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4 Download: 0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Title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scrip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train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김경양
Issue Date
2001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스크립트 활동AAC 중재중도장애아동의사소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Because of limited verbal competence, they often requi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upport. Researchers have recently suggested that communicative intervention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hould be used in more natural situation. Based on this rationale, script activities have been suggested as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So this study used script-based activities as a context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rip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following questions were addressed: (1) the acquisi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effects of scrip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on acquisition of communication functions for thre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2) the differential acquisition effect according to six communication functions, (3) the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used during training. Participants were three Korean students with severe cerebral palsy, two females and one male. Their age range was 7-9 years. They attended in special school for the physical disabilities. They did not have any reliable communication skill and have not received any training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before this study. In this study, they used VOCA and low-tech communication boar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data were collected about six communication functions and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of participants. Communication functions were to request objects, request actions, request information, protest, answer, and social function. The 18 opportunities to acquire these were embedded in script-based activities, three times per each communication functions. For the baseline phase, three script-based activities were provided grocery shopping, birthday party, and snack preparation. One script activity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for ten minutes per day. Three script activities were exchanged day by day.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s, 30-minutes sessions was consisted of 10-minutes data collection and 20-minutes AAC training.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ir participation in script activities of last session. Scrip activities, communication partner, and a play situation were changed during the generalized phase. Script-based activities for the generalized phase were making a hand camera and dinner preparations.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three weeks after the generalization phase was ov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procedures were same as the baseline phas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1) Communication functions of all participants increased during the intervention. Students acquired requesting objects and requesting actions faster than requesting information and social function. Also, all participants used mo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mode rather than gesture or utterance as soon as the AAC training started. They used mor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mode to request information rather to answer. 2) The effect of the scrip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was generalized to other situation. 3) The effect of the scrip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was maintained to three weeks follows up. In summary, this showed that all three students acquired communication functions through script-based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raining and they generalized the functions to other script activities and communication partner. All participants showed rapidly increased AtiC usage, although they continued to use their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Finally, this study showed that script activities were an effective strategy for M C training and it supported the results of former studies for other language disorder. Highly motivated nature of selected script activities and the communication opportunities embedded in them seemed to make participants to be more active during the AAC training.;의사소통은 개인의 삶을 영위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기능이지만, 중도장애인은 여러 가지 제한점들로 인하여 적절한 의사소통 기능을 습득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도장애인을 대상으로 AAC 사용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과거 AAC 연구는 주로 단순히 AAC 도구만을 아동에게 제공하거나 AAC 도구의 상징을 교수하곤 하였다. 그러나 최근 연구들은 일상 생활에서 중도장애인이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 AAC 도구를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이는 언어의 화용론적 측면에서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연구에 중점을 두는 것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으로, 이러한 변화는 AAC을 교수하는데 보다 자연스러운 상황 및 의사소통 상호작용과 기능을 고려하는 중재 방법에 대한 고려를 촉진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화용론적 측면의 언어 중재 방법으로 효과적이라고 입증된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하여 중도장애아동들에게 AAC 중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기존의 AAC 연구와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차이가 있다. 첫째, 중도장애아동들 대상으로 한 기존의 AAC 연구들이 요구하기나 대답하기와 같이 다소 제한된 의사소통 기능을 교수한 반면, 본 연구는 의사소통 기능의 범위를 확장하여 행위요구하기, 사물요구하기, 정보요구하기, 거부하기, 대답하기, 사회성 기능의 6가지 의사소통 기능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교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존중하여 AAC 도구뿐만 아니라 몸짓이나 발화와 같은 비도구체계를 의사소통 방식으로 고려하였고, 이에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아동이 사용하는 복합 의사소통 방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언어 교육에서 효과적인 언어 중재방법으로 입증된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하여 AAC 중재를 실시함으로써 중도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대상으로 특수학교의 복합 중도장애아동 3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설계는 3명의 대상아동에 대한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스크립트 활동은 가게 놀이, 생일파티, 간식만들기로 아동들에게 친숙한 활동들이었다. 중재 단계에서 세 가지 활동은 10분 관찰과 20분 중재로 매회 총 30분간 교대로 실시되었다. 중재 효과가 일반화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료 후 3회기 동안 중재와 전혀 다른 스크립트 활동(예: 공작놀이)으로 일반화 1을 실시하였고, 이후 3회기 동안 전혀 다른 활동(예: 소꼽놀이), 전혀 다른 교실 상황, 다른 의사소통 상대방으로 일반화 2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재 효과의 유지를 알아보기 위해 중재 종결 3주 후에 각 아동마다 3회기 동안 10분씩 스크립트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를 통해 대상아동 1, 2, 3은 의사소통 기능을 모두 습득하였다. 둘째,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를 통해 대상아동 1, 2, 3은 6가지 의사소통 기능의 습득 정도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대상아동 1, 2, 3은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기초선에서 주로 사용하던 몸짓이나 발화와 같은 기타반응보다 중재 후 AAC 도구를 사용하는 정반응이 더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를 통해 습득된 중도 장애아동의 6가지 의사소통기능은 새로운 활동 및 활동, 활동 상대자, 활동 환경의 변화에서도 일반화되었다. 다섯째, 스크립트 활동을 이용한 AAC 중재를 통해 습득된 중도 장애아동의 6가지 의사소통기능은 중재가 종료되고 3주 후에도 유지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스크립트를 이용한 AAC 중재가 중도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 기능 습득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언어장애 및 정신지체나 자폐아동의 언어 중재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입증된 스크립트 활동을 중도장애아동을 대상 한 AAC 중재 방법으로 확장하였고, 특히 본 연구는 스크립트 활동이 AAC 훈련을 위한 중재방법으로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중도장애아동에게 교수되었던 예/아니오 대답이나 요구하기 기능을 사물요구하기, 행위요구하기와 함께 거부하기, 대답하기, 정보요구하기, 사회성 기능으로 확장하여 중도장애아동에게 교수되었던 제한된 의사소통 기능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의사소통 방식으로 AAC 도구 사용뿐만 아니라 몸짓이나 발화의 사용도 포함하여 6 가지 의사소통 방식을 살펴보았고 이에 본 연구 결과는 적절한 의사소통 방식은 아동의 의사소통 강점과 약점을 고려해서 의사소통 기능과 내용 및 상황, 의사소통 파트너의 친숙함 정도 등에 따라 선택하여야 한다는 것과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예: AAC 도구)의 효율성을 강조하여 기존에 아동이 갖고 있던 의사소통 방식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