading strategy training with the graphic organizer which was given by their teacher. As for the experimental groups, they were given graphic organizer in an early stage, but later, they began to us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by making their own chart. To help learners in both experimental groups us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content schema and formal schema were activated. The subjects took two reading comprehension tests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Every reading class, three groups took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for what they'd just read at the end of reading. After experiment, they filled out questionnaire for reading strategy use and attitude toward graphic organizer strategy train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training improved two experimental group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especially top-down reading abiliti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who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and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who activated the formal schema. Therefore, it implied that the kind of activated schemata didn't bring a big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Especially, th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of the upper level students. Secondly, the control group read the text passively through all the experiments, using graphic organizer given by the teacher. However, experimental groups had difficulty making their own graphic organizer at first, but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self-direct strategy training. The results of tests at the end of each class showed experimental groups continue to improve their top-town reading ability through the experiment. The improvement of the upper level students in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was remarkable Thirdly, the result of questionnaire about reading strategy use showed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who activated the content schema use reading strategy most actively and the control group lest actively. Therefore, it implies that th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training have a very positive effect on reading strategy use. Mostly, the strategy use score of the upper-level students was much higher, which implies more proficient language learner use learning strategies more frequently. Lastly,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s strategy train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y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upper level students tended to answer more positively on the strategy training.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uggests as follows. First, reading is not receiving information passively but reconstructing meanings. Therefore, learners are supposed to take the active roles through the reading process and this study shows self-directed strategy training is much more effective than teacher-centered strategy training. Secondly, leaners should focus on content-based reading rather than translation-focused reading. Therefore, learners can be given many opportunities to use other reading strategies by strategy training which requires high-order thinking skills. It stimulates student's critical thinking. Thirdly, using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can be very meaningful experience for learners. Moreover, it can be a useful tool for teachers to assess learner'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because it reveals learners' cognitive process. Like this,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enhances the process-oriented reading. Lastly, internalizing the self-directed graphic organizer strategy, learners think that strategy is very useful for their reading, but they didn't feel much interest in it. Therefore considering the learner's affective aspect, teachers should develop activities that increase learner's and motivation.;현재 시행 중인 7차 교육 과정은 영어가 단순히 의사 소통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영어 학습을 통해서 추론, 비판, 종합, 분석과 같은 학습자의 고등 정신 기능을 신장시킬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독해 전략 훈련을 통하여 학습자 스스로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여 사용하면서 효과적인 읽기를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영어 읽기 수업에서는 여전히 교사가 주도하는 해석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읽기 전략에 대한 인식과 훈련이 소홀히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교사가 제공한 도해조직자 자료를 통한 연구였음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텍스트의 내용을 시각화하도록 함으로써, 읽은 내용을 스스로 분석, 종합,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읽기 과정에서 학습자가 의미를 재구성해가고 있음을 고려하여,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을 돕는 기제로서, 스키마를 내용스키마와 형식스키마를 구분하여 제공하고 그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차시에 걸쳐 90명의 고등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를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교사가 제공한 도해조직자 자료를 이용한 교사 중심의 전략 훈련을 실시하였고, 두 개의 실험집단의 경우 초반부에는 교사가 제공한 도해조직자 자료를 이용하여 읽기 활동을 하다가 후반부에는 학습자 스스로 도해조직자 자료를 제작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도해조직자 전략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두 실험집단은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사용을 돕는 기제로서 각각 내용스키마와 형식스키마를 활성화하였다. 통제집단과 두 개의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전략 훈련 전·후에 영어 독해 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매 차시마다 텍스트의 이해도 여부를 살펴보는 평가를 실시하여 그 추이를 관찰하였고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을 내재화 시켜가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략 훈련 후에, 독해 전략 사용과 전략 훈련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 유형이 학습자의 영어 독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한 결과, 자기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을 한 두 개의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하향식 독해 점수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둘째, 통제집단은 교사가 제공한 도해조직자 자료를 이용한 수동적 읽기 활동에 그쳤으나, 실험집단의 경우 초반부에는 새로운 방식의 전략을 부담스러워하였으나 익숙해질수록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매 차시 실시된 이해도 평가에서 하향식 독해 점수가 꾸준히 향상되었으며, 특히 형식스키마를 활성화한 실험집단의 상위 학습자들의 경우, 하향식 독해 점수 향상이 두드러졌다. 셋째,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 후 독해 전략 사용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내용스키마를 활성화한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 집단이 독해 전략 사용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이 학습자의 독해 전략 사용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전반적으로 상위 집단의 독해 전략 사용점수가 높아서, 언어적 능숙도가 뛰어날수록 전략 사용을 더 많이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 과정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통제집단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이는 교사중심의 수동적 전략 훈련이 학습자들의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반적으로 하위 집단보다 상위 집단의 점수가 높아서 언어적 능숙도가 뛰어날수록 전략 훈련 후, 독해 전략 사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비추어 향후 읽기 활동에 관한 연구와 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실험집단에 활성화된 스키마의 종류보다는 자기 주도적으로 전략 훈련을 하는가 여부가 전략 훈련 효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교사나 학습자는 독해 전략 훈련을 실시할 때 글의 유형이나, 편의성, 본인의 선호도에 따라 내용스키마나 형식스키마, 혹은 다른 기제를 자기 주도적으로 자유롭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습자들은 단순히 문장을 읽고 해석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글을 읽고 유용한 정보를 가려내는 내용 중심의 읽기 활동을 해야 한다. 이에, 학습자는 도해조직자 전략과 같이 글의 내용을 전체적으로 분석, 종합, 비판하는 고등 정신 기능을 요하는 전략을 자기 주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그 외의 다양한 독해 전략들을 함께 사용하게 될 것이다. 셋째, 스스로 텍스트의 내용을 시각화시키는 읽기 과정 자체가 학습자에게는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이 될 수 있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의 도해조직자 자료를 통해 깊이 있게 학습자의 읽기 과정을 살 필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읽기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과정 중심의 읽기를 돕는다는 측면에서도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은 그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마지막으로, 자기 주도적 도해조직자 전략의 내재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전략의 유용성은 인정하였으나, 과업 수행의 부담감으로 인하여 정의적 영역에 있어서 부정적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도해조직자 전략 훈련에 학습자들이 좀더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수업 방식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