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사라-
dc.creator유사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1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7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36-
dc.description.abstract19세기중반부터 20세기로의 전환기까지 유럽에서는 산업혁명으로 파생된 지배적 사회현상으로 나타난 획일화, 규격화, 대량 생산적 양상인 산업화의 혁신적 변화에 따라 인간 본연의 창작성과 인간성이 상실되어지는 결과를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 반기를 들며 기계문명에 대한 반발로 수공예의 중요성을 부각시킨 양식이 아르누보이다. 아르누보(Art Nouveau)는 새로운 (nouveau) 예술(art)을 의미하며 19세기에 대부분의 디자인의 흐름을 지배하였던 역사주의로부터 탈피한 과도기적 장식 예술 및 조형 예술을 가리킨다. 아르누보양식의 전반적인 특징은 재료와 장식이라는 이중 논리에 따라 진행된 예술양식으로 직선보다는 소용돌이치며 서로 교차하는 곡선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그러한 곡선을 통하여 자연의 유기적인 형태들을 표현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실재의 본질이나 자연의 창조활동의 무한한 과정을 효과적으로 표출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영향으로 아르누보의 양식은 장식적이고 화려한 요소를 갖는다. 주로 사용된 소재로는 자연에서 모티브를 취하여 전통적인 형식미를 벗어나 보다 자유롭게 움직이는 생동감을 중심으로 생명력 있는 표현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아르누보에 나타난 식물 양식을 중심 소재로 하여 유기적인 선을 디자인에 활용하여 창의적 조형 이미지로 표출하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주로 사용된 소재는 펠트와 오간디(ogandy), 사이잘 삼 등이며 제작방법은 펠트의 기존에 사용하는 열처리 방법에서 벗어나 손으로 엮어서 꼬아가며 열을 가한 뒤 모양을 성형한 후에 천을 덮어 누비는 기법을 사용하였다. 의상 제작에 있어서 입을 수 있는 의상, 즉 실용성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조형성을 강조한 의상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현대에 다양화되어지는 의상 디자인의 유형 속에서 한층 더 발전된 예술적 가치를 부여하는 새로운 조형 표현 영역의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생명의 에너지 속에서 질서를 발견하고 자연의 원리에 반대적인 일체의 정체성과 직선 적인 것을 거부하고 생명력 있는 성장성과 곡선 적인 것, 그리고 여성적인 것에서 촛점을 맞추어 발전한 아르누보양식의 조형성을 표현주제로 삼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가 있었다. 첫째, 형태적인 측면에서 볼 때 아르누보의 특성인 유기적인 곡선을 이용하여 식물과 꽃의 이미지를 표현함으로 여성스럽고 화려한 분위기를 강조할 수가 있었다. 둘째, 소재 적인 측면에서는 아르누보의 섬세한 표현을 위하여 얇게 비치는 오간디 사이에 펠트를 펼치고, 그 위에 유기적인 곡선형태로 누비는 작업 통하여 자유로운 식물의 유기적인 이미지를 표출할 수 있었다. 셋째, 모티브의 표현에 있어서 사실적인 식물의 입체적인 꽃 형태를 위한 아트플라워 작업을 통하여 보다 사실적이고 장식적인 효과를 표현하여 조형성을 나타내는 효과를 가질 수가 있었다. 넷째, 상징적인 형태를 나타낼 때에는 표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기보다는 암시적인 효과를 주어 유기적인 곡선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표현이 가능함을 알 수가 있었다. 다섯째, 100년 전 과거의 예술양식으로만 인식되어진 아르누보가 현재의 디자인의 모태가 되었으며 미래에 지속 가능한 디자인 논리로서 여전히 설득력을 가지며 '유기체적 디자인'으로 미래를 잇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제작된 의상, 총 8점을 통하여 무한한 생명력을 가진 아르누보의 양식 적 특성이 복식 디자인에서도 조형 대상의 소재로 자유롭게 표현되어짐을 알 수가 있었다. 직물의 유기적인 선을 표현하는 데에 무엇보다도 아르누보의 조형세계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는 것이 독창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앞으로 복식 디자인 분야에서도 과거의 역사 속에 묻혀있는 아르누보의 예술성을 올바르게 재인식을 하고 그것을 통하여 다양한 창조 활동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현대화되어진 작품 속에서 과거의 예술과 만나는 계기가 되어 더 많은 아르 누보 성이 재생되기를 기대한다.;In Europe, during the turn of the century, from the mid 19th to the 20th century there appeared various form of uniformity, standardization and mass production in society as a resul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This social change eventually contributed in the greater loss of individual creative power and imagination, which can be further seen as the loss for human nature and humanity. It is at this time, that Art Nouveau revolted against this period's machine civilization and brought to the forefront the importance of handicraft art. Art Nouveau represents the new (nouveau) form of design like decorative and formative art that attempts to escape the 19th century leading trends of historicism. The general features of Art Nouveau style follow the basic principles of the usage of materials and ornaments. By using more curvy crossed - lines in the selection of materials rather than straight lined materials, Art Nouveau has its unique style of representing the organic shapes of nature through the usage of curved lines. Thus, Art Nouveau style attempts to effectively express the endless processes of the veiled universe and creative activities within nature's reality. As a result, Art Nouveau style is very ornamental and splendid. It mainly takes a motif from nature and pursues to vivid power of life through free movement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lifeless modes. Based on this point,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oncepts and the background of formative art in Art Nouveau, and will attempt to conceptualize how Art Nouveau is applied in modern fashion design today. By analyzing the garments manufacturing process, this study reveals fashion design in Are Nouveau by employing plants as a motif, and shows how organic lines can be used in formative products eventually to manifest the creative design more effectively. The materials mainly used in the garments are felt, ogandy, sisal flax, ete. The producing techniques for felt are not the conventionally used methods from the past by simply applying heat. Instead, the felt material was first woven by hand, then applied with heat to form the shape of the material, and lastly covered with cloth and quilted. In this study, the emphasis of ready to wear garments and their utility has nat been forgotten, however, it does attempt to stress the importance of formative material garments, and how they contribute in the expansion of a new formative expression in adding greater developing artistic value -- for the modern fashion arena of overflowing garment designs tod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 1 2. 아르누보의 일반적 고찰 = 3 2.1 아르누보 양식의 형성배경 = 3 2.2 아르누보의 양식적 특성과 유형 분석 = 7 2.2.1 아르누보의 양식적 특성 = 7 2.2.2 아르누보의 유형 분석 = 10 2.3 아르누보의 식물 모티브 작품과 조형적 특성 = 13 2.4 아르누보의 식물 모터브를 응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 25 3. 누빔에 관한 연구 = 38 3.1 누빔에 관한 일반적 고찰 = 38 3.2 현대의 누빔(Quilt) 활용 = 47 4. 작품 제작 = 58 4.1 작품의 제작의도 및 방법 = 58 4.2 작품 해설 = 61 5. 결론 및 제언 = 105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603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조형미-
dc.subject복식디자인-
dc.subject아르누보-
dc.subjectArt Nouveau-
dc.title아르누보(Art Nouveau) 양식의 조형미를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식물 모티브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fashion design manifested in art nouveau by employing plants as a motif-
dc.format.page111 p.: 삽도.-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의상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1.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패션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