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reator이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9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the bulletin board to promote interactive partnership in regular classrooms on social competency of non-disabled children. The bulletin board as a natural environment in classroom contained weekly-changing information abou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 way of how to interact with, such as newsletters, related stories, and Q & A, in order to reinforce positive interaction among children involved. The total of 243 children (4 disabled, 239 non-disabl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whole process of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The non-disabled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1 of no experience of integration (82), control 2 of integration without support (80), experimental group of integration with support (77). While control groups were not given any treatments, experimental group had the weekly support using a bulletin board, including orientation, for 7 weeks. The Social Competenc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y of three groups and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COVA and scheffe´ Post-Hoc Comparis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among groups.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wo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s were supported by the result in post-hoc comparison analysis as well. 2. Among four factors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ree factors - Development of policy on relationship(l), Difficulties on interaction with disabled children(3), and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disabled children(4), but not any significant changes in Positive self-concept factor(3). The significant contrast was found between control group 2 and experimental group in both factor 1 and 4. In factor 3, changes between two control groups and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enough. Using the bulletin board to promote interactive partnership in regular classrooms was positively effective for social competency of non-disabled children.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ly-devised and ongoing support for each integrated educational setting bombarded especially in terms of its mutual benefits for everyone involved as well as children with special needs.;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지원을 전제로, 통합교육은 명백하게 '모든 아동'을 위한 교육이 될 수 있다. 즉, 통합교육을 통한 일차적인 수혜자는 장애아동임에 분명하지만 일반아동들도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사회적 능력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학업 능력만큼 중요한 능력으로 우리나라 초등교육계도 '인성교육'이라는 목표 하에 사회적 능력을 촉진하는 교육경험을 학교 교육·생활 전 영역에서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통합교육을 통해 일반아동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현재 초등교육 실제에서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이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은 결과 일반아동이 받을 수 있는 통합교육의 혜택은 인식조차 되고 있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현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모든 아동'을 위한 통합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특수교사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즉, 특수교사는 장애아동을 가르치는 일차적인 역할 외에도 통합학급 지원이 비중 있는 역할임을 인식하고, 시간상·방법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통합학급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환경에서 모든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촉진하기 위해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지원내용·지원방법을 구성하였다. 즉, 지원방법으로 효과적인 전달과 실행의 용이성을 위해서 통합학급의 자연적인 환경인 게시판을 활용하였으며 정보전달을 위한 게시판의 구성요소로 소식지·동화·질문코너를 선정하였다. 여기에 특수교사가 주도하여 일주일에 한번씩 지속적으로 장애급우의 유사성을 강조한 정보, 장애로 인한 차이점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보, 장애급우와의 상호작용을 칭찬·강화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질문코너에서는 일반아동의 의견을 적게 하여 일반아동의 참여를 촉진하였고 아동들의 필요에 의한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아동들이 게시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은 일반아동들에게 게시판을 홍보하는 오리엔테이션 1회와 일주일에 한번씩 총 6회의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으로 7주 동안 시행되었다.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6학급의 일반아동을 두 학급씩 1) 장애급우가 없는 집단(통제집단1), 2) 장애급우가 있으나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을 제공받지 않는 집단(통제집단2), 3) 장애급우가 있으면서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이 제공되는 집단(실험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총 일반아동은 239명, 장애아동 4명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귀순(2001)이 중학생의 사회적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를 초등학생에게 맞게 낱말과 문맥을 수정한 후, 구성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거쳐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아동들이 직접 보고한 사회적 능력 질문지에 의한 것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회적 능력 사전, 사후 검사를 토대로 공분산 분석과 사후 비교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재가 제공된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 비교분석에서 실험집단과 다른 두 통제집단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통제집단 1과 통제집단 2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능력 척도를 세부 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인 관계에 대한 원칙의 발달'인 1요인과 '특수학급 학생과의 상호작용의 어려움'인 3요인과 '특수학급 학생과의 관계 증진'인 4요인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2요인인 '긍정적 자아개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1요인과 4요인에서는 통제집단 2와 실험집단의 차이가 나타났고 3요인에서는 통제 집단 1과 실험집단, 통제집단 2와 실험집단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통합학급 내의 자연스런 환경을 활용하고, 실행하기 용이하며, 장애급우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을 할 수 있고,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 촉진·강화가 가능하며, 일반교사의 부분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지원이 제공된다면 통합학급은 일반아동들로만 구성된 학급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촉진할 수 있으며 결과 아동들의 인성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특수교사들은 한국 교육현장에 적합한 통합학급 지원방법을 창출하여 통합교육이 일반아동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임을 인식시킴은 물론, 통합학급을 모든 학생을 위한 지원적인 환경으로 조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 한 방법으로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을 제안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통합교육의 개념과 혜택 = 7 1. 모든 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 7 2. 통합교육의 인성 교육적 개념 = 8 1) 통합교육을 통해 실현되는 인성교육 = 8 2) 통합교육으로 인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 향상 = 10 3. 통합교육의 혜택 = 12 B.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 15 1. 교사 역할의 중요성 = 15 2. 일반교사의 역할 = 17 3. 특수교사의 역할 = 19 C. 특수교사 주도의 통합학급지원 = 21 1. 통합학급 지원의 내용 = 21 1) 장애아동의 유사성을 인식시키기 위한 정보제공 = 23 2) 장애아동의 차이점에 대한 이해와 해결하기 위한 정보제공 = 24 2. 통합학급 지원 방법 = 25 3.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 = 27 Ⅲ. 연구 방법 = 31 A. 연구 대상 = 31 B. 독립변인 = 35 C. 측정 도구 및 방법 = 41 D. 실험 절차 = 44 E. 자료처리방법 = 45 Ⅳ. 연구 결과 = 46 A.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 = 46 B. 각 요인별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차이 = 48 Ⅴ. 논의 및 제언 = 55 A. 논의 = 55 B. 연구의 제한점 = 64 C. 제언 = 64 참고문헌 = 67 부록 = 76 Abstract = 11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821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게시판-
dc.subject통합학급-
dc.subject장애아동-
dc.subject일반아동-
dc.subject사회적 능력-
dc.title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using the bulletin board to promote interactive partnership in regular classrooms on social competency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dc.format.pageviii,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