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환상표현의 시각화

Title
환상표현의 시각화
Other Titles
Visualization of fantasy : Focusing on illustrating the traditional tale
Authors
황성혜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정보디자인전공
Keywords
환상표현전통설화작품제작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antasy has taken possession of cultural main themes which are composed of literature and art such as paintings and its images and has penetrated our lives by digitalizing copies of themselves. Illustrating fantastic images as a symbol of new cultural trends, I pursuit how to visualize the harmony of reality and fantasy. To take out the concept of fantasy, I research the meaning of fantasy and its related facts through a lot of essays and literatures related to fantastic images, examine surrealistic painters who depicted obscure, vague and fantastic images and attempt to visualize fantastic images with Korean traditional tales in which we have obtained the visualized images through its texts such as the creation of earth,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n and other fantastic myths. In my paintings, I develop and apply the techniques such as spreading inks and mingling shapeless forms between reality and fantasy in order to maximize fantastic visualization of traditional tale.;환상(Fantasy)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문학과 여러 예슬 쟝르의 핵심을 구성하는 주요 테마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환상적 이미지는 새로운 문화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는 디지털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지속적인 확대, 재생산을 거쳐 우리의 일상으로 깊이 파고들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이처럼 새로운 문화코드로 자리잡은 환상을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함으로서, 우리가 존재하는 현실과 환상의 융합이 어떻게 시각화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상(Fantasy)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환상 및 이와 유사한 의미를 정리하고, 미술사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의 환상 표현과 관련한 이론적 분석 및 작품 분석을 통해 초현실주의 속에 내재된 환상 표현의 요소들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전통설화를 통한 환상 표현의 시각화를 도출하도록 하였다. 환상 표현의 시각화를 위한 작품 전개를 위해, 환상 개념을 포함하고 있는 여러 양식중에서 우리의 감정과 의식을 가장 잘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전통설화를 선택하여 환상 표현을 시각화하였다. 작품의 전개 방법은 전통설화의 이야기 구조를 유지하면서 중심 소재와 환상적 이미지의 조화를 표현하기 위해, 작품 초반부에서는 '견우와 직녀'에서 선택한 개별 장면에 대해 배경 부분은 평면적 이미지를 도입하여 공간의 개념을 무형화하고, 이야기 장면의 등장 인물과 주요 캐릭터는 형태의 명확화를 추구함으로써, 현실 세계와 환상 세계를 함께 표현하여 전통설화의 기본 이야기 구조와 환상적 이미지와의 융화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환상 표현의 다양화를 위해 작품 후반부에서는 전체적인 이야기 구조 및 캐릭터 자체에 대해 과감한 형태의 파괴와 이미지의 초현실적 해석을 통해 환상성 표현을 더욱 강조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정보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