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현숙-
dc.creator이현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0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01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d the nutritional state of Korean females and determined the dietary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erum lipid level. A total of 156 voluntary female participants were examined and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upon their serum lipid levels. Twenty-eight people belonged to the high lipid group with serum cholesterol level over 240 ㎎/㎗ or with triglyceride concentration over 200 ㎎/㎗. Eighty-one were in the normal lipid group whose cholesterol level was below 200 ㎎/㎗. The rest of the participants (n=47) were classified as a borderline group. Dietary intakes of nutrients were determined by a semi quantified food frequency method. In general, the high lipid group consumed a diet high in all of the nutrients examined. On the high lipid group proportions of carbohydrates from energy intake, howev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 group.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level were higher in the high lipid group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Triglyceride levels were increased in post menopausal women compared to pre menopausal women and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A diet high in animal fat showe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increased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p<0.00l). Total fat, animal iron, animal protein, and total calory intak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olesterol level (p<0.0l). In addition, consumption of carbohydrate, protein animal calcium was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blood cholesterol level (p<0.05). HDL-cholesterol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utrients intake, and the ratio of total cholesterol to HDL-cholesterol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trients intake (p<0.05). Triglyceride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HDL-cholesterol, and the triglyceride level increased after menopau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individual effects of the variants that might influence the blood lipid level. The results showed that total cholesterol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age, total calory intakes, and percent animal fat intakes,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exercise. LDL-choleste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age, total calory intakes, percent animal fat, physical exercise and menopause. HDL-cholesterol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ody mass index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exercise. Triglyceride leve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and age. The ratio of LDL-cholesterol over HDL-choleste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fat contents and carbohydrate contents. The ratio of total cholesterol over HDL-cholesterol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dy mass index and menopause. In conclusion, blood lipid profile was influenced by body mass index, age, percent animal fat, total calory intakes, physical exercise and menopaus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on the lipid profile and lipoprotein varied. Among them, body mass index, total calory intakes, and percent animal fat intakes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total cholesterol level.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hyperlipidemia, hypertension, diabetes, and obesity are a complex metabolic syndromes associated with high lipid group in that the high lipid group showed higher body mass index and increased levels of blood pressure and blood sugar level.;본 연구는 우리 나라 여성의 식이 섭취 상태를 파악하고 혈청지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식이 및 생활환경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병원 건강검진 수검자중 자발적으로 참여한 156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혈청 콜레스테롤이 240㎎/㎗ 이상 혹은 중성지방이 200㎎/㎗ 이상인 경우를 고지혈군(n=28), 중성지방이 150㎎/㎗ 미만이며 콜레스테롤이 200㎎/㎗ 미만인 경우를 정상군(n=81), 고지혈군과 정상군 사이를 경계군(n=47)으로 분류하여 단면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에 있어서는 고지혈군이 정상군 보다 모든 영양소를 양적으로는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나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은 고지혈군이 정상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임상검사 결과 고지혈군이 정상군 보다 체질량 지수, 이완기혈압, 혈당 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지질과 식이 섭취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동물성지방 섭취량과 가장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001), 총열량 섭취량, 총지방, 섭취량,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p<0.01), 그리고 탄수화물, 단백질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그러나 HDL-콜레스테롤은 영양소 섭취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Total-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비율은 식이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중성지방은 HDL-콜레스테롤과 음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며 폐경 전 여성에 비해 폐경 후 여성에게 높게 나타났다. 혈청지질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의 독립적인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체질량 지수, 연령, 총열량 섭취량, 열량 대비 동물성지방섭취 비율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규칙적인 운동량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LDL-콜레스테롤은 체질량 지수, 연령, 총열량 섭취량, 열량대비 동물성 지방 섭취 비율, 운동량 및 폐경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HDL-콜레스테롤은 체질량 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운동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중성지방은 체질량 지수 및 연령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LDL/HBL-콜레스테롤 비율은 체질량 지수, 열량대비 지방 섭취 비율, 열량대비 당질 섭취 비율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총콜레스레롤/ HDL-콜레스테롤 비율은 체질량 지수, 나이, 콜레스테롤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볼 때 blood lipid profile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체질량 지수, 연령, 총열량 섭취량, 동물성지방 섭취 비율, 운동, 폐경 등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들은 개별적인 blood lipid 와 lipoprotein에 다른 비율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총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가장 설명력 있는 요인은 체질량 지수, 지방의 섭취비율, 총열량 섭취량 이었다. 또한 고지혈군이 정상군 보다 체질량 지수, 혈압, 혈당이 유의적으로 높아서 고지혈증환자는 고혈압 ,당뇨, 비만 등의 문제를 동시에 다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 6 A. 조사 대상자 및 조사 방법 = 6 B. 연구 방법 = 6 1. 일반 사항 및 생활습관 조사 = 6 2. 신체 계측과 혈압 측정 = 7 3.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 7 4. 혈액의 화학 검사 = 8 C. 자료 분석 및 통계 처리 = 9 Ⅲ. 연구결과 = 11 A.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11 1. 연령 및 체위 = 11 2. 생활 습관 = 14 B. 식이섭취 조사 결과 = 16 C. 조사 대상자의 임상 검사 결과 = 20 1. 혈압, 혈당, 알부민 = 20 2. 혈청 지질 농도 = 22 D. 혈청 지질 농도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 = 27 E. 혈청지질 농도와 임상검사치와의 상관관계 = 29 F. 생활환경에 따른 혈청지질 수준 비교 = 31 G. 혈청지질과 지단백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분석 = 34 Ⅳ. 고찰 = 38 Ⅴ. 요약 및 결론 = 44 참고문헌 = 48 부록 = 55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3082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c.subject성인 여성-
dc.subject혈청지질-
dc.subject위험요인-
dc.title성인 여성의 혈청지질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위험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ietary and Clinical Factors Affecting Serum Lipid Levels in Korean Women-
dc.format.pagev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보건학과임상영양학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영양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