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영실-
dc.creator최영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4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의 형태와 개폐 구조 및 문양 요소를 중심으로 조선 사회가 갖는 문화적 특징을 유기적으로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이전 자물쇠와 외국 자물쇠와의 비교 파악을 중심으로 조선 자물쇠를 고찰하고 둘째,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의 제형태 분류의 작업을 통하여 일반적 특성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 이면에 깃들어 있는 한국 고유의 기복 심성을 고찰하여, 조선 사회의 전반적인 문화적 배경에 대해 한국학적인 시각으로 종합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위해 유물을 대상으로 한 실물 분석과 각종 문헌의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실물의 자료는 서울과 지방 소재의 민속 박물관과 개인 소장가를 답사하여 스케치, 사진 촬영의 방법으로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실물 자료는 기술적 분석에 이용되었다. 아울러 조선 목가구 자물쇠의 통시적 연구와 한국학적 고찰의 방법으로는 인터넷 사이트의 유물 사진과 전문 논문, 단행본 및 고문헌 등을 참조하였다. 또한 조선 목가구 자물쇠는 앞바탕과 뻗침대로 그 기능이 완성되므로, 본 논문은 연구 범위에 뻗침대와 앞바탕을 포함하는 바이다. 연구의 전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한반도의 자물쇠는 조선 이전에는 전체적으로 중국의 영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의장과 재질상으로는 간혹 서역적인 요소도 볼 수 있는 것과 관계하여 생각해 볼 때, 조선 이전에는 자물쇠의 '민족적 고유성'을 확립하지 못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중국 자물쇠와 조선 이전 자물쇠의 실물에서 보이는 형태상의 유사성을 통해서 볼 수 있었으며, 조선 이전 자물쇠와 조선 자물쇠의 이질적 형태와 재질상의 차이점도 근거로 들 수 있다. 문헌상으로는 고려사에 나타난 자물쇠에 대한 두 건의 기록, 즉 고려가 원나라로부터 자물쇠를 하사 받았다는 기록 등에서 자물쇠가 중국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당시의 관례를 참조할 수 있었다. 2)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의 특성은 크게 '개폐의 용이함과 모양의 단순함', '기복 성향의 문양과 형태', '가구의 장식물', '보안의 명시성과 상징성'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조선 목가구 자물쇠는 구조적인 보안성이 통일 신라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단순한 개폐 구조 형태로 별다른 기능적 발전은 없었다. 조선자물쇠의 이와 같은 보안의 미비함은 일찍이 요철 형태의 자물쇠와 열쇠를 개발해 발전해온 서양의 자물쇠와 대조되는 특징이다. 또한 조선 목가구 자물쇠는 가구의 중앙에 놓여 대칭적 미를 완성하고 화려한 문양과 재질 등으로 장식을 하는 역할이 컸다.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의 문양은 당시 민화와 부적 등의 생활 공예에 쓰인 문양과 동일한 기복적 상징성을 갖는다. 이는 조선 후기에 팽배했던 실학 사상과 서민의식, 실용적 정신의 사회 현상이 당시 생활 공예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조선 사회에 전반적으로 파급된 기복적 상징체계가 자물쇠의 문양과 형태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는 가내의 기복 사항을 문양화하여 때로는 주술적인 용도로도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이러한 분석 결과들을 통하여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는 자물쇠 본연의 기능인 보안을 하는 기기로서는 그리 큰 성능을 발휘하지 못 하였지만 한국적 심성을 고루 담은 문화적 유물(물질문화)임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조선 후기 실생활에서 목가구의 자물쇠는 가내 기복을 담당하는 부적의 대용품인 동시에 미학적 측면으로는 가구를 장식하는 '다용도의 기물'이라는 점을 살펴 볼 수 있었다.;This paper looks into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 by studying the locks used on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especially how they open and close, and the decorative patterns used on them. The detailed purpos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by comparing the locks used in early Joseon period and locks used in foreign countries, the writer tried to study the locks of Joseon Dynasty. Second, by categorizing the various locks used on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the writer tried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Joseon locks. Lastly, the writer tried to make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ultural background underlying the Joseon society by looking into the Joseon people’s sentiment of wishing for blessing that is reflected in the locks used in the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To this end, analysis of original material, including relics, has been performed as well as literature studies. Data on original material was collected by visiting museums located in Seoul and other provincial regions, as well as individual collectors. Sketches or photographs of the material were made. The collected data were put through a technical analysis. For a historical study and a study focused on Korean studies regarding the subject of Joseon locks, pictures on relics loaded on the Internet, dissertations, published books, and ancient books were referred to. As the locks used on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comprise of apbatang and ppeodchimdae, the two elements have also been includ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Korean locks were not totally free from the influences of China