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3 Download: 0

여성의 이미지를 상징화한 도자 조형 연구

Title
여성의 이미지를 상징화한 도자 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eramic Art Sylbolizing the Image of Female Surrealist's Painting
Authors
주영은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도자디자인전공
Keywords
여성여성 이미지상징화도자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인류에게 있어서 여성의 인체와 이미지에 대한 조형적 표현은 각 시대의 사회적 배경과 미의식을 반영하며 변모해 왔다. 원시시대의 다산과 풍요의 기원에서 시작된 과장된 여체의 표현으로부터 그리스 시대의 이상적인 비례를 거쳐 중세, 근대,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성의 인체는 때로는 낭만적으로, 때로는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예술가의 경험에 따라 소재를 바라보는 시각과 그것을 창조적으로 형상화하는 방법이 각기 달라지면서 여성의 인체에 대한 미의식도 여러 측면에서 표현되고 있다. 근대 이후의 여러 가지 사조들 중에서도 특히 초현실주의 운동은 여성의 이미지를 창작 활동의 핵심적인 소재로 이끌어 갔으며 남성 작가들뿐만 아니라 많은 행동적인 여성들이 회화나 조각으로 자기 자신을 포함한 여성 이미지를 새로운 시각으로 창조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큰 계기가 되었다. 그들은 시각적인 혁명뿐만 아니라 문학을 비롯한 예술 전반에 걸친 창작활동을 펼쳤으며, 따라서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외형적인 아름다움뿐만 아니라 내재된 감성과 영혼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연구하며 이론을 정립하기 시작하게 되었고 이는 현대의 페미니즘 미술과도 연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 예술가들 중에서 여성을 소재로 이러한 의미를 부여하고 표현해온 작가들의 작품과 더불어 자기 자신의 삶이 곧 예술적 표현의 소재였던 여성 작가들의 창조적인 회화, 조각 등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주관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여 도자 예술에 응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초현실주의의 발생과정과 시기, 사회적인 분위기, 초현실주의의 특성, 그리고 당시 여성초현실주의 예술가들의 삶과 작품세계, 활동 범위에 대해 알아보고, 여성에 의한 가치관과 작품들이 현대에 이르러 어떻게 변모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신체가 가지는 조형성과 내면의 상징적 이미지가 어떤 방법으로 연결되고 표현되어졌는가를 집중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여성의 조형성과 상징성이 이분화 되지 않는 작품을 제작하는데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작품의 디자인 과정에서는 초현실주의 양식을 근거로 하여 여체의 각 구성 요소를 여러 상징성 있는 사물과 결합하여 변화시키거나 추상적, 유기적 양식을 응용하여 강조, 생략하였다. 제작 기법은 자유로운 형태와 느낌을 표현하기에 적절한 코일링(Coiling)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흙의 질감과 화장토를 이용해 회화적인 느낌을 강조하였으며, 부분적으로는 판성형과 캐스팅(Casting) 기법을 이용하거나 압축 성형하여 3차원적 공간 안에서의 다양한 변형을 시도하였다. 태토는 작품의 다양한 분위기를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점토를 이용하였는데 주로 제작 과정에서 성형이 용이하고 갈라질 위험이 적은 석기질 점토를 사용하였고(작품 2,3,4,5,5,7,8,9,), 유약의 발색을 위하여 화장토로 표면처리를 하였으며, 작품에 따라서는 석기질 점토로 제작된 작품 위에 수퍼화이트로 이장 주입 성형된 작품을 함께 설치하기도 하였다. (작품 8,9) 작품 1은 태토의 색과 질감을 살리기 위해 옹기토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으며, 작품 10은 밀양 자기 백토를 이장 주입 성형하였다. 시유 방법은 다양한 발색을 내기 위하여 여러 금속 산화물을 첨가한 무광택 유약으로 분무 시유하였으며 붕사(Borax)가 함유된 결정유나 바륨이 함유된 유약은 붓으로 칠하거나 닦아내어 유약의 두께에 따른 다양한 색상을 얻고자 하였고, 작품 10은 모빌(Mobile)의 형태로 설치되는 작품의 특성상 유약을 시유하지 않고 초별 된 기물 위에 Yellow, Pink, Red, Coral 등의 안료를 첨가한 화장토를 붓으로 발라 유약의 효과를 대신하였다. 소성방법은 1.5㎥ 도염식 가스가마에서 최고 온도 85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 한 후, 2차 소성은 최고 온도 1250℃를 마침 온도로 10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고(작품 2,3,4,5,6,7), 옹기토로 제작된 작품 1은 0.3㎥ 전기가마에서 마침 온도 1060℃로 8시간 동안 산화염 소성하였으며, 작품 8,9,10은 Yellow, Pink, Red, Coral 등 난색(暖色) 계통 안료의 발색을 위해 0.3㎥ 전기가마에서 최고 온도 1250℃로 산화염 소성 하였다. 작품 1,5,8은 1차, 2차 소성 후에 회화적인 느낌과 색채를 보충하기 위하여 상회 안료를 사용하여 0.3㎥ 전기가마에서 마침 온도 800℃로 3차 산화염 소성 하였다. 본인은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초현실주의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많은 작품들 가운데에서도 여성을 상징화한 작품들이 현대의 회화, 조각은 물론 도자 예술 분야에까지 끼친 영향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여성의 신체가 가지는 조형성과 내면의 상징적 이미지가 어떤 방법으로 연결되고 표현되어 봤는가를 알게 되었고, 이를 응용하여 여성의 조형성과 상징성이 않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여성의 인체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시공을 초월하여 수많은 예술작품의 소재가 되어 왔으며 이를 독창적인 도자 예술의 표현 영역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외형적으로 보여지는 신체상의 특징만이 아닌 보다 근원적인 여성의 이미지에 대한 탐구와 해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재인식하게 되었고, 여성의 이미지를 흙이라는 매체에 적용하여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흙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여성의 이미지에 관한 조형적이면서 생명력 있는 작품에 관한 연구를 통해 발전적인 도자예술의 가능성이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From time immemorial to present, the plastic expression of female form and its image