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숲과 새의 공간적 재구성

Title
숲과 새의 공간적 재구성
Other Titles
(The) Spatial Reorganization of Birds and Trees
Authors
金昌淑
Issue Date
1984
Department/Major
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염색디자인전공
Keywords
공간적 재구성염색디자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artists have created new worlds of arts by the insights - through their intutions and imaginations - and extracting formative factors. So each artist needs to have an insigh to the objects and the ability to visualize the beauty of them. Aesthetic activities can't help being under the influence of environments and many artists have made through investigations into Nature in their own worlds because of directly contacting with 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Nature's image in dyeing through the expressions of Nature as the object - to put it concretely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rees and birds. For these purpose, following considerations will be made. First, it is tried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expressing Nature as the object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orks of many artists, based on the fact that a human as a part of nature - just as Nature and formation, Nature and art, and Nature and a human - is explained as cosmic being who follows the dispensation of Nature with Nature itself. Second, from this standpoint, trees and birds are reorganized. Expecially trees are macroscopically reorganized. Third, the results from the six works in which trees and birds are reorganized and their producing processes are that the spatial reorganization of bird and forest can be developed by intuitive aesthetic experience and the discovery of the factros of spatial form which have the general character of Nature. In the expressions of dyeing, the various moods can be shown by the specific characters of materials, cracks and the effect of overlapping by using paraffin are very effective in forming spatiality, mobility and expressing the concrete sense of substance. And when trees and birds are reorganized through dyeing, the aesthetic experience of meeting its real being is gained. But some problems are found in producing works and as follows are the problems of dyeing and further direction of study. 1. Dyeing and texture are so delicate and the state of expressions idiverse from the materials of texture. Because of these characters there are very peculiar, accidental, and potential effects. So if, with researching activities I long-term experiences are gained, I believe there will be various possiblities in peculiar mood of dyeing by developing the various skill of expression. 2. It trill be teied to study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from aesthetic experiences industrial Design.;예술가는 자신의 직관적인 의식과 상상으로 대상의 내면성을 투시해서 조형적 요소를 추출하여 새로운 예술의 세계로 창조해 왔다. 그러므로 예술가는 대상을 볼 때 마음으로부터 눈이 필요하고 다음에 미를 시각적으로 형상화 할 수 있는 조형 능력이 뒤따라야 한다. 또한 미적 활동은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기 마련인 것이며 우리가 직접 부딪칠 수 있는 자연과의 접촉으로 수많은 예술가들은 자연을 대상으로 많은 창작 세계를 추구해 왔다. 그래서 이와 같은 자연을 대상으로 한 예술 표현 즉 나무 새의 재구성을 통해 염색작품으로 자연 이미지의 표현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얻으려는 것이다. 첫째, 자연과 예술, 자연과 인간, 자연과 조형 등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의 인간이 자연과 함께 자연의 섭리에 따른 우주적인 실제로 풀이되는 것을 바탕으로 자연 대상의 표현 가능성을 여러 작가의 작품을 통해 비교 분석해 보기도 했다. 둘째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나무의 거시적인 행태를 파악하여 형상화하였고 새 또한 형상화하였다. 배경은 주로 자연에서 흔히 느낄 수 있는 포근함, 안정, 노을, 달밤으로 하였다. 셋째, 이와 같이 자연을 재구성한 6점의 작품 제작을 통해 얻어낸 결과는 자연의 보편적 특성으로 공간 구성의 발견에 의해 직관적인 미적 체험으로 새와 숲의 공간적 재구성을 전개할 수 있었다. 또한 염색에 의한 표현은 그 재료의 특성으로 해서 다양한 분위기를 표출할 수 있었고 파라핀을 이용하여 크랙(Crack)과 겹치는 효과는 자연 대상에 나타나는 구체적인 재질감과 유통성 공간성 형성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염색을 통해 새와 나무가 공간상 형상화 될 때 그 실재와 만나는 미적 체험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작품제작에 있어서 문제점도 발견되었으며 염색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염료와 섬유의 특성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그 특성은 매우 독특한 우연적 효과를 나타내므로 연구적인 자세로 장기적인 경험을 쌓아 간다면 염색의 독특한 분위기는 한층 폭 넓은 표현기법의 개발로 다양한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믿는다. 2. 미적 감동에서 산업공예로 까지 발전해 나갈 여지를 연구해 보도록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