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주-
dc.creator김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6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6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5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522-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revealed the limitations especially in Korea where students learn English as EFL and classes have many students. Grammar instruction began to take important role in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A lot of research showed the form-focused instruction to attract learners' attention on form and meaning has the positive effects on second language teaming.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wo types of explicit grammar instruction, that is, the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and the tradition production-based instruction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y to interpret and produce sentences containing the English questions. Two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for 10 weeks. Four classes of 114 middles school studen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One group was assigned to interpretation tasks and the other was assigned to production tasks. Separate instructional packets for the interpretation group and the production group were balanced in regard to vocabulary, contents and kinds of questions, and total amount of practice time.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processing instruction using interpretation tasks and traditional production-based instruction using production tasks were effective in enabling students to interpret and produce the English questions. Processing instruction was better than traditional production-based instruction for interpretation tasks and it was as effective as traditional instruction for production tasks.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processing instruction and production-based instruction had the positive effect in enabling students to interpret and produce the English questions on the upper level students and the lower level students. Processing instruction was as effective as production-based instruction for interpretation tasks, and production-bas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processing instruction for production tasks on the upper level students. Processing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than production-based instruction for interpretation tasks, and processing instruction was as effective as production-based instruction for production tasks on the upper leve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ocessing instruction and production-based instruction were effective in enabling Korean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to interpret and produce English questions. Secondly, processing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lower level students and production-bas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on the upper level students. That means that the teachers should give the lower level students more chances to interpret target structure and the teachers give the upper level students more chances to produce target structure.;국제화 시대를 맞아 국제어로서 영어의 위상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졌고, 우리나라에서도 영어 학습에 대한 중요성이 많이 부각되었으며, 효과적인 영어 학습방법과 지도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행하여져 오는 가운데 문법 교육에 대한 인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과거에는 문법이 영어 교육의 전부로서 지나치게 강조되었으며 최근에는 의사소통적 언어 교육의 영향으로 문법의 중요성이 많이 축소되었다. 그러나 의사소통적 언어 교수법이 유창성의 지나친 강조로 정확성을 발전시키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 내면서 제 2언어 습득에 있어 문법 교수의 필요성이 다시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이 언어 의미 전달과 언어 형태에 주의를 집중하게 하는 형식 중심의 교수(form-focused instruction)가 문법 교육의 효과적인 방법들 중 하나로 등장하였다. 본 실험 연구는 형식 중심의 교수의 방법들 중 입력 처리 교수(input processing instruction)와 표현연습 중심의 교수(production-based instruction)가 제 2언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그 중 2개 학급에서는 이해활동 중심의 입력처리 연습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2개 학급에서는 표현연습을 실시하였다. 이해 및 표현연습은 16회에 걸쳐 문장단위의 문자언어로 실시되었으며, 목표구문은 영어의문문이었다. 실험기간 중 두 실험 집단에게 연습 방법만 달리 할 뿐 동일한 종류의 의문문 항목들이 제시되었고, 실험 전·후 시험에서는 두 실험집단 모 두에게 이해문제와 표현문제가 제시되었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이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의문문 이해 및 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은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밝혀졌다. 둘째, 두 연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이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해연습이 표현연습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었고, 표현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의 효과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연습이 영어 능력이 서로 다른 집단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결과, 상·하위 집단 모두에서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은 언어를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 연습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상위 수준 학생들의 경우에는 이해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의 효과가 비슷했고, 표현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표현연습이 더 효과적인 방법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하위 수준 학생들의 경우에는 이해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이해연습이 더 효과적이었고, 표현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두 연습의 효과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은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영어 문장을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효과적인 언어학습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상위 수준 학생들의 경우에는 영어 목표구문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현연습이 더 효과적이므로 표현연습의 기회를 더 많이 주어야 한다고 본다. 반면에, 하위 수준 학생들의 경우에는 영어 목표구문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해연습이 효과적이므로 이해연습의 기회를 더 많이 주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3 A. 제2언어 습득과 문법교수의 관계 = 3 B. 문법교수가 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 4 C. 형식 중심의 교수(Form-Focused Instruction)의 방법들 = 6 1. 입력처리 교수 (Input Processing Instruction) = 9 D. 선행 연구 = 11 1. 이해연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 11 2. 표현연습의 효과에 대한 연구 = 15 Ⅲ. 연구 방법 = 19 A. 실험 대상 = 19 B. 실험 자료 = 20 1. 문법 연습용 학습 자료 = 20 2. 실험 이전·이후 평가 자료 = 20 C. 실험 절차 = 21 1. 실험 이전 절차 = 21 2. 실험 수업의 절차 및 주요 활동 = 24 3. 자료 분석 및 처리 = 31 D. 연구 질문 = 31 E. 연구의 제한점 = 32 Ⅳ. 실험연구 결과 및 논의 = 33 A. 실험집단내 의문문 이해·표현과제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3 B. 상·하위 실험집단내 의문문 이해·표현과제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5 C. 실험집단간 의문문 이해·표현 과제에 대한 유의도 검증 = 38 D. 상·하위 실험집단간 의문문 이해·표현과제에 대한 유의도 검증 = 44 Ⅴ. 예상되는 결론 및 활용방안 = 47 참고문헌 = 49 부록 = 55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93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이해연습-
dc.subject표현연습-
dc.subject영어문법-
dc.subject영어문법학습-
dc.title이해연습과 표현연습이 영어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우리나라 중학생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Interpretation Task and Production Task on English Grammar on English Grammar Learning : Fo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