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정-
dc.creator박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8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47-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NCS(Natura1 Color System), the new color system,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implications which can be applied to color education field in a middle or a high school. The use of NCS in the color education makes up for.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olor system and fosters effective communication of color through usable and unified notation of color names. By providing color learning tool based on visual experiences, NCS-based color education also evokes interests of students and thus make them understand the NC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lor , existing color system , and NCS , this research reviews the present state of color education and proposes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pplication of NCS-based color education. Due to its usefulness, NCS is recognized as a international color system for higher-level color application, product manufacturing, and color communication and is rapidly diffused to the educational field. The fact that usefulness of NCS not only includes and succeeds the existing Munsell System but also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such system shows the evidence that NCS can be recognized as a new color system in the color education. This research critically reviews previous and current non-empirical literatures and suggests the directions for NCS-based color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lor education should make students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color and enrich aesthetic sense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human. Second, based on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other diverse elements, color education should focus on order, harmony, and integration Third, color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to NCS -based education,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unsell System Fourth, color is related to visual experience among the five senses, so colo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a way that students understand properties of color and develop the sense of color Fifth, color educa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current color-centered explanation but also on brightness(B) and chroma(C) centered explanation. In Conclusion, NCS has several advantages in usable and unified notation of color names, relevance with sensibility aspect of human, complement of limitations of previous color system, and effective communication of color. That is, current color education needs to be improved towards focusing on NCS, a international color notation system that is closely related to our immediate life.;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색채교육에서 새로운 색채시스템인 자연색체계(NCS-Natural Color System)의 효용성을 확인하고, 실제 색채교육 현장에 도입하기 위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산업사회이후 색채 계획의 가장 대표적인 색체계는 오스트발트 체계(Ostwalt Color System)와 먼셀 체계(Munsell Color System) 이론이다. 오스트발트 체계는 현 디자인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며 색채조화의 용이성이라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명도단계가 무시된 색상환은 명도단계를 기초로 한 배색 관계의 어려움을 지닌다. 먼셀 체계는 삼차원적 공간에 각 색채의 위치를 설정 가능하도록 색채표기의 명확성과 물체색 관리의 유용성, 색채의 표준화에 기여한 장점을 지녔다. 그렇지만 우리가 색을 지각하는 체계와 달리 등거리로 색채를 설명함으로서 실제 우리가 인지하는 색감과 차이를 보이며, 그리고 먼셀 체계의 색의 다양한 채도위치는 색채배색에서 어려움을 주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기존 색체계의 한계성을 보안하여 재개된 자연색체계(NCS-Natural Color System)는 거리, 빛, 시간, 표면구조 등 색채지각변수에 따른 인간과 색채, 환경과의 상호작용인 지각경험에 기초한 색체계이다. 색채교육에서 자연색체계(NCS)의 활용은 학생들에게 기존 색체계가 지녔던 한계성을 보안하고 누구나 쓰기 쉽고 통일된 색명 표기로 인해 색채에 관한 원할한 의사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시각적 체험을 바탕으로 한 색채 학습도구를 제공함으로서 학생이 흥미를 갖고 참여를 통한 자연색체계를 이해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색채', '기존 색체계', '자연색체계(NCS)'에 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 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색채교육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자연색체계(NCS)에 근거한 교육적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연색체계의 편리성은 높은 수준의 색채적용, 제품생산, 색채의 원활한 의사 소통을 가능하게 한 세계적인 색채표기 시스템으로 현재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색체계(NCS)는 먼셀 시스템(Munsell System) 개념을 포함. 계승하고 있으며, 기존 색채이론의 한계점을 보안함으로서 실제 색채계획시 실용화되고 있는 색체계이다. 이와같이 새로운 색채교육 이론으로 자연색체계(NCS)의 활용이 인정될 수 있는 증거일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비실증 연구 중 관계연구 문헌을 통한 방식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자연색체계(NCS)에 근거한 색채교육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색채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색채와 인간과의 관계성을 통한 미적 감성을 더 풍부히 하고자 한다. 둘째, 색채와 다양한 요소들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질서, 조화, 통합적인 색채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셋째, 기존 먼셀 색체계의 한계성을 보안한 자연색체계(NCS)의 색채이론을 접목한 색채교육으로 개선되어져야 하다. 넷째, 색채는 우리의 시각과 관련된 것으로 시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색의 속성을 이해하고 색에 대한 감각을 키우는 색채교육이 이뤄져야 한다. 다섯째, 색상중심의 교육방식에서 탈피한 색상과 명도, 채도와 색채 지각 변수를 함께 고려한 색채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자연색체계(NCS)는 쉽고 통일된 색명표기, 사람의 감성적 측면의 고려, 기존 색체계의 한계성 보안, 색채 계획시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하는 색채이론으로서 색채교육에서 이를 활용한 색채 학습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색채의 특성과 기능 = 5 A. 색채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 = 5 B. 색채시스템을 적용한 색채특성 이해의 필요성 = 13 C. 자연색체계(NCS : Natural Color System) = 15 1. 자연색체계(NCS)의 형성 = 15 2. 자연색체계(NCS)의 특징 및 유용성 = 25 3. 자연색체계의 활용 = 28 D. 색채조화이론 고찰 = 29 Ⅲ. 미술활동에서의 색채교육 = 32 A. 우리나라 색채교육의 역사적 고찰 = 32 B.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색채교육 = 33 C. 미술 교과 분석 = 34 D.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색채교육의 문제점 = 38 E.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색채교육의 개선방향 = 40 Ⅳ. 자연색체계에 근거한 교육적 활용방안 = 42 A. 색채교육에 있어서 자연색체계 적용의미 = 42 B. 색채학습자료 개발 및 효율적 활용방안 = 44 C. 색채자료 활용을 통한 수업활동의 실제 = 46 Ⅴ. 결론 = 60 참고문헌 = 63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837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연색채체계-
dc.subject색채교육방법-
dc.subjectNatural Color System-
dc.title자연색채체계(Natural Color System)에 근거한 색채교육방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PPLICATION OF NCS IN COLOR EDUCATION-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