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8 Download: 0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및 母와 子의 애착특성이 母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및 母와 子의 애착특성이 母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mployed wife's Maternal Role Satisfaction by Job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Mother‘s Attachment and Children's Attachment
Authors
장현숙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직업만족과 배우자 지지, 모의 애착특성, 아동의 애착특성이 모(母)역할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모(母)의 애착특성, 자(子)의 애착특성과 종속변수인 모(母)역할만족도를 가지고 순서를 조합하여 아동 3장, 어머니 7장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서울과 인천의 초등학교 5~6학년 520명과 그 어머니 520명에게 2007년 3월 1일 설문지를 배포하여 3월 셋째 주에 475개의 설문지를 수거하였다. 아동용 설문지는 담임선생님을 통해 학교에서 실시한 후 수거하였으며 어머니용 설문지는 봉합용 봉투에 넣어 아동을 통해 어머니께 전달해드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수거된 설문지 중 5문항 이상 누락되었거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것을 제외한 449개의 설문지로 SPSS 12.0 윈도우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각 변인별로 응답자의 전반적인 반응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각 변인들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두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는 T-test를, 세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는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자료 분석은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모애착, 아동애착, 모역할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구해 상관분석을 하였으며,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모(母)와 자(子)의 애착 특성이 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인구학적 배경은 각 변인값에 차이를 주었다. 취업주부의 직업과 관련된 변인은 근무시간, 소득, 직업의 종류가 있는데 이것을 직업만족도와 관련해 살펴본 결과 소득, 직업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는데 소득이 높을수록, 전문직, 관리직, 사무종사자에 종사할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았다. 그러나 취업모의 소득은 100~199만원 45.4%로 나왔고 사무 종사자 22.9%, 판매종사자 18.9%, 단순노무종사자 18.0%인 대상자가 많아 직업만족도가 높지는 않았다. 배우자 지지의 경우 소득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났는데 자신의 소득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남편의 소득이 높을수록 배우자 지지가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모역할 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단순노무직보다는 사무직과 전문직일수록 높아 이 부분도 경제적 측면과 사회 지위적 측면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취업모가 직장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윤택한 생활을 위해서, 경제 사정, 목돈필요 순으로 나타났고, 재취업의 이유도 가계보탬, 자아실현, 계속적인 사회경험 순으로 나와 경제적 문제는 취업모가 직업을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취업모의 재취업 이유에 따른 모역할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경제적 이유에 의해 선택한 집단보다는 사회생활과 자아실현을 위해 선택한 집단이 더 높게 나왔다. 둘째,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母 애착 및 子의 애착특성 및 취업모의 역할만족도 간에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직업만족도의 경우는 배우자 지지, 어머니 애착, 모역할 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아동애착은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배우자 지지는 어머니 애착, 모역할 만족도, 아동 애착과 어느 정도의 상관을 보였다. 배우자가 자신을 많이 돕는다고 느낄수록 모역할 만족도가 높았는데 이는 한국의 취업모에게 배우자 지지는 매우 필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또 어머니 애착의 경우 모역할 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여 어머니가 어린 시절 어머니로부터 형성된 애착이 내적 실행 모델을 통해 형성되어 후에 어머니가 되어서도 그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어머니 애착과 아동의 애착은 애착 전이를 한다는 선행연구(이현미, 1996; 장미자, 1998; 전효정; 2003)와 같이 어머니 애착과의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아동 애착은 모역할만족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는데 아동이 안정애착을 하고 있을 경우 어머니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하고 있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었다. 모역할만족도는 부모가 자녀와의 관계에서 경험하는 만족감, 행복감, 유능감으로 어머니 애착,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여 어머니 애착과 가장 큰 상관을 보였다. 셋째, 취업모의 직업만족도, 배우자 지지, 母 애착 및 子의 애착특성이 취업모의 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어머니의 어머니에게서 형성된 母 애착은 현재 어머니의 모역할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만족도, 아동의 애착, 배우자 지지의 순으로 모역할만족도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 선정된 변인들은 모역할만족도를 굉장히 잘 설명하는 변수라는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득, 학력의 인구학적 배경이 낮아 그 영향력은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인구학적 배경은 취업모의 모역할만족에 그 어느 변수보다 강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found that mother's role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job satisfaction and Spousal support, Mother‘ attachment, Children's attachment.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are Job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Mother's attachment and Children's attachment. The dependent variable in question is Maternal role satisfaction. A questionnaire consists of 3 sheets of children and 7 sheets of mothers. 475 questionnaires for this research were given out on March 1st, 2007 and retrieved 3 weeks later for computation. The subject consisted of Seoul and Incheon's elementary school 5th~6th graders 520 pupils and their mothers. Children's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by the teacher and executed in the class room. Mother's questionnaires which was covered portfolio were given out by the children. And then we used SPSS Version 12.0, for the findings and responses to calculate frequenc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 verified the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about the society population. We also used Pearson's correlation for the 4ea of independent variable and 1ea dependent variable. To find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Mother's attachment we used correlation analysis. We investigated how job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and Mother's attachment are correlated using Hierachical Regress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First, we'll list the variables of employed mother's society back ground. The variables are working time, income, job type. Higher earnings and professionalism are associ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However, 45% of employed mother's income is 1,000~1990 thousand won and 22.9% of employed mother's who are office workers, 18.9% of employed mother's who working sales , 18% of employed mother's who are working labor jobs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job. If Spousal support earnings is high then Spousal support is higher than the other person. Mother‘ attachment is higher than professional job and office worker. The reasons that employed mother choose their job: First is better life (45.7%) Second is to improve economic situation( 23.6%) Third is to earn money (14.5%) The reason that secondary employed mother choose their job: First is to make up for money (63.5%) Second is self realization (8.2%) Third is continually society life (8.0%) The results found that employed mother's role satisfaction is higher for those who choose the job for self realization and continually society life rather than the group who chose job for economic reasons. The Seco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mother's attachment, and Children's attachment and employed mother's satisfied Job satisfaction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ousal support(r=.321, p<.01), Mother‘ attachment(r=.286, p<.01), Maternal role satisfaction(r=.299, p<.01) that is low correlation about the Children‘ attachment(r=.149, p<.01). And Spousal support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for the Mother‘ attachment(r=.205, p<.01), Maternal role satisfaction(r=.252, p<.01) and Children‘ attachment(r=,158, p<.05) which reflect that employed korean mothers are more satisfied with a helping partner. Mother‘s attachment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ternal role satisfaction(r=.371, p<.01) which implies a connec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r=.356, p<.01). Also, Children's attachment and mother's role satisfaction are positively correlated (r=.183, p<0.01) reflecting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happiness and her children's well-bing. Maternal role satisfaction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r=.299, p<.01), Spousal support(r=.290, p<.01) and Mother‘ attachment(r=.371, p<.01) which implies that Mother's attachment is closely correlated with Maternal role satisfaction. Finding also found that Maternal role satisfaction was effected by Job satisfaction, Spousal support, Mother‘s attachment and Children‘s attachment. In conclusion Maternal role satisfaction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other's attach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