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오선-
dc.creator오오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0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2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03-
dc.description.abstract古代 中國에서 發見되고 使用되어 온 슬립유약은 대부분 單味로도 유약에 사용할 수 있는 天然 슬립점토로 만들어 졌다. 이 슬립점토를 우리나라에서는 藥土라고도 하며, 또 유약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철, 알카리, 장석質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충분히 융제작용을 하여 Cone 5에서 Cone 8의 넓은 소성 범위에서도 유약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리고, 슬립유약이라는 명칭이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생소하게 느껴지지만 이미 高麗時代와 朝鮮時代에 黑釉와 옹기유약의 형태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외국의 경우에는 Albany Slip유약과 같은 슬립유약의 연구가 오래전부터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本 論文에서는 다양하고 미묘한 점토자체의 발색과도 유사하며, 화장토와 같은 질감을 갖는 무광택의 유약을 얻고자 실험하였다. 그래서 1970년 이래의 10여년간의 미국 슬립유약의 연구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한국에서 산출·사용되는 원료로 대체한 조합비를 구하여 소성실험한 다음에 본 실험이 추구하는 목적에 가장 가깝다고 생각되는 Barnard SliP유약을 선정하고 그 조성중 TiO_(2)와 MnO_(2)를 제외한 것을 본 실험의 백색 슬립유약의 기본으로 삼았다. 이 기본 백색 슬립유약에 단일 발색제와 복합 발색제를 변화있게 첨가하여 풍부한 색상과 그에 따른 미적 활용 가능성을 얻고자 하였다. 本 實驗에 사용된 발색제는 금속산화물로서 Fe_(2)O_(3), NiO, CoO, CuO, Cr_(2)O_(3), MnO_(2), CuCO_(3)·CU(OH)_(2)·H_(2)O, TiO_(2)등이며 燒成은 전기로에서 1100℃, 1150℃, 1200℃, 1250℃, 1280℃의 5단계로 하여 발색제 첨가량과 온도 변화에 의한 발색을 비교 검토하여 보았다.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태가 가장 좋다고 생각되는 기본 백색 슬립유약의 조합비는 A series가 안양장석 25.42%, 하동카올린 47.14%, 김천규석 27.44%이며, B series는 안양장석 59,54%, 하동카올린 27.60%, 김천규석 12.85%이다. 2. 대부분의 유약들이 1100℃에서는 뚜렷한 색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1150℃부터는 특유의 색으로 발색하였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서서히 색상이 짙어졌다. 3. 발색제中 CoO는 소량 첨가하여도 발색효과가 뛰어났으나 TiO_(2)와 SnO_(2)는 발색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다. 4. CoO, Cr_(2)O(3), Fe_(2)O_(3), NiO는 안정된 색상을 나타냈으나 CuO, CuCO_(3)·Cu(OH)_(2)·H_(2)O는 심한 기포현상과 1280℃에서는 다소 휘발성을 보였다. 5. 슬립유약 위에 투명유약을 二重 施釉한 결과 더 밝고 진한 색상이 나타났으며, 눈부신 광택을 보였다. 6. 슬립유약을 작품에 응용한 결과 색소지와 화장토의 질감을 볼수 있었으며, 또 유약과 유약의 강렬한 색상대비로 회화적인 생동감을 느낄 수 있었다.;The Slip Glazes which were discovered and used in ancient China are mostly made from the natural slip clay which can be used originaly or independently without anyother addition to the glaze. This slip clay is generally called "Yakto" in Korea, and it could make the flux action in its fullness and enamel even at the wide range of burning manufacture from Cone 5 to Cone 8, because it contains the elements of iron, alkali, feldspar which can operate as glaze. The term called Slip glaze is more or less unacquainted to our country, but it had been already used to the form of Black Glaze and Pottery Glaze in Koryo and Chosun Dynasty Period. The study of slip glaze such as Albany slip glaze has been actively continued from the long ago in the foreign country. To obtain texture which is simila with the various and delicate color generation of clay itself, and is fooled in neutral condition between Engobe and Matt glaze, I have collected and analized the study data on American slip clay of ten years, and experimented the burning manufacture to discover the mixing rate replaced by the raw materials produced and used in Korea in this thesis. Various kinds of metallic oxid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as coloring reagents for example, Fe_(2)O_(3), NiO, CuO, Cr_(2)O_(3), MnO_(2), CuCO_(3).Cu(OH)_(2).H_(2)O, TiO_(2) and so on. Classifying the temperature into five stages, 1100℃, 1150℃, 1200℃, 1250℃, 1280℃, I compared the color production by input amount of coloring regents with that by temperature change. The results of experiment are as following; 1. The most ideal mixing rates of basic white slip glaze are as following; A series : Anyang Feldspar 25.42% Hadong Kaolin 47.14% Kimcheon Silica 27.44% B series : Anyang Feldspar 59.54% Hadong Kaolin 27.60% Kimcheon Silica 12.85% 2. Most of the glazes did not show distinct color at 1100℃, but display unique color from 1150℃, And the color is slowly going to be deep as the temperature rises. 3. The effect of CoO was distinguished with small amount, but TiO_(2) and SnO_(2) were not. 4. CoO, Cr_(2)O_(3), Fe_(2)O_(3) and NiO showed stable color, but CuO, CuCO_(3).Cu(OH)_(2).H_(2)O displayed a hard air cell phenomenon and the volatility in high temperature. 5. At the result of double-rubbing transparant glaze over slip glaze, more bright and deep color, and brightly brilliance wese displayed. 6. At the result of application slip glaze to works, texture of colored body and Engobe was displayed. And we feel the artistic livelihood through the strong color contrast among the glaz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Ⅱ. 歷史的 考察 = 4 Ⅲ. 원료 성상과 실험 방법 = 10 A. 원료 = 10 B. 시편 제조 = 11 C. 釉調合 및 施釉 = 11 D. 시편의 소성 = 12 Ⅳ. 外國 슬립유약의 실험 = 14 A. 기본 슬립유약 조성 = 14 B. 결과 및 고찰 = 22 Ⅴ. 着色 슬립유약의 실험 = 24 A. 슬립유약의 기본조성 = 24 B. 발색제 첨가변화 = 25 C. 투명유약의 효과 = 29 D. 결과 및 고찰 = 29 Ⅵ. 슬립유약의 작품응용 = 46 Ⅶ. 結論 = 54 參考文獻 = 56 ABSTRACT = 5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927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dc.subject슬립유약-
dc.subject무광택-
dc.subject산업미술-
dc.subject요업디자인-
dc.title슬립유약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무광택 슬립유약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F SLIP GLAZES-
dc.format.pagev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산업미술대학원 산업미술학과요업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도자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