have reflected and transfigured social background and aesthetic consciousness. From exaggerated artistic representation on the prolificacy and abundance of female body in the primitive ages to the expression of recent female form, the female form has been hotly debated with the balance of framework through middle ages (middle Greek and modern Greek). The framework of the female has sometimes been expressed not only romantically but also realistically. Nowadays, the expression and views of artists has interpret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female form differently in the creative mode. In modern times, surrealism among the trend of thoughts has touched the image of the female in particular. Not merely male artists, but active female artists also have created and developed the image of the female through their point of view. They revolutionized their sensitivity and engaged in the creative works including literature and art. Accordingly, they have holistically studied the external beauty, the immanent sensitivity, and the spirits of the female image. Furthermore, they arranged the theory on the theme connected with feminist artwo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and to apply creative painting and sculpture shaped by female surrealists at the subjective view. Theoretically, this treatise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surrealism, the social surroundings, female surrealists' life, their works, the scope of their arts, their values, and their figuration of works evolved from their inner consciousness. In this process, emphasis is focused on combining the plastic nature and internal symbolic image of female form. The design of works is based on the mode of surrealism and composing part of female body is connected with symbolic materials abstractly or organically. Such a form was often stressed or omitted in the design of works. The work of art is to handle coiling to express free form and feeling and is to stress the feeling on the painting by using texture of clay and stain. In part a variety of works is tried to be transformed with the manner of slub-building and coiling in the third dimension. Clay is used to show various atmospheres. In this process, stoneware clay is necessary for easy building and avoiding cracking. And engobe attached to outside is to make vibrant color of glaze. Also, it is often to install super-white slip formed works. Work 1 is made of clay to show color and texture. The glaze is sprayed with matt glaze in addition to various oxidized metals. In addition, it is painted (or wiped) by pen to get various thickness of the glaze. Work 10 is installed as shape of mobile without glaze. Therefore, Bisque fired work is sprayed with glaze stain by pen instead of the effect of glaze. Work 1 is made of clay color and texture of clay. Work 10 is built into super-white slip. The work has been fired in a 1.5㎥ gas kiln for 8 hours. The first firing was a bisque firing reaching a temperature of 850℃. The second firing took 10 hours and was fired to a temperature of 1250℃ in an oxidation atmosphere. (Work 2. 3. 4. 5. 6. 7) Work 1 made of earthenware clay has been oxidation fired in a 0.3㎥ electric kiln reading a temperature of 1060℃ and work 8. 9. 10 were fired in oxidation atmosphere in a 0.3㎥ electric kiln for vivid warm color of glaze stains. (Yellow, Pink, Red, Coral) Work 1. 5. 8 have been painted with low-fire stains and fired a third time. The third firing was reaching a temperature of 800℃. Many works inspired by surrealism include the symbol of female form. In the modern painting, the sculpture and ceramic art influenced by the symbol of female form is combined with plastic nature and symbol. The female body has been an all-time theme for art works and extended to the expression of creative ceramic art. The author has studied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female image by using clay. In conclusion, the author hopes that the possibility of ceramic art filled with image and vitality of female will come true through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