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미선-
dc.creator김미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4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481-
dc.description.abstractNowadays, The anxiety for traditional culture in a variety of fields has been intensified. These endeavor to succeed and develop the traditional culture could result in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product in the global market. Particularly, the modern fashion industry, as the knowledge-based industry, could learn from the traditional culture and get competitive inn the global arena.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formative beauty and skill, which is finding in the clothing of folk paintings in Chosun Dynasty. The clothing in the fork art let us know the ancestral wisdom creating the lofty colours with the national dye. Therefore this study delves into the history of national dying, analyses the dying skill of So-Mok-Yum(a kind of dye), and search into the variant colours by the catalysts.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s. At first, the experiments of dying with a different of materials will be performed.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regarding the coerciveness, contrast, transmutation by time will be carried out. The results of analysis will be showed in the form of tables. Finally the some experimental works will be produced to apply the findings to the modern fashion. Total 8 works applied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clothing and natural dye based on this study are produced. The colours of works are 8 kinds, reflec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above. The works are designed by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clothing of lines of a different point of view and bold sides division. By using natural dye in nylon and mosquito curtain, a elegant and sportive silhouette can be expressed. So the sentiment of these works are supposed to be more free and elegant. This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es: The first, the colours of So-Mok-Yum are more sound and elegant than the ones of chemical dye. And the colours symbolizes the unique spirits of tradional beauty and the emotion of korean people. The second, the differences of coerciveness of colours create the harmony through the natural coloring effect. The third, the traditional clothing must be estimated as not a relic of the past remaining the passing tradition, but the precious materials offering a new idea and the motive of design. The Fourth, traditional clothing and natural dye that the composition of lines and colors is complicated and irregular is like korea and it can be recreated in modern sense at the same time. The Fifth, the formative beauty finding in folk paintings can be characterised by the unsymmetrical lines and the unformed beauty. This study finds the possibility of modern re-creation of traditional beauty, not a simple reappearance of traditional beauty. The traditional beauty of korea expressed in traditional clothing and natural dye reflected emotion of common people's culture of korea as it with modern sense. Applying our unique tradition modernly based on this is like bearing the possibility of the different and creative competitive power. Therefore it must be suitable our present times and be archieved regard of recreation of tradition in order to be able to for sympathy in world.;최근 여러 분야에서 우리나라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서 전통을 계승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 지고 있다. 이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미를 되찾아 전통의 재현만이 아닌 계승과 발전을 통해 전통적인 미를 가진 현대적인 디자인을 창조하는 것만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자각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조들의 지혜가 담긴 천연염색 중 소목염을 연구하여 천연색소가 가지는 자연스럽고 고상한 색상을 발현하고, 한국적인 미와 민족적 정서가 집약적으로 표현된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를 조형적으로 분석하고 기법과 접목시켜 한국적 이미지가 반영된 현대적인, 새로운 전통의 창조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 천연염색의 역사와 색조에 의한 천연염료의 종류를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특히 대표적 다색성염료인 소목염에 대해 역사와 염색방법, 매염제에 의한 색상변화를 연구하였다. 실험 방법에 있어 다양한 소재를 실험함으로 해서 염착력을 비교, 배색연구, 대표적 색상군, 시간에 따른 염색의 차이등의 결과를 표로써 제시하였다. 또한 풍속화에 대한 정의와 역사, 조선왕조 풍속화의 특징을 조선후기 복식사적 경향을 참고로 하고 연구자료 등을 발췌, 정리하는 방법으로 전개를 하면서 복식의 형태미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연구·분석한 것을 토대로 천연소목염과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를 응용한 총 8점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색채는 소목염 실험결과 보여지는 8가지 색상을 모두 사용하였고 염색결과 염착력에 따라 다르게 염색되어 나타나는 색의 농담을 표현하기 위해 옷의 부분부분을 각각 다른 소재로 사용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형태에 있어서는 평면적인 치마를 자연스럽게 끌어올려 입음으로 해서 생기는 주름이나 겹침효과, 비정형적이고 비대칭적인 선과 구조를 응용하여 현대의상 디자인을 하였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구조선을 위해서 형태를 잡기 쉬운 나일론, 망사 등을 소재로 택하였고 모든 작품제작과정을 입체패턴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목염을 통한 색상은 화학염과는 다른 깊이 있는 색상과 품격이 있으며 화려한 색채로부터 은은하고 복합적이며 차분한 색채를 나타내었고 소목염의 매염제에 따른 색상의 변화는 그 색상 변화의 범위가 크나 전체적으로 조화가 잘 이루어졌다. 또한 시각에 자극을 주지 않고 바랠수록 단아하고 침착한 색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색감은 한국적인 정서가 색감에서 그대로 표현되는 동시에 현대적 감각으로 재창조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둘째, 다양한 질감의 소재 사용으로 인한 이질감은 다양한 소재를 같은 염액에 담가 염색을 했을 때 나오는 염착력의 차이에 따라 발생되는 자연스러운 색의 농담효과를 통해 조화를 이루게 되었다. 셋째, 옛 선인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는 그 시대의 정신, 사회상을 표현하고 이는 귀중한 자료로써 전통의 재현이 아닌 새로운 아이디어와 디자인의 모티브를 제공해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는 인물동작에 의한 순간적인 포즈를 화가의 감각에 의해 처리한 그림으로서 한국 복식의 구성상의 평면적인 형태를 입체적인 형태로 표현하였다.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미는 옷을 입는 방법과 다양한 포즈로 인해 새로운 주름의 방향을 나타내고 비대칭적인 선과 비정형적인 형태미를 나타냄을 알 수가 있었다. 따라서 풍속화에 나타난 비대칭적이고 비정형적인 선과 형태, 소목염을 통해 보여지는 색감의 우수성은 전통의 미를 응용한 현대의상 디자인의 표현기법으로 활용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전통에 대한 근원적인 이해를 통해 전통의 한 형식적인 요소의 재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장점과 정서, 시대상에 맞는 미의식을 정립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시대와 세계속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한국적 패션의 정체성을 확립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2 2. 천연염색에 관한 일반적 고찰 = 3 2.1 천연염색의 역사와 종류 = 3 2.2 소목염색기법 = 10 2.3 친연염색을 도입한 작품사례 = 28 3. 조선후기 풍속화와 복식 = 33 3.1 풍속화의 정의와 역사 = 33 3.2 조선후기 풍속화의 특징 = 35 3.3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 = 36 3.4 조선후기 복식의 형태미를 응용한 현대 의상 디자인 = 49 4. 작품 제작 및 분석 = 57 4.1 작품 제작 의도 및 방법 = 57 4.2 작품 및 해설 = 60 5. 결론 및 제언 = 100 참고문헌 = 102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7913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소목천연염-
dc.subject현대 의상디자인-
dc.subject복식사-
dc.subject형태미-
dc.title소목천연염을 이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의 형태미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using natural sappan wood dyeing and traditional clothing in Chosun Dinasty-
dc.format.pagex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