before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design and material used to make locks showed some influence of western culture as well, which indicates that prior to Joseon, the peoples living in the Korean peninsula had not yet established locks reflecting a unique culture of their own. Testifying to this hypothesis is the similarity in form of the locks used in the Korean peninsula prior to the Joseon Dynasty and those of China. Locks used prior to the Joseon Dynasty actually differ in form and base material with those of Joseon. Literature review of Goryeosa reveals two records regarding locks. The record that Won(China) provided a lock as a gift to Goryeo(Dynasty before Joseon) indicates there was a custom of bringing in locks from China at the time.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ks of Joseon wooden furni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imple design and easy to open and close’, ‘Design and patterns reflecting the custom of wishing for blessing’, ‘Ornamental’, and ‘Conspicuousness and symbol of security’. The design and decorative patterns used in the locks for wooden furniture reflect the same sentiment of wishing for blessing as reflected in the folk drawings or amulets used in late Joseon. This shows that the practical science which was widely espoused in late Joseon, along with the popular sentiment and the spirit of practicalism, had great influence over all crafts. It seems that, against this backdrop, the symbols of ‘blessing wishing’ widely spread throughout Joseon was reflected in the decorative patterns used in locks as well. This also indicates that locks, in late Joseon, carried symbols of those that a household wished for, and were used as amulets. Meanwhile, locks, placed at the center of the wooden furniture, complete the aesthetics of symmetry, and were normally ornamented in a fancy manner, adding beauty to the furniture. As for its functional attribute of security, there wasn’t much change from the simple open-close structure used since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weak security function of the locks of wooden furniture of Joseon clearly marks a difference with the western locks that have been made in the ward(凹凸) form from the early days. 3)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 writer has come to conclude that the locks used on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were more of a cultural relic(material culture) carrying the Korean sentiment, rather than a sophisticated tool of maintaining security. That is, the locks used on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seem to have been a ‘multipurpose utensil’, used as an ornament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furniture, as well as a replacement for amulets in signifying the household’s desire for blessing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머리말 = 1 1.연구 배경 = 1 2.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 5 Ⅱ. 자물쇠의 역사와 문화 = 9 1. 자물쇠의 개념적 고찰 = 9 1.1. 자물쇠의 어의 = 9 1.2. 자물쇠의 기능 = 10 2. 세계 각국의 자물쇠에 대한 사적(史的) 고찰 = 10 3. 한국 자물쇠에 대한 사적 고찰 = 18 3.1. 조선시대 이전 = 18 3.2. 조선시대 = 24 Ⅲ.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의 구조 = 27 1. 목가구와 자물쇠의 상관 관계 = 27 1.1. 가옥 구조와 가구 = 27 1.2. 장(欌), 농(籠), 궤(櫃)의 자물쇠 = 32 1.3. 장석(裝錫)과 자물쇠의 상관 관계 = 36 2. 자물쇠의 기본 구조 = 40 3. 자물쇠의 구조와 형태 = 44 3.1. 개폐단순형 자물쇠 = 45 3.2. 개폐복잡형 자물쇠 = 55 4. 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의 구조적 특성 = 60 4.1. 단순한 구조 = 60 4.2. 조형의 도식화 = 63 4.3. 한정된 종류 = 67 Ⅳ. 조선 목가구 자물쇠의 문양과 상징 = 69 1. 문양의 종류와 의미 = 69 1.1 기하학적 문양 = 70 1.2. 글씨 문양 = 71 1.3. 식물 문양 = 73 1.4. 동물문양 = 75 2. 자물쇠와 민화의 상관 관계 = 76 2.1. 민화의 개념과 용도 = 76 2.2. 자물쇠와 민화 문양의 비교 = 77 2.3. 자물쇠와 민화의 상관 관계 = 84 2.3.1. 역사적 배경 = 86 2.3.2. 문양과 상징 = 87 Ⅴ. 맺음말 = 92 참고문헌 = 96 ABSTRACT = 10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2748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조선후기-
dc.subject목가구-
dc.subject자물쇠-
dc.subject구조-
dc.title조선 후기 목가구 자물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구조'와 '문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locks used on wooden furniture in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structure and the decorative patterns-
dc.format.pagevi, 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한국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