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디지틀 시대의 타입과 해체성에 관한 연구

Title
디지틀 시대의 타입과 해체성에 관한 연구
Authors
박귀옥
Issue Date
1999
Department/Major
디자인대학원 광고디자인전공
Keywords
디지털시대광고디자인노래가사해체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 rapid growth of new media and diversified medium begin to develop by meanss of that industrial society of 20th century. Which depens heavily on mass production system, has been converted into information society through post-industrialization. Nowadays that modern way of information transmissin is transferring to seeing from reading, a conspicuous tendency taken place in typography is that an image for delivering has a large role, while narrative text has a relatively small role or is dismantled. Recently the new tendency that affects to every artistic fields is started from concerning about the artistic critics of post-structalism and post-modernism. That is to way, it is started from the concerns about the differences of created meaning which exist between designer and receiver, and visual communication corresponding with vocal communication. Typography and design have been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ed by the notion called deconstruction for a few years. This society is getting complicated, and the time that people are able to maintain their power of concentraion has already been reduced. It is more necessary that visual communication aimimg for the transmission of intention needs method for coping actively with the rapid change of society, for overcoming the sense of mptiness and alienation, and for offering visual pleasure. This means that the notion of typogrphy has been expanded, that the increase of the uantity of information and media is for a narrative world rather than a realistic world, and that another imaginary world has been created. The expressive characters of deconstructional typography are destruction and mixtureof letter, destruction and overlap of image, destruction of grid, cacophony and pharmoniousness, distortion and fragmentalization of shape, parallel arrangement and so on. These charaters are guided to how and what to see. It is no new that there exist compounded image, letters expressed manifoldly, visual pleasure by a framework of writings. Nevertheless, by means of that these no-new things are doing various experiments, typographer's own susceptibility attracts public gaze and developed as the one that sympathize with them. The said person has researched on how to see what leading contemporary people to feel interests on the basis of that the thing which make it easy to acess to a certain subject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the world where too much information is overflowing, and where we use the split time unit shorter than a second. The interest mentioned above is not a simple laughing led by a funny sene. This means the biological motives by means of intellectual stimulation which specified a way of communication over such peripheral counteraction. That is, in the disorder, it is possible to find another meaningful order which is different from good order existed before the decondtruction. This intellectual stimulation is 'interest'. And the new order made from the stimulation called 'interest' and opposed to old order can be reflected as 'amusement' in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to say, it is to show that disorder made by deconstruction can express completely different order. At the same time, it is to show that the disorder gives us pleasure and recommands us to participate by wide ****** sense. This the amusemental character that deconstruction can give us. Aesthetical amusements evokes special aesthetic sensibility in the free atmosphere, while ordinary amusement gives hilarious and happy feeling characterizes itself as a free atmosphere. Deconstructional typography has been many negative aspects but it deserves as a research target because it has latent power and because it share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movement pointed on the contemporary culture, study and art.;인쇄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쇄매체의 대중화는 최초로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시대를 열었고 인쇄매체에서의 문자는 정보전달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으로서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논의도 오늘날 까지 계속되어 오고있다. 타이포그래피는 문자를 재료로 하는 디자인의 영역이다. 쿠텐베르크가 금속활자로 인쇄를 시작한 이래 타이포그래피의 실험적인 방법론은 각 시대상황에 따라 늘 있어 왔지만 1980년대를 기점으로한 오늘날의 타이포그래피는 많은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정한 양식이 없어지고, 그리드가 파괴되고, 활자가 해체된 것이 그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타이포그래피의 형식은 뉴미디어와 절대적으로 관계가 있는 데 컴퓨터의 등장이 그 중요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논의는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하였고 인쇄기술의 발전과 함께 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제는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도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맞는 방법론이 논의 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것은 종이를 매개로한 인쇄매체와 컴퓨터 스크린을 매개로 하는 뉴미디어와는 특성에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타이포그래피를 통해 현대사회에 대한 비판을 표현함으로서 표현영역을 확대하고 다른 타이포그래피와 차별화를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조형 요소로써의 타이포그래피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비언어적 기능을 지닌 문자와 표현자의 주관적 해석에 의거한 표현을 통해 비언어적 비쥬얼 이미지 전달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타이포그래피가 지닌 시각적 조형성의 중요성을 시대적 고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작품으로는 타이포그래피가 조형언어로써 언어적 정보의 전달외에도 비언어적 비쥬얼 이미지 전달이 가능한 새로운 표현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연구하였다. 타이포의 해체성을 3가지로 정리해보면 첫째, 타입을 자르고, 부수고 난도질해서 흔들어, 레이어를 쓰고, 타입을 뒤집어 꺼구로 쓴다든지 한줄만 거꾸로 쓰는 방법이 있다. 둘째, 문장의 기능 기호를 택하는 방법, 타입을 기호적회화로 적용하여 이응로의 시처럼 표현하는 방법, 타입을 불러들여 완전히 회화의 새로운 현상에 갔다가 문자란회화로 와서 표현했을때 언어적 요소로 언어가 탄생하는 새로운 형태, 질서가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셋째, 글자자체가 단어적의미가 아니라 글씨자체가 언어가 되는 것이다. 이상의 날개처럼 한타입이 계속적으로 반복, 나열되었을때 더이상 주어적 의미보다는 새로운 하나의 형태가 배열되 느낄 수 있는 하나의 해체적 방법이다. 이러한 변화들과 글자를 널어 반복도, 변형도 다른 레이어를 사용하여 중첩의 효과를 내어 펑크음악처럼 노래가사를 주제로 표현하여 타이포를 재해석하는 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