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주영희-
dc.creator주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5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79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9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utistic immediate echolalia on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color-discrimination [receptive labeling] tasks. For this purpose, three autistic children who were highly echolalic and cognitively low functioning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cho-availing treatment on color-object discrimination task performance,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Additionally, this effects was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raditional method for discrimination tasks instruction by using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During the treatment condition, before handing the requested color-object, each subject echoed the experimenter's color naming.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ubjects acquired the color-discrimination tasks through availing immediate echolalia of color naming. 2. The acquired task performance was generalized to new teacher and the same-colored new objects. 3. The acquired task performance was maintained after withdrawal of the treatment. 4. For one of the three subjects, only the echo-availing condition was effective on the color discrimination tasks. For the two subjects, the echo-availing condition and the traditional condition were comparably effecti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corporating echolalia (echo of the requested color's name) into the task before manual response (handing the requested color-object to the experimenter) facilitated receptive labeling. This results suggest that perhaps in certain cases, echolalia should not be eliminated, but used to advantage in receptive responding.;자폐아동의 반향어는 오랫동안 이들의 대표적인 언어 결함 현상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중재접근도 반향어를 제거하는 데 초점이 두어졌었다. 그러나, 반향어가 언어발달에 관련되며 화용적 기능이 있음을 보이는 연구결과들에 의해 반향어에 대한 인식과 중재가 변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폐아동의 반향어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새로운 이해 하에, 자폐아동의 즉각반향어가 교수상황에서 갖는 기능성을 과제 습득에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즉각반향어 빈도가 높고 인지수준이 낮은 세 명의 자폐아동에게 색변별 과제 습득을 위해 반향활용 교수조건을 적용하였으며, 이 조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중다기초선 설계를 이용하였다. 부가적으로, 이들의 색변별 과제 습득에 있어서 반향활용 조건에 의한 교수와 전통적 교수가 그 효과면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각 아동에게 두 개의 목표색에 대해 한 색은 반향활용 조건으로, 다른 한 색은 전통적 방법으로 교수하는 엇갈림 처치 설계를 이용하였다. 각 아동이 기초선에서 안정적으로 낮은 정반응율을 보일 때에, 한 색은 색이름을 듣고 집어주기(수용적 명명) 전에 교수자의 색이름 명명을 반향하는 조건으로 처치하고 한 색은 전통적 방법에 의한 교수조건으로 처치하여, 변별 과제 습득준거에 도달하면 처치를 종료하고 교재일반화와 교사일반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습득된 과제 수행이 유지되는지 보기 위해 처치 종료 2주 후 과제수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아동 모두 색이름에 대한 즉각반향어를 활용하는 방법인 반향활용 조건에 의해 색변별 과제를 습득하였다. 둘째, 반향활용 조건에서 습득된 색변별 과제 수행은 새로운 교사에 대해서도 세 아동에게서 각각 평균 정반응율 93%, 100%, 100%로 일반화되었다. 셋째, 반향활용 조건에서 습득된 색변별 과제수행은, 같은 색의 ?V으로 구성한 새로운 교재로 일반화 하였을 때 세 아동에게서 각각 평균 정반응율 80%, 70%, 90%로 일반화되었다. 넷째, 반향활용 조건에서 습득된 색변별 과제 수행은, 처치가 종료된 2주 후 세 아동에게서 각각 평균 정반응율 83%, 93%, 100%로 유지되었다. 다섯째, 반향활용 교수 조건의 효과를 전통적 교수방법의 효과와 비교하였을 때, 아동 1은 반향활용 교수 조건에서만 습득하였으며, 과제수행 일반화 및 유지 수행 수준도 반향활용 조건에서 더 높았다. 그러나, 아동 2와 아동 3은 두 조건의 효과가 비슷하였다. 결론적으로, 색이름 명명을 반향하는 조건에서 세 아동 모두 색변별 과제 수행이 증가하였다. 반향활용 조건과 전통적 교수방법의 효과를 비교하였을때, 세 아동 중 두 아동은 두 조건에서 유의미한 차를 보이진 않았으나, 한 아동은 반향조건에서만 습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즉각반향어가 새로운 과제 또는 행위의 습득에 활용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일치하며, 교수상황에서 발생하는 즉각반향어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로써, 자폐아동의 반향어가 지닌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식 및 바람직한 중재방향을 제안하는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11 A. 자폐아동의 언어 = 11 1. 자폐아동 언어의 전반적 특성 = 11 2. 자폐아동의 반향어 = 13 3. 자폐아동의 반향어와 자폐아동의 여러 특성간의 관계 ; 게스탈트식 정보처리 이론을 중심으로 = 17 B. 반향어의 의미성 = 18 1. 언어 발달과 반향어 = 18 2. 반향어의 기능 = 23 C. 반향어의 활용가능성과 바람직한 중재방향 = 28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31 A. 대상아동 = 31 1. 대상아동 선정 절차 = 31 2. 선정된 대상아동의 특성 = 34 B. 실험 기간 = 37 C. 실험환경 = 38 1. 실시환경 = 38 2. 목표 과제 = 39 3. 목표 색의 교수 순서 = 39 4. 색사물 제시 위치 순서 = 40 D. 실험 설계 및 실험 조건 = 41 1. 기초선 기간(A) = 41 2. 실험 처치(B) = 42 3. 일반화(C) = 44 4. 유지(D) = 44 E. 자료수집 및 자료분석 = 45 F. 관찰자간 신뢰도 = 45 Ⅲ. 연구 결과 = 47 A. 반향 활용 조건 각 기간 동안의 대상자의 수행 = 47 1. 기초선 기간 동안의 각 대상자의 수행 = 49 2. 반향활용 조건에 의한 처치 기간 동안의 각 대상자의 수행 = 50 3. 반향활용 조건에서 각 대상자의 일반화 수행 정도 = 50 4. 반향활용 조건에서 각 대상자의 과제 수행 유지 정도 = 51 B. 반향활용 교수 조건과 전통적 교수 조건의 처치효과 비교 = 52 1. 색변별 과제의 습득에 있어서 두 처치 조건의 효과 비교 = 54 2. 색변별 과제 수행 일반화에 있어서 두 처치 조건의 비교 = 54 3. 색변별 과제 수행 유지에 있어서 두 처치 조건의 비교 = 56 Ⅴ. 논의 및 제언 = 57 A. 논의 = 58 1. 반향활용 조건에서의 색변별 과제 수행 = 58 2. 색변별 과제 수행에 있어서 반향활용 조건과 전통적 교수 방법의 효과 비교 = 61 B. 제한점 = 62 C. 제언 = 63 참고문헌 = 65 부록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76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즉각반향어-
dc.subject자폐아동-
dc.subject변별과제-
dc.subject일반화-
dc.title즉각반향어의 기능적 활용이 자폐아동의 변별과제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ffects of functional availing of immediate echolalia on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discrimination task in autistic children-
dc.format.pagex, 81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