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쟝 뒤뷔페의 작품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Title
쟝 뒤뷔페의 작품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Jean dubuffet's work applied in fashion design which focued on the his works during 1960-79's
Authors
엄현신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Keywords
쟝 뒤뷔페Jean dubuffet의상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예술작품 중에서도 회화는 복식의 중요한 모티브로서 미적 표현을 다양하고 풍요롭게 해주며 특히, 현대미술은 인간의 개성과 독창성, 다양성을 추구하려는 미적 욕구의 한 방법으로서 복식예술분야에서도 조형성을 강조한 예술품으로 많은 패션 디자이너들이 회화작품의 특성을 도입, 응용하여 독특하고 창의적인 디자인 개발의 원동력으로 활용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 회화에서 그 당시 초현실주의자들과는 달리 관례적인 예술방식에서 벗어나 소외된 개개인에 대한 무의식의 세계를 자연스러운 조형예술로 표현했던 예술혁명가, 쟝 뒤뷔페(Jean Dubuffet 1901-1985)의 작품을 응용한 의상 디자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그의 작품세계에 대하여 고찰하고 특히 우를루프 시대인 1960~1970년대의 유기체가 살아 움직이는 듯한 아메바와 세포형태를 연상시키게 하는 기괴한 선의 형태와 선명하고 강렬한 기본색상(Primary Color)으로 표현된 그의 작품을 바인딩(Bonding)과 샤모드(Chamude) 소재를 써서 파이핑(Piping)기법과 패치워크(Patch Work)기법으로 입체감 있게 표현함으로서, 비정형의 함축적 문양을 의상에 도입하여 감정적이고 유희적인 형태미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작품제작을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 쟝 뒤뷔페의 우를루프 시대의 작품을 선정하여 의상적 3차원(Three Dimention) 표현 기법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며 의상의 소재와 색상, 종류 및 용도의 다양성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총 8점의 의상이 제작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쟝 뒤뷔페가 프리미티비즘(Primitivism), 아르 뷔뤼뜨(Art Brut), 오뜨 바뜨(Hautes Pates), 아쌍 블라쥐(Assemblage), 앵 포르벨(Informel), 그리고 우를루프 시대를 통해 보여준 기존의 의식적이고 정형화된 아름다움에서 벗어나서, 인간의 본능 속에 잠재되어 있는 순수하고도 원초적인 무의식 속에서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비정형의 미를 다른 원시주의 예술과 함께 응용함으로서 복식정형주의에 입각한 재창조가 가능하였다. 둘째, 쟝 뒤뷔페의 1960~1970년대의 작품의 주된 표현기법인 직선과 곡선을 이용하여 입체감과 자연스러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바이어스 테입과 코드를 이용하여 작품을 완성하였고, 이러한 작업을 통해 동적 조형예술의 입체감을 극대화할 수 있었다. (작품 1, 2, 3, 5, 6, 7 등) 셋째, 일반적인 회화작품을 응용한 의상 디자이너의 작품을 연구 고찰함으로서 회화가 갖는 특성적인 요소를 정확히 분석하여 가장 알맞은 소재와 기법을 선택함으로서 복식 정형화의 구체적 틀을 마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선이 주는 효과로 인하여 파생되는 여러 가지 느낌에 대해 연구ㆍ분석하여 예술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인체가 가지고 있는 선적인 요소들과 의상의 선적 효과를 매치 시킴으로서 두가지 선의 미적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회화양식을 의상에 응용하는 것은 순수예술의 아름다움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실용적인 의상으로 재창조함으로서 의상의 예술적 미적 감각을 높여주고, 미적 요소를 폭넓게 활용하여 예술성과 실용성을 조화시켜 밀레니엄 시대에 부합되는 독창적이고 새로운 의상의 개발로 예술의 질적인 향상과 더불어 부가가치를 높여줄 것으로 사료된다.;Painting,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tives for the clothing design, makes it possible to draw various and rich aesthetic expressions. Especially the modem painting, driven by aesthetic desire to seek one's personality, originality, and diversity, has been the very force with which one can create unique designs by adopting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painting, painting as an art work colored with high formativity. Accordingly, through this thesis, I have taken a look into the art world of Jean Dubuffet(l901-1985), an artistic reformist, who had tried to express the subconsciousness of alienated individuals in a natural formative way, freeing himself from the conventional methods, which were taken by the surrealistic painting in the twentieth century. Particularly, putting to use the Corded Piping method together with the Bonding and Chamude materials, and accordingly giving the stereographic impression to it, I have tried to transfer into a clothing, his works executed during the L'Hourloupe period(1960-70's) with peculiar lines, reminding of living amoebae, or cells, and clear and loud Primary colors. Consequently I have put the heavy weight on the sentimental and playful ways of formal beauty, introducing the amorphous and suggestive figures to the clothing. Taking the motive from Jean Dubuffet's works during the L'Hourloupe period, I have made the Three Dimension technique realized in my work so that it can approve whether it is really practical, and, besides, I have tried to put into my work various kinds of materials, colors, types or usages of clothing; I have made 8 suits of clothings in total. First of all, I have taken the following ideas as most essential: Primitivism, Art Brut, Hautes Pates, Assemblage, Informal, and the amorphous beauty, which has taken its form in the naive and basic subconsciousness underlying the human instincts, during the L'Hourloupe period, trying to free itself from the formal and conventionalized beauty, which previously was regarded as the crucial standard for beauty. Second, I have taken account of the Grain Line in order to give some natural and stereographic expression to straight and curved lines, one of the major techniques that Jean Dubuffet had used in his works, and in addition, I have chosen and utilized the Bias tape and the Cord in an appropriate way, making the stereographic image highlighted and deriving the dynamic formative arts of clothing. Third, I have studied and analyzed various senses and impressions that lines give out in the fine art works in general, and, more than tha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clothing, I have realized lines as an art on the body, trying to maximize their effect by appropriately utilizing both the linear elements, that the body itself holds, and the lines of the clothing. As seen above, the application of painting methods to the clothing design gains the beauty of the fine arts. Besides, the application makes it possible: to enrich the aesthetic sensibilities of the clothing, by transferring the beauty into a practical clothing; to harmonize artistic and practical aspects by putting aesthetic factors to wider use; and finally to promote the increase of the value added as well as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arts, through developing a brand-new kind of clothing which can be widely accepted in the new milleni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