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吳義惠-
dc.creator吳義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6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 order to educate folk songs effectively in a junior high school, relating to the subjective concept 'Korean music of future,' analysized an aspect of music structural approach of them needed to a systematical understanding & appreciation. There are several methods such as rhythm structural aspect scale structural aspect, for structural aspect, and musical performance form aspect, etc. in music structural approach of folk songs. Among them, this study aimed at the fact how folk songs should settle full stops in a music structure on the basis of cadence sounds. The fundamental reason why this study is necessary to our music education is that the students who listen to our folk songs for the first time are confused in feeling cadences, for cadence forms of them are different form that of Western music whose background is a tonality. Accordingly, understanding with what cadence sounds our folk songs end, I wanted this study to be a former stage to approach to a scale structural aspect & a form structural aspect. The cadence sounds of our folk songs which is examined with such intention & purpose is 5 types such as SOL, LA, DO, RE, MI.;본 연구는 "미래의 한국 음악"이라는 주체적 관념과 관련지어서 중등학교에서의 효과적인 민요교육을 위해서 먼저 민요의 체계적인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민요의 음악구조적 접근의 한 측면을 분석 하였다. 민요의 음악구조적 접근은 리듬구조적 측면, 음계구조적 측면, 형식구조적 측면, 연주형태의 측면 등 여러가지 방법에 접근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본 논문은 민요가 음악의 짜임새에서 어떻게 단락을 결정지우는가를 종지음을 중심으로 해서 알아 보고자 하였는데, 민요의 짜임새에서 단락이 결정되는 것은 종지음을 중심으로 한 종지형태에서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민요가 어떠한 종지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어떠한 종지음으로 마치는가를 알아 봄으로써 민요의 음계구조적 측면과 형식구조적 측면에 접근하기 위한 전(前)단계로 삼고자 한다. 이와 같은 의도와 목적으로 조사된 우리 민요의 종지형태로 가장 많은 유형은 '라, 도, 레, 미, 솔'의 구성음의 틀 안에서, '미'에서 '라'로 4도 상향종지한 유형이 22곡으로 가장 많았으며, 종지음은 '솔', '라', '도', '레', '미'의 다섯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방법 = 4 Ⅱ. 본론 = 6 A. 각 도 민요의 일반적 특징과 종비별 분류 = 6 1. 경기도 민요 = 6 2. 충청도 민요 = 12 3. 경상도 민요 = 15 4. 전라도 민요 = 20 5. 제주도 민요 = 24 6. 강원도 민요 = 29 7. 황해도 민요 = 34 8. 평안도 민요 = 39 9 . 함경도 민요 = 42 B. 종지음 및 종지형태별로 본 각 도 민요의 특징 = 44 1. 종지음으로 본 각 도 민요 = 44 2. 종지형태로 본 각 도 민요 = 50 Ⅲ. 결론 = 54 참고문헌 = 55 부록 = 56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275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민요-
dc.subject종지음-
dc.subject종지형태-
dc.title韓國民謠의 終止音과 終止形態-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adence and Cadence forms of Korean folk songs-
dc.format.page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8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