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명경-
dc.creator이명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5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40-
dc.description.abstract"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 (요 4:24) 기독교 역사에 있어서 예배는 시대적 배경과 지역적 특성에 따라 다소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늘 기독교의 핵심적 역할을 감당해 왔다. 또한 예배자는 찬양과 감사를 드림으로 참 용서와 자비를 주시는 하나님을 만난다. 이것은 바로 예배의 영성을 의미한다. 이에 본 논문은 기독교 예배와 예배자의 고정된 전 이해에서 벗어나 예배의 기쁨과 감격을 회복하기 위한 방법론이라는 측면에서 '움직임'을 제시함으로 오늘의 예배를 재조명해 보았다. 세계 교회 역사를 개괄해 볼 때 1960년대 이후 예배 갱신 운동의 물결이 일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기독교의 본질을 회복하고 보전한다는 측면에서 고무적이지 않을 수 없다. 즉, 의식이 되고, 경직화되어 버린 예배를 '해방의 축제'로 재현하며 그 역동성을 회복하자는 것이다. "축제적인 예배란 드라마틱한 성격을 지닐 수 밖에 없다. 예배의 내용은 무용과 연극으로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예배에는 움직임과 리듬이 따른다." 이 시점에서, 예배갱신 운동의 당면한 과제로서 교회사에 나타난 움직임과 구약성서를 고찰해 봄으로써, 예배속의 '움직임의 당위성'을 논해 보았다. 더 나아가서, 예배 구조안에 행해질 수 있는 구체적 예배무용의 유형을 나누어 그 기능적 의미를 분석해 보고, 이 연구를 통해 예배 속의 무용적 언어를 확장시키는 데 밑거름이 되고자 했다. 또한 "하나님의 지으신 모든 것은 선하매, 감사함으로 받으면, 버릴 것이 없나니 하님의 말씀과 기도로 거룩하여 짐이니라."(딤전 4:4-5)는 말씀은 각 민족의 전통문화를 포함한 각 영역 속에 하나님의 뜻을 실현하라는 권면이며 동시에 창조 원리와 함께 주어진 축복임이 확실하다. 그리고 Evelyn Underhill은 "예배의식은 영원하신 하나님에게 드리는 피조물의 응답"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한국인으로 빚어져서 한국에 태어나 한국인으로 살고 있는 "나"는 하나님을 어떻게 이해하고, 한국인으로서 "나"는 하나님의 말씀하심에 어떻게 응답하고 있는가? 마땅히 각 나라, 각 민족, 각 개인에 따라 그 방식이 다를 것이다. 즉, 복음이 특정 지역에 전파되기 위해서는 그 문화의 옷과 형식을 취해야 하는데, 이것은 "바울이 율법아래 있는 자에게는 율법 아래 있는 자 같이, 율법 없는 자에게는 율법 없는 자 같이 한 것이 그들 모두를 얻기 위함이었다"고 설파한 바와 같다(고전 9:20-22). 여기서 형식(form)과 의미(meaning)와의 관계를 생각하게 되는데, 양자택일이 강요될 때 형식의 불변을 고집하다가 의미의 변질을 초래할 것이 아니라, 의미를 고수하기 위하여 형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자세라고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성육신 사건은 적응과 변혁을 동시에 내포하고 있다. 이런 전제 아래, 한국 전통 문화 중 '정재'(5)를 절기 예배 가운데 접목시켜 보았는데, 이것은 예배 양식과 예전 형식의 '한국 문화적 표현'을 통해 예배의 내용과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한국적 예배가 한국예배 문화로 토착화되도록 기여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God is spirit, and his worshipers must worship in spirit and in truth" (John 4 :20) Worship has taken the essential role of Christianity in its history, even though there are more or les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iversity of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local circumstances. And worshipers by offering their praises and thanksgivings to the told have faced Him, who bestows upon them His forgiveness and benevolence. This is what the spirituality of worship means. This thesis tries to reconsider today's worship and to suggest "movement" (or dance) as one of the methodologies to resuscitate the joy and excitement of worship, overcoming the stereotyped understanding that the Christian churches and worshipers have previously held about worship. When making a survey of the world history of churches, we can observe that the wave of the reforming movement of worship has begun since the 1960s. It is encouraging in the sense that it restores and preserves the essence of Christianity. That is, it is to restore the dynamics of worship reviving the liturgy from a ritualized and stiffened one to a "celebration of liberation". Celebrational worship cannot help taking dramatic features, in the content of which it is desirable that there will be the expressions of dance and drama. And in this kind of worship follows movements and rhythms. And then the author tries to make a research of "the indispensability of movements (or dance) in worship" as one of the present tasks the