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경애-
dc.creator최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2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7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785-
dc.description.abstract통합교육의 효과 연구가 학업적인 것으로부터 사회적인 성과로 확산됨에 따라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관계증진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프로그램에 참여한 빈도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참여빈도가 높은 집단과 참여빈도가 낮은 집단으로 나누어 통합풍물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남부에 위치한 S특수학교의 고등부 남학생 15명과 Y공업고등학교의 비장애학생 44명이었다. 장애학생 15명과 비장애학생 22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은 통합풍물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비장애학생 22명으로만 구성된 통제집단은 기존의 Y공업고등학교 자체 내의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만을 하였다. 참여 빈도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참여빈도가 높은 실험집단Ⅰ은 주2회로 총 12회의 참여를 하였고 참여빈도가 낮은 실험집단Ⅱ는 주1회로 총 5회의 참여를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다. 본 실험처치는 S특수학교의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 시간에 이루어졌으며 1회에 90분, 총 12회기가 실시되었다. 실험집단 Ⅰ,Ⅱ와 통제집단간의 사회적 거리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회적 거리감 척도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한 일원 공분산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사회적 거리감 척도의 하위요인의 변화의 차이를 일원다변량 분산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풍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이 유의미하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풍물 프로그램에의 참여빈도가 높은 실험집단 I 이 참여빈도가 낮은 실험집단보다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사회적 거리감이 유의미하게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풍물 프로그램에 높은 빈도로 참여한 실험집단 I 이 낮은 빈도로 참여한 실험집단Ⅱ보다 사회적 의지, 장애에 대한 지식, 접촉경험, 정서 등 네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사회적 거리감이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요인 중 사회적 의지요인과 접촉요인에서 큰 변화가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통합풍물 프로그램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들의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조적이고 직접적인 상호작용 프로그램인 통합풍물 프로그램에의 참여빈도의 차이는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학교에서도 일반 고등학교와의 연계프로그램의 하나로 통합풍물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연계프로그 램의 성격도 일회성 행사 위주의 프로그램보다는 지속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높은 빈도의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Since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expanded from academic to social achievements, there have been active studies for the facts those effects on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this study,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was performed at two groups with frequency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to find 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frequency in joint program of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a technical high school on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led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fifteen high school male students from S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forty-four students from Y Technical High School nearb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fift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wenty-tw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experienced inclusive Pungmul program. The controlled group, which had only twenty-two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as put under skill development activities after school of Y Technical High School as usual.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frequency, the experimental group Ⅰ, the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was forced to participate two times a week, twelve times in total. The experimental group Ⅱ, was scheduled to participate in less number; once a week, five times in total. The experiment procedure was composed of pre-test, treatment of experiment, and post-test. Twelve experimental treatment sessions in total were performed in after- school skill developmental education hours of S Special Education School. The time required for each session was 90 minutes. To verify the effect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I, 11, and the controlled group, ANCOVA was used with preliminary marks of social Distance measure as a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narrowed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led students. 2. The experimental group Ⅰ with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showed significant narrower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led students, compared to the experiment group Ⅱ that had low frequency of participation. 3. Between experimental group Ⅰ and experimental group Ⅱ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each factors of social distance. In other words, compared to the group with low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e group with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showed reduced social distance in four factors - social willingness, knowledge of disabilities, experience of contact and affect in the group with high frequency of participation. From the results mentioned abov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experiences of interaction in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showed good effect on narrowing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ward disabled students. Also, this study proves that the higher frequency of participation to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which is structural and direct interact program, the more effective results in narrowing social dis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as one of various joint programs between special education school and general education high school,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is highly recommended. And inclusive program with high frequency rather than an event program is suggested for participants to occur sustai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프로그램 = 7 1.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필요성 = 7 2.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프로그램의 실례들 = 10 3. 특수학교와 일반학교간 연계 전략 및 운영방안 = 12 B.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사회적 관계증진 프로그램 = 16 1.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사회적 관계증진 프로그램 = 16 2. 사회적 관계증진 프로그램에서 참여빈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 = 19 C. 고등학교 중도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간의 사회적 거리감 연구 = 22 1. 고등학교 중도장애학생 대상의 연구 = 22 2. 고등학교 중도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간의 사회적 거리감 연구 = 24 3. 사회적 거리감의 하위 요인 연구 = 25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참여자 = 27 B. 실험도구 = 33 C. 실험절차 = 37 D. 자료분석 방법 = 40 Ⅳ.연구결과 = 41 Ⅴ. 논의 및 제언 = 47 A. 논의 = 48 B. 제한점 = 54 C.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2415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통합풍물-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특수학교-
dc.title통합풍물 프로그램에의 참여 빈도가 일반 고등학교 학생의 특수학교 고등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he inclusive pungmul program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in high school on social distance toward disabled students-
dc.format.pagevii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