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민-
dc.creator김현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49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3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5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38-
dc.description.abstract사진은 탄생 이후 회화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면서 사진의 독자성을 구축해 나아갔다. 처음엔 사진의 메카니즘적 특성인 다큐멘타리적 사실의 기록성에 의존하였고 서서히 회화의 보조수단으로 쓰여지면서 회화적 전통을 그대로 답습하기에 이르렀다. 그래서 회화에서 추구하는 아름답고 숭고한 미적 조형성에 의존한 사진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특히 안셀 아담스가 만들어낸 멋있고 웅장한 풍경사진형식들은 50년대까지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다가 60, 70년대 들어오면서 이러한 웅장하고 멋있는 일상과 관계없는 것들에 대해 재조명하기에 이르렀다. 부르스 데이비슨과 같은 일상에 관심을 갖고 작업하는 작가들의 붐이 서서히 일어났다. 회화적 표현을 답습하던 사진의 시각에 변화가 일게 된 것이다. 멋있고 그럴듯한 것들이 갖는 가짜에 대한 회의로 일상을 조명하며 일상으로 관심을 돌리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흐름 안에서 일상이 갖는 사진적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일상의 디테일을 재현에 냄으로써 우리의 현실이 갖는 의미에 대해 재해석 하고자 하였다. 이상주의와 현실주의가 부딪히는 경계선에서 일상을 재현하는 우리의 삶의 실체를 되짚어 보는 일은 어찌 보면 너무도 당연한 일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을 표면적으로는 다큐멘터리를 모방한 형식으로 재현하면서 이러한 재현을 사진에는 없던 서사구조를 끌어들임으로써 그것을 연출이라는 형식으로 나타내려 하였고 이는 최근 연출이라는 표현 방식으로 작업하는 현대작가들이 서사구조를 사진에서 이야기하기 시작하면서 나타나게 된 새로운 사진적 경향이다. 이를 토대로 이 작업의 당위성을 찾고자 함이다. 많은 보편적 일상 중에서도 "연인"들의 애정 행위를 중심으로 그들이 벌이는 일상의 행위를 색안경 없이 표현하고자 하였다. "연인"이 라는 집단은 "남과 여"가 사랑이라는 매개체로 묶어진 가장 기본적인 집단이다. 또한 거의 모든 문학장르에서 빠지지 않고 나오는 테마가 남녀간의 사랑얘기이다. 좀 더 나아가 그들의 무관심이라는 감정의 형태에 집착하게 되었는데 이는 연인들의 무관심이라는 것이 어쩌면 사랑을 더욱 욕망하게 하는 감정의 표현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들이 펼치는 감정의 형태는 결코 우리의 일상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며 우리 각자의 삶의 이야기인 것이다. 때문에 이러한 연인들의 이야기를 엮는다는 것은 우리에게 낮선 현실이 아니었다. 여기서의 연인들은 일정한 공간 안에 아주 어색한 동작들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이 시대의 상징적 구현물들로서 그들이 취하는 어색한 동작들로 그것을 오히려 의식화하기 위함에서였다. 이로써 연인들의 상징적 구현물로서의 의식화시키기를 통해 일상적 재현에 그 의미를 더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의 제작과정은 칼라 네거티브를 이용하여 선명한 칼라가 보여주는 인공 광과 자연광이 혼합된 일상의 분위기를 그대로 보존하길 바라면서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을 부각시키거나 지워버리지 않는 즉, 현실의 빛의 의미 없는 투사를 통해 빛의 일상성에 충실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일상의 빛으로 현실, 일상의 단면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작품제작을 통해 사변적이지만 인류 보편적 일상을 재현해 냄으로써 재현의 일상이 이루어낸 새로운 사진적 업적을 고찰하려 하였다.;The Photography has been firmed its own originality keeping the close cooperation with the paintings since it was appeared in the world. At first, it depended on the record of documentary realism but has followed the pictorial tradition slowly after being used as the assistant measure of paintings. Then the photographs which depend on the sublime formative arts by the paintings has presented. Especially the way of elegant and imposing landscaped photograph by Anthel Adams was taken over until 1950s then reviewed other ways against these elegant things in 1960s and 1970s. Therefore the photographers like Bruce Davison who is focused on the daily routine have come out. The view of photography has changed. Review the fakes which seem to be nice and concern the daily routine. This study presents the new possibility which we could find the photographic factors in our routine and re-explain the meanings of realism by reenacting the daily life. I believe it is quite natural to grasp the facts of our life in the dividing line between Realism and Idealism. As reenact the scene of our routine in the way of documentary apparently, I narrate the story of daily routine in photographs and this is the new trend of photographic way which most modern photographers are pursuing. I tried to present and express the affair, especially Couples without biased view. Couple is the basic group which Man and Woman are bounded together in the name of love. Moreover the theme be used in most novels is Love story between man and woman. We cannot say such their love affair is another story of our routines. This is the one of our life stories. I would like to work out the daily routine by studying the couples daily life. The process of production is to keep the atmosphere of daily routine which is mixed with the vivid artificial light and the natural one by using the color negative. This is to concern the daily work of light which is meaningless in the reality as well as to show the slice of daily life. After all 1 managed to reenact the new way of photography by presenting the daily routine through the wor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 2. 이론적 배경 = 3 2.1 사진의 일상학 = 3 2.2 사진적 재현이란 = 5 2.2.1 재현의 의미 = 5 2.2.2 재현 형식의 역사적 변모 = 7 2.2.3 다큐멘터리와 사진적 재현 = 10 2.2.4 재현된 이미지의 일상 = 13 2.3 사진적 연출론 = 15 2.3.1 서사(敍事)와 서사의 현대 상황과의 연관성 = 15 2.3.2 삶의 서사, 이야기 서사 = 18 2.3.3 서사의 확장 = 21 2.3.4 서사구조와 사진적 연출 = 23 3. 주요작가 연구 = 27 3.1 필립 로르카 디코르시아 (Phillp Lorca Dicorcia) = 27 3.2 에릭 피슐 (Eric Fischl) = 32 3.3 낸 골딘 (Nan Goldin) = 36 3.4 트레이시 모팻 (Tracey Moffat) = 40 4. 작품분석 = 43 4.1 연인들의 "Love Affair" = 43 4.2 제작 방법 = 44 5. 결론 = 61 참고문헌 = 62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616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사진-
dc.subject연인-
dc.subject일상-
dc.subject사진학-
dc.title연인들의 일상을 재현한 사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photography by reenacting the couple's daily life-
dc.format.page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사진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사진과편집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