reforming movement of liturgy is confronted with, by surveying the movements (or dance) which appear in the Old Testament and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es. Furthermore, the author divides the liturgical dance in detail that can be performed in the established liturgical structure and analyzes its functional significance. And the author also wants this thesis to be the foundation to enlarge the dance language in worship. It is rooted in the belief in the words of God which are saying, "For everything God created is good, and nothing is to be rejected if it is received with thanksgiving, because it is consecrated by the word of God and prayer." These words are at once a commandment to fulfill God's will in every sphere including every traditional culture of every nation and a blessing of God given to us with His creation principle. Evelyn Underhill said, "Liturgical rituals are the response of the creature to the eternal God." And then, how should "I" who am created as a Korean, born in Korea as a Korean, understand God? And how should I respond to God as a Korean? The ways of response will be necessarily diverse according to nations, races and individuals. That is, gospel takes different clothes and forms according to each locality in order to be proclaimed there. This is why Paul is confessing like the following, "To the Jews I became like a Jew, to win the fews. To those under the law I became like one under the law (though I myself am not under the law), so as to win those under the law. To those not having the law I became like one not having the law(though I am not free from God's law but am under Christ's law), so as to win those not having the Law" (Ⅱ Cor 9:20-21). Here the author thinks that whenever we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and the meaning and being pressed to choose between them, it is more desirable to take the latter, because it's better to transform the form in order to preserve the meaning rather than to distort the latter in order to add here to the unchangeability of the former. In this sense the incarnation of Jesus Christ gives us a good model of embodying the accommod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 Under this proposition, the author tries to introduce "Chungjae",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dances into the liturgical worship and consider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s of the Korean culture" in both worship forms and liturgical ritual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ntribute to the indigenizing of the Korean worship for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예배무용의 역사 = 3 1. 교부시대 - 중세시대 = 4 2. 종교개혁 이후 = 7 Ⅲ. 구약성서 속에 나타난 몸으로 드리는 움직임 = 11 1. 히브리 문화에 녹아있는 '움직임'의 전통 = 12 2. 시편 속의 '움직임' = 19 Ⅳ. 움직임으로 드리는 예배를 위한 모색 = 26 1. 예배무용의 유형과 기능적 의미 = 26 1) 행렬 무용 = 29 2) 말씀 선포 무용 (Proclamation Dance) = 31 3) 기도 무용 (Prayer Dance) = 33 4) 묵상 무용 (Meditation Dance) = 35 5) 축제 무용 (Celebration Dance) = 36 2. 정재와 예배무용과의 만남 = 39 1) 향악정재의 시대적 배경 = 41 2) 향악 정재의 특징과 종류 = 43 3. 정재로 드리는 절기예배를 위한 제안 = 45 1) 성탄주일 : 무산향 = 47 2) 부활주일 : 아박무 = 54 3) 성령강림주일 : 무고 = 62 Ⅴ. 결론 = 70 참고문헌 = 72 부록 1 = 76 부록 2-1 = 81 부록 3-1 = 84 Abst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20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dc.subject대안예배-
dc.subject예배유형-
dc.subject신학-
dc.title움직임으로 드리는 대안 예배 유형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신학대학원 신학과-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신학대학원 > 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