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손현선-
dc.creator손현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8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7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725-
dc.description.abstractHuman life requires industrial standardizations but, on the other hand, it requires emotional features. In other words, the more industrialized a society is, the more primitive and human-like skills it needs. Also, the more specialized a society is, the more amateurish aspects it seeks. People have sought something that is old-fashioned, hand-made and humanistic and that can show their own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at from the industrialized mass production. Therefore, the role of craft is very important in the industrialized modern life. The craft is originally a fruit from activities producing necessities for food, clothing and housing in the human life. It has been evolved diversely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human life, technology and the variety of the individual or social desire. The dyeing art has been diversified with a complex use of new materials and techniques. It is being developed to an abject forming an formative and spatial environment by changing from planar to cubical work in the mode of expression. Therefore it has sought aesthetic aspects rather than functional ones and worked to create a pieces for appreciation. Different from the trend mentioned above, the study is aimed to produce highly value-added work of dyeing art required to the settlement of the technical art of human life seeking the function of both decoration and utility. The effect of contingency is widely used among the artists who pursue free mode in the expression of their inner world. So the artists, to present the intended contingency which they pursues, should continue to train themselves for reconstructing and improving their artistic intuition. This work tries to combine the dyeing and clothing by introducing the contingent effect from a marbling technique and the handwork for a quilt. Furthermore, this work focuses on making wearable cloths called wearable art. To do his, the intended contingency has been studied in this work. A theoretical studies on marbling, quilt and the-art-to-wear has been performed. By making typical work and analyzing them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the conclusions are attained as follows. First, the marbling technique is appropriate to produce a craftwork since it enables the expression of various and free mode thanks to the effect of contingency, and its process is short and easy as well. Second, it has been realized that the technique using quilt and patchwork is effect to the embossed expression showing the tactile sense of a dyed fabric. It is also suitable to express the handmade naturalness. Third, Tunic-formed clothes are suitable to function as a work of the dyeing craft used in common life since it is functional, thought simpler than the other forms of the art to wear, and it can be harmonized to other cloths. Though the new mode of expression, the-art-to-wear, has a short history in comparison with other parts of art, it has unlimited possibility of evolution since it has a wide range of expression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skills. In this study, a form of simple and wearable clothes has been tried by combining the skills for marbling and quilt, In the future, the-art-to-wear is to be expressed more freely and creatively by developing more fabric materials and by attempting the combination of various skills of expression. The role of the fabric craftsman is thought to develope various objects of craftwork using fabric.;인간 생활은 한편으로는 감성적 특수성을 요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계적 규준화를 요구한다. 즉 사회가 기계화되면 한편에서는 그 반대되는 원시적이며 인간적인 손의 기술을 요구하며 사회가 직업화되면 될수록 다른 한편에서는 아마추어적인 것을 구한다. 또 대중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제품보다는 옛 것이나 손맛, 인간적인 것, 자기만의 개성적인 것을 요구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처럼 기계화된 현대사회 속에서 공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공예란 본래 인간생활의 필요에 따라 의, 식, 주에 쓰이는 생활용구를 만들어내는 조형활동의 소산으로서, 인간생활의 발달과 기술의 발달, 개인 또는 사회적 욕구가 복잡해짐에 따라 다양하게 변모 발전하게 되었다. 염색공예 또한 새로운 소재와 기법의 복합적 사용으로 다양화되었고, 표현양식에서도 평면적인 것에서 입체적인 작품으로 변하면서 조형적이고 공간적 환경을 형성하는 대상으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기능적이기보다는 미적인 것을 추구하게 되었고 감상위주의 작업들을 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공예의 본래적 기능에 충실함으로써 장식과 실용적 기능을 추구하는 대중을 위한 생활공예의 정착과, 산업화, 개성화된 시대에 요구되고 있는 고부가가치의 염색공예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우연의 효과는 예술가들이 추구하는 내적 세계의 자유로운 표현양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술가는 추구하는 의도된 우연성을 표현하기 위해서 작가 자신의 직관을 가치 있게 재구성하고 발전시키는 의도적 훈련이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블링 기법에 의한 우연적 효과와 퀼트의 수작업을 의상에 도입하여 염색과 의상의 접목을 시도하였으며 착용 가능한 의상(wearable art) 을 제작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의도된 우연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마블링, 퀼트, 미술의상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으며 그것을 토대로 작품을 제작,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마블링 기법은 우연적 효과에 의한 다양하고 자유로운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며, 제작과정이 비교적 짧고 용이하므로 다른 기법들과 접목시켜 공예품으로 제작하기에 적합하였다. 둘째, 퀼트와 패치워크는 염색천의 촉각적 질감을 나타내는 부조적인 표현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공예적인 자연스러움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셋째, 베스트형 의상은 미술의상의 형태들 중 가장 단순하면서도 기능적이며 다른 의상들과의 조화가 가능하므로 생활 속에서 사용되어지는 염색공예품으로서의 기능을 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술의상이라는 새로운 표현양식은 타 미술분야와 비교하여 역사가 길다고 볼 수 없으나, 다양한 소재, 기법들에 의한 작업이 가능하며 표현범위가 넓으므로 무한한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블링과 퀼트를 접목시켜 조화를 이루게 함으로써 착용 가능한 단순한 의상형태로 표현하였으나, 섬유에 있어서의 다양한 소재의 개발과 표현기법들의 접목을 시도함으로써 미술의상은 더욱 자유롭고 독창적으로 표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섬유를 소재로 한 다양한 공예품을 개발하는 것이 섬유공예가들에게 주어진 과제라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1. 서론 = 1 1.1 연구목적 = 1 1.2 연구내용 및 방법 = 1 2. 이론적 배경 = 2 2.1 염색공예와 미술의상 = 2 2.2 예술에 있어서의 우연성 = 10 2.3 마블링과 퀼트의 일반적 고찰 = 12 3. 작품제작 및 분석 = 20 3.1 제작의도 = 20 3.2 제작과정 = 21 3.3 작품 분석 = 28 4. 결론 = 50 참고문헌 = 51 ABSTRACT = 5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585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subject마블링-
dc.subject퀼트-
dc.subject미술의상-
dc.subject염색디자인-
dc.title마블링과 퀼트를 이용한 미술의상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베스트 제작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art to wear using marbling and quilt-
dc.format.pagevii, 5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