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4 Download: 0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과정 분석

Title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과정 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uthors
김희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유치원초등학교수학교육과정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d of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For the above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1. how is the connection of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 2. how is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 3. how is the connection of the activity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 The subject of the study are guiding materials for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y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6TH CURRICULUM(1998) an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PRACTICES' on the basis of THE 7TH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OF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1998). The method of the study is kum hei jeong's mathematic activity analytical criteria data(2001)by 'materials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al activity'. To measure the connection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 are re-adjusting those to be included the contents in THE 6TH CURRICULUM and THE 7TH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To analyze the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researchers who had majore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participated as a supplementary member.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to have a common obtect as in the following 'logic-mathematical thinking' and 'the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mathematics' and 'the ability of the problem solution of the daily life'. Second, the connection of the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re as follows. 1. classification ; kindergarten were consist of contents to classify with one ore two criterio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enlarged contents to two-three classify from one criterion. 2. seriation ; kindergarten were consist of contents to put with one criterio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3.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number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presented activities to compare the size, to count the number by step. 4. addition and subtraction ; kindergarten were enlarged to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5. measuring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To use word connected with measuring' was the same level with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but kindergarten was presented to the normal abnormal measuring. 6. time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presented activitys to contents to order the time,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s the contents of visual education. 7. space and geometry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kindergarten include location concepts,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s the name of the space concept and geometry. 8. statistic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kindergarten analyzed the collect data by making graph,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nalyzed the chart by recording number. Third, the connection of the activity contents of mathematics curriculum between preschool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re as follows. 1.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with the simple disentanglement of the entangled materials and a regulation. but others weren't. 2.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s of number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with the counting the number, the cognition of number, addition and subtraction. but they weren't connected with the 1:1 correspondence, a rough calculation, a formula, a part and the whole. 3. measuring ;; thy weren't presented to the normal and abnormal measuring. 4. time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n't connect. 5. space and geometry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 with investigation of a solid figure, a shape naming, a geometrical shape composition, drawing a shape, but they weren't connect with location, approximation, in and outside, projective geometry. 6. statistics ; kindergarten and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ere connected each other, but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wasn't contents about expended probability and statistics.;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과정을 분석한 것이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목표는 어떠한가? 2.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내용은 어떠한가? 3.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 활동별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은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과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서 수학 교육 내용을 포함하는 관련 활동과 초등학교는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1998)과 '수학'과 '수학익힘책'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에 진술된 단어를 중심으로 수학적 개념, 진술체제, 구성, 수준별 단계, 자료유형, 교수-학습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수학교육의 활동별 내용은 금혜정(2001)이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에 나타난 수학 관련 활동 분석을 위해 사용한 도구를 분석 기준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위의 도구를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과 제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포함하도록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의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유아교육전공자가 보조 연구자로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목표는 논리·수학적 사고와 일상생활에서의 문제해결력,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 관심을 갖게 하려는 데에 공통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유치원과 초등학교가 수학 교육과정 체제 면에서는 여러 가지의 차이를 보이고는 있지만, 지향하고 있는 수학 교육의 방향이나 목표 측면에서는 서로 많은 부분이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을 알아보았다. '분류하기'에서 유치원은 한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기 내용이며,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한 가지에서 두 세 가지 분류기준으로 확장되고 있다. '순서 짓기' 내용 영역에서는 유치원에서는 한 가지 준거로 순서대로 놓아보는 내용이 있으나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내용이 없다. '수의 기초개념 이해하기'에서는 크기를 비교하는 것과 수를 세고 숫자와 연결하는 활동이 단계별로 제시되고 있다. 또한 '덧셈과 뺄셈'에서는 유치원에서의 내용수준이 초등학교 1학년에서 확장되고 있다. '측정'에서는 '측정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하는 내용에서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이 동일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나, 오히려 유치원에서는 비표준화 단위와 표준화 단위를 사용한 측정 내용으로 폭넓게 제시되고 있다. '시간'과 관련한 수학교육내용을 살펴보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모두 생활에 관련된 시간의 순서를 다루는 내용은 동일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시각'에 대한 내용이 있다 '공간과 도형'에서는 '구체적인 물건을 관찰하면서 기본도형을 찾는 활동내용과 기본 도형을 이용하여 모양을 구성해 보는 활동내용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에서 동일한 수준에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유치원에서는 위치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나,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점판을 이용한 공간개념과 도형의 이름이 명시 되어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내용이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확장된 내용은 없다. '통계'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친숙한 자료를 수집하는 내용과 분류하기와 수세기 활동을 기초로 한 통계개념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이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치원에서는 수집한 자료를 그래프로 만든 후 분석을 하고 있으나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숫자가 기록된 표로 만든 후 분석을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초등학교 1학년에서는 '통계'에 관한 수학교육 내용에서는 확장된 내용을 찾을 수 없었으며, 유치원의 통계내용보다 더 낮은 수준의 내용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 활동별 내용을 알아보았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의 수학교육 내용을 하위 범주별로 자세히 그 경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 내용의 하위범주에서 분류하기와 순서 짓기에서는 단순분류와 규칙성에서만 연계가 되고 있으며 그 밖의 다른 하위범주에서는 연계성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수의기초개념 이해하기에서는 수세기, 숫자인식, 덧셈과 뺄셈에서는 연계가 되고 있지만 그 밖의 다른 하위범주 내용인 1:1대응, 어림셈, 문자와 식, 부분과 전체에서는 연관성이 없었다. 기초적인 측정과 관련된 경험하기에서는 임의 기준 비교에서만 연계가 되어 있으며, 비표준화 사용과 표준화 사용의 하위범주는 전혀 연계가 되고 있지 않았다. 시간에 대한 기초개념 알기에서는 연계성이 있는 하위 범주가 전혀 없었다. 공간과 도형의 기초개념 알기에서는 입체도형탐색, 기하학적 모양인식과 모양명명, 기하학적 모양구성과 모양 그리기에서는 연계가 되어 있지만 그 밖의 다른 하위범주 내용인 위치, 근접, 안과 밖, 사영기하에서는 연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기초적인 통계와 관련된 경험하기에서는 서로 연관은 되어 있지만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내용 중 확률과 통계에 관련된 확장된 하위 범주의 내용이 없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