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민기-
dc.creator조민기-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0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8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06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ffects of an integrated approach on the field of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by administering an integrated lecture for high school freshme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4 freshmen from two classes in K High School located in Ansan, Gyeonggi Province, and genre paintings from late Jo-sun dynasty was used as the class material. In the third and forth trial,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ior learning class to understand the period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period, and at the fifth and sixth trial they underwent analysis of the paintings by a periodical and social perspective. The final seventh trial was for evaluation, where both the controlled and experimental group wrote a critical essay on late Jo-sun dynasty genre paintings. From the evaluation results, one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and sought to fi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reasoning about the time period and social contex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the integrated program and the controlled group, which was given a conventional lesson regarding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lytical ability of the time period and social context between the classes that were given the integrated approach of the field of art appreciation and Korean history, and the classes that received conventional lectu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grated approach helps students interpret the background of the time period and social context in which the art work was produced and improves their ability in identifying the underlying messages the artifacts imply.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reasoning regarding art work between the classes that experienced the integrated approach, and those that had traditional lessons. This is because students who learned how to relate the social context to art found how to evaluate the art work more logically.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a systematic combination of art appreciation activities with different subjects in the education field will not only enhance the interpretation ability of art work itself but also increase critical reasoning rendering harmonious cognitive development. Therefore, one must revalue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learning through art appreciation and develop various integrated programs to simultaneously foster synthetic thinking ability and aesthetic sensibility.;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감상 영역과 국사과의 통합적 접근이 미술 작품 해석과 미술 비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미술 감상 영역과 국사과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을 구안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K고등학교의 1학년 2학급 84명으로 하였으며, 국사과와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은 조선 후기 풍속화를 제재로 선택하였다. 실험 대상으로 선정한 학급은 조선 후기 풍속화와 조선 후기의 시대·사회적 상황을 이해하기 위한 선행 학습을 각각 1-2차시에 걸쳐 하였으며, 3-6차시에는 조선 후기 풍속화를 시대·사회적 관점으로 해석하는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 차시인 7차시에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공통적으로 서술·논술형 평가 형식의 조선 후기 풍속화에 대한 비평문을 작성하였다. 그 평가 결과를 통해 미술 감상 영역과 국사과와의 통합적인 감상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한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미술 작품의 시대·사회적 맥락으로 해석하는 면과 미술 작품 비평 능력 면에서 유의(有意)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 감상 영역과 국사과와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을 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한 통제 집단 간의 미술 작품을 시대·사회적 맥락으로 해석하는 능력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미술 감상영역에서 국사과와의 통합적 접근이, 미술 작품이 탄생하게 된 시대·사회적 배경을 이해하고, 미술 작품이 담고 있는 그 시대·사회적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 주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과 감상 영역과 국사과와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은 한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한 통제 집단 간의 미술작품 비평 능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미술 감상 영역에서 국사과와의 통합적인 학습을 한 결과, 미술 작품을 시대·사회적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미술 작품을 보다 논리적으로 가치 판단할 수 있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고안한 학습 지도안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은 교육 현장에서 미술 감상 활동과 타 교과와의 체계적인 통합적 접근이 실시되면, 미술 작품의 해석 능력이나 미술 작품 비평 능력을 향상시켜 조화로운 인지 발달을 이끌 수 있을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앞으로도 미술 감상 학습이 지닌 교육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학습자의 종합적인 사고력과 미적 감수성이 함께 길어질 수 있는 미술의 통합적 접근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미술 감상 교육의 이해 = 5 1. 미술 감상학습 모형 = 5 2.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본 작품 해석 = 11 B. 미술과 중심의 교과 통합 = 13 1. 교과 통합의 의미와 유형 = 14 2. 미술과 중심의 교과 통합의 교육적 의의 = 22 Ⅲ. 미술과와 국사과의 교과 통합의 실제 = 26 A. 연구의 대상 및 절차 = 26 B. 연구 도구 = 28 1. 수업 도구 = 28 2. 평가 도구 = 58 C.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6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61 A. 연구 결과 = 61 B. 논의 = 64 Ⅴ. 결론 = 66 참고문헌 = 68 부록 = 71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950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감상 학습에서 국사과와의 통합 지도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tegrated Instructive Approach of Learning Korean History through Art Appreciation-
dc.creator.othernameCho, Min Ki-
dc.format.pageⅶ, 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